|
▣ 현삼 ( 玄蔘 Scrophularia buergeriana )▣
현삼
토현삼(덕유산)
<요약>
통화식물목 현삼과 여러해살이풀. 방추상으로 비대해진 뿌리가 덩이모양을 이루며 높이 1∼1.5m 정도의 줄기는 털이 없고 네모졌다. 잎은 마주나고 깻잎처럼 생긴 조금 두꺼운 달걀꼴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곧게 선 줄기 꼭대기에 이삭모양의 원추꽃차례로 핀다.
<설명>
통화식물목 현삼과 여러해살이풀. 방추상으로 비대해진 뿌리가 덩이모양을 이루며 높이 1∼1.5m 정도의 줄기는 털이 없고 네모졌다. 잎은 마주나고 깻잎처럼 생긴 조금 두꺼운 달걀꼴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곧게 선 줄기 꼭대기에 이삭모양의 원추꽃차례로 핀다. 꽃의 길이는 6∼7㎜, 꽃부리는 병모양의 순형(脣形)이다. 아랫쪽에는 주걱모양의 헛수술이 1개 달려 있으며 달걀꼴의 삭과는 두 조각으로 갈라지고 길이는 5㎜이다.
한방에서는 현삼이나 덩이뿌리를 말린 것을 현삼이라고 하는데 혈압강하작용이 있으며 해열·소담·보혈 등에 사용한다. 다소 습한 초원에서 자라며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효능 해설]
가을에 뿌리를 캐어 잔뿌리를 다듬은 다음 물로 씻은 것을 햇볕에 그대로 말리는데, 증기에 쪄서 햇볕에 말리는 것도 좋다.약리실험에서 혈압강하작용, 혈당을 낮추고 세균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을 밝혔다. 이에 근거하여 현삼의 뿌리는 고혈압, 당뇨병, 폐결핵, 세균성 피부병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인삼 비슷한 효능 해설 * 뿌리는 인삼과 비슷한 강장보약이 된다고 해서 두루 쓰이고 있는데, 달여서 장기 복용하면 몸에 힘이 생기고, 눈도 밝게 하며, 남자의 정자 형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발기력이 부족한 성교의 불능증세를 고쳐 준다. 또한 혈관확장과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심장의 신경성 발작을 예방한다.
발반증 * 고열로 인하여 가슴이 답답하고 목이 마르는 증세, 오후만 되면 미열이 생기는 증세와 발반증에는 해열작용이 센 생약을 쓴다.발반이란 열이 몹시 나서 피부가 울긋불긋햊는 증세이므로 동시에 생잎을 짓찧어 환부에 붙이면 더 효과적이다.
코 안이 헌 데에는 생뿌리의 즙을 바르고 부스럼, 종기에도 그 즙을 바르낟. 그 외에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뇌염, 변비 등에도 쓰인다고 하는데, 하루 약
용량은 6~12g 정도이다.민간에서는 생잎을 짓찧어서 찜질용으로 썻고 피부병에 붙였다고 한다. 잎줄기의 달임약은 후두염, 잇몸병, 결막염에 써 왔다.
뿌리를 약용으로 너무 많이 쓰면 심근이 마비될 염려가 있으며 구토 설사가 일어난다.중국의 한 한의서에 의하면, 약리실험에서는 현삼이 지니고 있는 다방면의 치료 효과를 완전히 해석하지 못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연구에 기대한다고 했다.
[식물 특징]
가금 심어서 가꾸어지기도 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줄기는 네모져있고 곧게 서서 1.5m 안팎의 높이로 자란다. 줄기 윗부분에서 약간의 가지를 친다. 잎은 계란꼴로서 마디마다 두 장이 마주 자리한다. 잎끝은 뾰족하고 밑동은 둥글며 잎자루를 가지고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톱니가 규치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줄기 끝과 끝부분의 잎 겨드랑이로부터 기다란 꽃대가 자라나 많은 꽃이 피어나느데, 꽃차례의 생김새는 홀쭉한 원뿌리꼴이다. 꽃은 단지와 같은 외모를 가지고 있으며 끝이 입술과 같은 모양으로 갈라지는데, 아래의 입술은 뒤로 말린다. 꽃의 길이는 6~7mm 정도이고 빛깔은 황록색이다. 8~9월에 꽃이 핀다.
전국에 분포하며 산과 들판의 양지바른 풀밭에 나는데, 약재 생산을 위해 심어 가꾸어지기도 한다.
*강장보약으로 정자 형성의 강화, 발기력을 살린다. 혈관확장, 혈액순환 촉진, 심장의 발작을 막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현삼 *
- 열을 내리고 심장 기능을 강화
현삼은 현삼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줄기는 모가 지며 잎은 좁고 길게 생겼다. 잎자루가 있고 잎밑이 둥글거나 다소 일자형으로 끝이 날카롭 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연한 황록색으로 8~9월에 피고 뿌리는 덩어리로 감자모양이다.
뿌리는 백색이나 자르면 곧바로 검게 변한다 이 뿌리를 약용으로 쓴다. 중국, 일본, 한국 등지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경북지방에서 많이 생산된다.
성분은 현삼소인 스크로폴라딘과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린 등을 함유하였고 기타 당분, 정유, 지방산도 함유하고 있다. 현삼은 열을 내리고 심장 기능을 강화하며 염증을 방지한다. 따라서 인후염, 편도선염, 결막염, 임파선염 등에 쓰이고 각종 높은 열을 내는 병에 효과가 있다.
중국인들은 약보다도 식사를 귀중히 여겨 반찬이 무려 20여가지에 이르는 데 그 많은 요리속에 특히 현삼이 빠지지 않는다고 한다.
현삼은 겨울동안 땅 위의 줄기는 말라 죽고 뿌리만 살았다가 이듬해 봄 다시 새싹을 돋아내는 숙근약초이다. 키는 1.5∼2m에 이른다. 7∼8월에 줄기 윗쪽에 연한 황록색의 작은 꽃이 많이 모여 핀다. 종자는 긴 둥근형이며, 흑갈색으로 3∼4mm 정도 크기이다.
뿌리는 여러 갈래로 갈라졌고, 지름은 1cm 내외, 길이는 20∼30cm이다. 현삼의 「현(玄)」은 검은 색이라는 데서 온 뜻이고 「삼(蔘)」은 흔히 뿌리가 굵다는 뜻 또는 인삼과 비슷한데서 왔다. 흑삼, 원삼이라고도 한다. 봄과 가을에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리면 검은색으로 변한다. 특이한 냄새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현삼은 기후가 온화하면서 습기가 많은 곳을 좋아하며 추위에 강하다. 토양 부식질이 많이 함유된 비옥한 사질양토이면서 배수가 양호한 곳에서 잘 자란다.
현삼 번식은 육묘이식 재배법이 많이 이용된다. 묘두 또는 묘근으로써 번식하면 심은 해에 굵은 뿌리를 수확할 수 있다. 종자번식법은 수확량이 적으므로 처음 재배할 때 이용하고 그 외에는 묘두, 묘근으로 번식하는 것이 유리하다. - 경남신문 -
현삼과 다년초인 현삼은 약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밭에서 재배하거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야생으로 자라기도 하는데, 높이가 1.5M내외로 상당히 키가 크며, 피침형의 잎은 엽병이 있고 마주나고, 모양은 긴 계란형 혹은 난상 피침형이다. 꽃은 엷은 황록색으로 8-9월에 피고, 과실은 삭과로써 계란 모양을 하고 있으며 뿌리는 덩이모양을 이루고 있다.
현삼의 뿌리를 건조한 것을 한방에서 현삼(玄蔘)이라 하는데, 음력 3월, 4월, 8월, 9월에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리거나 또는 쪄서 햇볕에 말린 것을 약재로 사용하는데,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 맛은 쓰며 짜고(苦) 독이 없어 고혈압 환자 특히 신성고혈압 환자에게 사용하고 있으며, 심장이 약한 사람에게 강심제로, 원기가 약한 사람에게 원기회복제로 사용한다.
또한 폐렴이나 탈수, 사화해독, 자음청열에도 사용되며, 소염, 인후염, 비염, 종기 등 각종 염증에도 약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변비에도 약효가 있다. 동의보감의 탕액편에 보면 현삼은 매우 중요한 약으로써 모든 기를 통솔하여 위아래로 다니면서 시원하고 깨끗하게 하며 흐리지 않게 한다. 그러므로 허한 가운데서 발동하는 기와 무근지화(無根之火)를 낫게 하는 데는 현삼이 제일 좋은 약이라고 한다. 동속약초로는 토현삼이 있다.
현삼(玄蔘)
현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현삼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과 들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가을에 뿌리를 캐서 잔뿌리를 다듬어 물에 씻어 그대로 또는 증기에 쪄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짜며 성질은 약간 차다.
폐경, 신경, 위경에 작용한다.
약리실험에서 혈압낮춤작용, 혈당낮춤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열병으로 진액이 상하여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갈증이 나는 데,
오후에 미열이 나는 데, 발반, 인후염, 연주창, 부스럼, 단독, 변비 등에 쓴다.
하루 6 ~ 12그램을 달임약, 가루약, 알약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이거나 가루내어 기초제에 개어 바른다. 설사하는 데는 쓰지 않는다.
- 동의학 -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 맛은 쓰며 짜고[苦옣] 독이 없다.
열독과 유풍(遊風)을 낫게 하고 허로증(虛勞證)을 보하며 골증(骨蒸) 전시사기(傳尸邪氣)를 없애고 종독을 삭인다.
영류[瘤싁]와 나력(뽊뽪)을 삭여 없애며 신기(腎氣)를 보하고 눈을 밝게 한다.
○ 싹과 잎은 참깨(호마)와 비슷한데 음력 7월에 청록색 꽃이 피고 8월에 씨가 달리는데 빛이 검다.
그의 뿌리는 뾰족하고 길다. 생것은 푸르스름하고 마른 것은 자흑색이다.
새로 캔 것은 눅진눅진하며[潤] 기름기가 있다.
음력 3월, 4월, 8월, 9월에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리거나 또는 쪄서 햇볕에 말린다[본초].
○ 현삼은 매우 중요한 약으로써 모든 기를 통솔하여
위아래[上下]로 다니면서 시원하고 깨끗하게 하여 흐리지 않게 한다.
그러므로 허한 가운데서 발동하는 기와 무근지화(無根之火)를 낫게 하는 데는
현삼이 제일 좋은 약이다[탕액].
○ 신(腎)이 상한 데는 반드시 써야 한다.
족소음신경의 주약[君藥]이다. 술에 축여 쪄서 쓰는 것이 역시 좋다[입문].
○ 우리나라에는 다만 경상도에서 난다고 하는데 사실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속방].
- 동의보감 -
현삼은 모든 신체의 기를 통솔하여
위 아래로 다니면서 시원하고 깨끗이 하며 신체 전반의 기의 흐름을 돕는다.
청열의 효능으로 열로 인한 질병이나 풍이 신체 안으로 들어와서 생기는 질병에는
그 열은 내려서 질병의 뿌리를 치료한다.
차갑고 짠맛의 약이기 때문에 몸의 진액 부족과 이로 인하여
생기는 입이 마르고 목이 타는 증상과 인후가 아프고 통증이 있을 때 이용되며
해독작용이 있으므로
장에 생기는 종기와 림프샘을 따라서 생기는 멍울등을 치료하며 피부질환에도 사용된다.
현삼은 신장에 작용하여 신장의 기능을 도와서 열이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을 막는 동시에
음기를 보하는 작용이 있어서 신장의 기능 쇠약으로 인한 열증에 많이 이용된다.
무독(無毒), 이 약은 성질이 차가운 약이기 때문에 위기를 손상시키기 쉬우므로
소화기가 허약하여 설사가 많은 사람과 비위에 습이 있는 사람은 사용을 금하며,
약재 중 여로와 같이 사용하면 부작용이 나타나므로 여로와는 같이 사용하지 않는다.
중태(重台), 귀장(鬼臟), 정마(正馬), 녹장(鹿腸), 현태(玄台)
淸熱涼血藥
1)기원 현삼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현삼의 뿌리 2)이명 중태(重台), 귀장(鬼臟), 정마(正馬), 녹장(鹿腸), 현태(玄台) 3)성미 치고,달고 쓰며 짜다. 무독하다. 4)귀경 폐,신,위 경 5)효능 현삼은 모든 신체의 기를 통솔하여 위 아래로 다니면서 시원하고 깨끗이 하며 신체 전반의 기의 흐름을 돕는다. 청열의 효능으로 열로 인한 질병이나 풍이 신체 안으로 들어와서 생기는 질병에는 그 열은 내려서 질병의 뿌리를 치료한다.
차갑고 짠맛의 약이기 때문에 몸의 진액 부족과 이로 인하여 생기는 입이 마르고 목이 타는 증상과 인후가 아프고 통증이 있을 때 이용되며 해독작용이 있으므로 장에 생기는 종기와 림프샘을 따라서 생기는 멍울등을 치료하며 피부질환에도 사용된다. 현삼은 신장에 작용하여 신장의 기능을 도와서 열이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을 막는 동시에 음기를 보하는 작용이 있어서 신장의 기능 쇠약으로 인한 열증에 많이 이용된다 6)금기사항 이 약은 성질이 차가운 약이기 때문에 위기를 손상시키기 쉬우므로 소화기가 허약하여 설사가 많은 사람과 비위에 습이 있는 사람은 사용을 금하며 약재 중 여로와 같이 사용하면 부작용이 나타나므로 여로와는 같이 사용하지 않는다.
7) 채집시기/산지 입동 전후에 채취하며 우리나라의 계곡가에 자생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재배하기도 한다.
8)가공 채취한 약초에서 줄기와 잎, 잔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일주일간 말린다. 다시 물에 깨끗이 씻어서 물에 불려다가 쪄서 60~70% 건조시킨후 약재가 전체적으로 흑색이 될 때까지 놓아 두었다가 재차 건조한다. 효능에 따라 포제 방법이 달라 지는데 몸과 피에 있는 열을 내릴 때에는 생용하며 혈액순환을 돕고 어혈이 뭉친 것을 풀어 줄 때는 술과 같이 넣고 볶으며 지혈에 사용할려면 겉표면이 검어질 때까지 태운다.
현삼(玄蔘) 효능
많은 곳에서 야생으로 자라기도 하는데, 높이가 1.5M내외로 상당히 키가 크며, 피침형의 잎은 엽병이 있고 마주나고, 모양은 긴 계란형 혹은 난상 피침형이다. 꽃은 엷은 황록색으로 8-9월에 피고, 과실은 삭과로써 계란 모양을 하고 있으며 뿌리는 덩이모양을 이루고 있다.
9월에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리거나 또는 쪄서 햇볕에 말린 것을 약재로 사용하는데,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 맛은 쓰며 짜고(苦) 독이 없어 고혈압 환자 특히 신성고혈압 환자에게 사용하고 있으며, 심장이 약한 사람에게 강심제로, 원기가 약한 사람에게 원기회복제로 사용한다.
종기 등 각종 염증에도 약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변비에도 약효가 있다. 동의보감의 탕액편에 보면 현삼은 매우 중요한 약으로써 모든 기를 통솔하여 위아래로 다니면서 시원하고 깨끗하게 하며 흐리지 않게 한다.
그러므로 허한 가운데서 발동하는 기와 무근지화(無根之火)를 낫게 하는 데는 현삼이 제일 좋은 약이라고 한다. 동속약초로는 토현삼이 있다.
현삼(玄蔘)
현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현삼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과 들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가을에 뿌리를 캐서 잔뿌리를 다듬어 물에 씻어 그대로 또는 증기에 쪄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짜며 성질은 약간 차다.
폐경, 신경, 위경에 작용한다. 약리실험에서 혈압낮춤작용, 혈당낮춤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열병으로 진액이 상하여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갈증이 나는 데, 오후에 미열이 나는 데, 발반, 인후염, 연주창, 부스럼, 단독, 변비 등에 쓴다.
하루 6 ~ 12그램을 달임약, 가루약, 알약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이거나 가루내어 기초제에 개어 바른다. 설사하는 데는 쓰지 않는다.
- 동의학 -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 맛은 쓰며 짜고[苦옣] 독이 없다. 열독과 유풍(遊風)을 낫게 하고 허로증(虛勞證)을 보하며 골증(骨蒸) 전시사기(傳尸邪氣)를 없애고 종독을 삭인다. 영류[瘤싁]와 나력(뽊뽪)을 삭여 없애며 신기(腎氣)를 보하고 눈을 밝게 한다.
8월에 씨가 달리는데 빛이 검다. 그의 뿌리는 뾰족하고 길다. 생것은 푸르스름하고 마른 것은 자흑색이다.
새로 캔 것은 눅진눅진하며[潤] 기름기가 있다. 음력 3월, 4월, 8월, 9월에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리거나 또는 쪄서 햇볕에 말린다[본초].
위아래[上下]로 다니면서 시원하고 깨끗하게 하여 흐리지 않게 한다.
그러므로 허한 가운데서 발동하는 기와 무근지화(無根之火)를 낫게 하는 데는 현삼이 제일 좋은 약이다[탕액].
족소음신경의 주약[君藥]이다. 술에 축여 쪄서 쓰는 것이 역시 좋다[입문].
- 동의보감 -
현삼은 모든 신체의 기를 통솔하여 위 아래로 다니면서 시원하고 깨끗이 하며 신체 전반의 기의 흐름을 돕는다.
청열의 효능으로 열로 인한 질병이나 풍이 신체 안으로 들어와서 생기는 질병에는 그 열은 내려서 질병의 뿌리를 치료한다.
생기는 입이 마르고 목이 타는 증상과 인후가 아프고 통증이 있을 때 이용되며
해독작용이 있으므로 장에 생기는 종기와 림프샘을 따라서 생기는 멍울등을 치료하며 피부질환에도 사용된다.
현삼은 신장에 작용하여 신장의 기능을 도와서 열이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을 막는 동시에 음기를 보하는 작용이 있어서 신장의 기능 쇠약으로 인한 열증에 많이 이용된다.
무독(無毒), 이 약은 성질이 차가운 약이기 때문에 위기를 손상시키기 쉬우므로 소화기가 허약하여 설사가 많은 사람과 비위에 습이 있는 사람은 사용을 금하며,
약재 중 여로와 같이 사용하면 부작용이 나타나므로 여로와는 같이 사용하지 않는다. 중태(重台), 귀장(鬼臟), 정마(正馬), 녹장(鹿腸), 현태(玄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