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오 영작 좀 부탁드려요
hyesuthin@empas.com
우리나라의 명절 중 하나로 음력 5월 5일입니다. 사람들은 이 날 음식을 장만하여 창포가 무성한 물가에서 물맞이를 하거나 창포를 삶은 물에 머리를 감았습니다. 또한 창포뿌리를 잘라 단오비녀를 머리에 꽂았습니다.
민속놀이로는 그네뛰기와 씨름이 있습니다. 집단적인 민속행사는 마을 수호신에게 제사지내는 단오제가 있습니다.
옛날에는 단오절에 창포를 삶은 물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면 일년 내내 병이 없을 뿐만 아니라, 피부가 비단결처럼 고와진다고 하여 젊은 아낙네들이나 처녀들이 즐겨 창포를 사용하였습니다.

(신윤복의 단오풍정-제목은 신윤복의 풍속화첩에 명기된 것이 아니라 후대에 임의로 붙여진 이름입니다.)
단오는 우리나라의 명절 중 하나로 음력 5월 5일 입니다.
"Dano" is one of our traditional festival on the fifth of the fif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이날 사람들은 음식을 장만하여 창포가 무성한 물가에서 물맞이를 하거나 그네뛰기와 씨름을 즐기며, 마을 수호신에게 단오제라 하여 제사를 지냅니다.
People used to take waters near iris garden, enjoy swing and play traditional wrestling 'Ssi-reum', and perform religious rites to the guardian deities.
젊은 아낙네들이나 처녀들은 피부가 고와지고 일년 내내 병이 없다고 해서 즐겨 창포를 삶은 물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했습니다.
Young womenfolks and maidens take iris bath and linse their hair, wishing to keep their skin smoothand soft as silk, while keeping away from sickness.
아래 구절을 넣으셔도 좋습니다.
(단오절의 행사에는 5=오(惡)자가 둘이 겹치는 날이라 모든 잡귀들이 설치는 날이므로 금기하고 복을 빈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Fifth of fifth, 'O'-'O' in Korean, is signified as double evil day in Chinese character, so Dano festival has ameaning of praying good fortune by means of exorcism. )
이탤릭체(사체)는 비라틴계 언어를 표기할 때의 국제관례입니다.
출처 : 김영재, 민화와 우리신화, 조선민화박물관, 2004; www.minhwa.co.kr
2016년 補遺
...우리 이야기처럼 알고 지냈던 개자추가 보이길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물어봤더니 한식寒食을 찾아보라는 거야. 한식은 찬 음식이란 뜻인데, 제齊나라 사람들은 음식을 데우지 않는다 해서 냉절冷節, 미리 익힌다고 숙식熟食이라 했대.
그 당시 개자추가 불에 타서 죽은 것을 가엾게 여기고 불 사용을 금하던 유속이고, 지금 한식이 설, 단오 및 추석과 함께 네 명절이 된 것은 우리나라의 풍속이라고 했어. 조선에서는 관가나 궁에서 동지를 더하여 다섯 명절로 제사를 지낸다고 그러는 거야.
굶어 죽어가는 한漢나라 유방劉邦에게 개자추가 자기 넓적다리 살을 구워 먹여 살렸는데도 나중에 고조高祖가 되고는 모른 체 하더래. 고조가 나중에 깨닫고 불러도 불러도 안 오는 거야. 불 지르면 나올까 했는데 그냥 타 죽었단다. 참 애달픈 사연이지?
그런데 이상하잖아? 왜 그 날이 조선의 명절이 되었을까.… 요즘은 자는 아이를 깨워서 물어도 한나라는 중국이라고 그럴 텐데, 조선시대에는 한나라의 개자추가 옆집 아저씨처럼 친하게 느껴졌었나?
김영재, 민화의 뿌리, 자유문고, 2015년 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