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덤 앞에 돌로 만들어 놓은 석인(石人), 석수(石獸), 석주, 석등, 상석 등의 총칭이다
○ 비신(碑身)⇒
비두와 대석을 제외한 비문을 새긴 부분만을 일컫는 말인데, 그 재료로는 대리석(옥석), 애석, 오석, 화강석 등으로 되어 있다.
○ 비두(碑頭)⇒
비두를 두수라고도 하는데, 비신 위에 얹는 돌을 일컫는 말이다. 그 형상에 따라 용두, 기린두, 봉두, 천록두, 벽사두, 가첨석(개석, 개두) 등으로 구분하며, 비두가 없는 것을 규수(圭首) 또는 원수(圓首)라고 한다.
○ 용대석(龍臺石)⇒
이를 대석이라고도 하는데, 비신을 얹는 돌을 일컫는 말이다. 그 생김새에 따라 거북 모양으로 만든 것을 구부 또는 구대라고 하며, 단순히 장방형으로 된 것을 방부(方趺) 또는 평대라고 일컫는다.
○ 혼유석(魂遊石)⇒
상석 뒤 무덤 앞에 놓은 직사각형의 작은 돌로, 영혼이 나와서 놀게 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라 한다.
《사례편람(四禮便覽)》 〈상례(喪禮)〉 성분조(成墳條)에 '세속(世俗)에서 혼유석은 상석 북쪽에 둔다(俗置魂遊石於石牀之北)'는 기록이 있다.
○ 상석(床石)⇒
무덤 앞에 제물을 진설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상돌을 일컫는 말인데, 정자각에서 제향을 모시는 능원에서는 혼유석을 따로 설치하지 아니하고 이로써 대신한다.
돌로 된 제상(祭床)으로 직사각형의 돌을 제상 크기로 다듬고 원형의 받침돌 4개(고석, 걸방석)를 붙여 만들어서 무덤 앞에 놓은 것이다.
묘제(墓祭) 때 그 위에 제물을 진설하고 제사를 지내며, 성묘할 때에도 주과(酒果)를 위에 벌여놓고 배례한다.
고석(鼓石)⇒ 무덤 앞의 상석 앞을 고이는 돌로서, 북모양으로 생긴 둥근 돌인데, 이를 북석이라고도 한다.
걸방석(걸方石)⇒ 무덤 앞에 상석 뒤를 고이는 긴 돌.
○ 향로석(香爐石)⇒
묘제 때 향로와 향약을 올려놓는 돌로서 상석(床石) 앞에 설치한 것으로 묘제(墓祭) 때 향로를 올려 놓는다. 이를 향안석(香案石)이라고도 한다. 《사례편람(四禮便覽)》 〈상례(喪禮)〉 성분조(成墳條)에 '세속(世俗)에서 향안석은 상석 남쪽에 둔다(俗置香案石於石牀之南)'는 기록이 있다.
○ 준석(樽石)⇒
묘제 때 술통이나 술병을 올려놓기 위하여 향로석 우측에 설치하는 납작한 돌이다.
○ 예감(瘞坎)⇒ 제향 후에 축문을 태워 묻는 구덩이 또는 네모난 형태의 석함(石函). 坎은 埳으로도 쓴다.
○ 계체석(階砌石)⇒ 계체석(階砌石)이란 계절(階節) 끝에 놓은 장대석(長臺石)을 일컫는다.
○ 석의(石儀)⇒ 무덤 앞에 사람이나 짐승의 형상으로 조각하여 설치하는 석상의 총칭이다.
◆ 석인(石人)⇒
사람의 형상으로 조각된 석상을 일컫는 말이다.
-문관석(文官石)⇒무덤 앞에 세우는 문인의 형상으로 깎아 만든 석물로 도포를 입고 머리에는 복두(幞頭)나 금관을 쓰며 손에는 홀(笏)을 든 공복(公服) 차림을 하고 있고,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하나씩 세운다.
문관석이 무덤 앞에 세워지기 시작한 것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8세기 통일신라시대부터라고 하나 고려시대, 조선시대로 넘어오면서 왕릉 아닌 고관이나 양반의 무덤 앞에 세워졌으며 서울이나 경기지방의 문관석이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획일화된 느낌이 있다면 지방 이나 도서지방으로 멀리 떨어지면 보다 자유분방하고 다양한 조형미를 찾아볼 수 있다.
문관석은 죽은 사람을 모시는 성격의 조각물이다.
-무관석(武官石)⇒무덤 앞에 세우는 무관(武官) 형상으로 만든 석물로 왼쪽과 오른쪽에 각 각 하나씩 세운다.
섬기는 신하를 의미하며, 성종 5년(1474년)에 석상과 석인을 설치하는 규정을 법으로 정하였다.
-동자석(童子石)⇒ 무덤 앞에 세우는 동자의 형상으로 조각된 석상을 일컫는 말이다.
우리의 무덤 앞에 문관석 다음으로 많이 서 있는 것이 동자석이다.
불교나 무속에서 보살,명왕, 산신 등을 모시는 어린아이인데 무덤 앞에 동자석은 죽은이를 모신다는 의미에서 세워진 것이다.
문관석과 마찬가지로 지방에 따라 석질과 형상미가 다르며 뛰어난 조형미를 지닌 동자석을 지방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제주도의 동자석은 단순화된 선과 검은 현무암의 석질이 조화되어 원초적 표현기법을 들어낸 현대적 조각이라는 느낌마져 준다.
-선비석⇒ 홀을 들지 않고 벼슬을 상징하는 의관을 입지 않은 일반 선비의 모습의 석인을 선비석이라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신비석은 무덤이나 제각 앞에 세워져 망자자신을 나타내는 조각물 이거나
서원의 동료를 나타내는 조각물이라고 볼 수 있다.
◆ 석수(石獸)⇒
짐승의 모양으로 조각된 석상의 총칭이다. 주인의 명복을 빌고 귀신이나 잡귀를 물리치는 벽사의 역할을 한다. 묘나 사당 또는 건물앞에 악귀나 재앙의 침입을 막는 조각물로 설치되었다.
-석양(石羊)⇒ 양의 형상으로 조각된 석상을 일컫는 말로 석호가 지켜주기 때문에 평화스럽게 양들이 풀도 뜯고 지내므로 후손들의 가정에 평온을 가져다준다는 것이다.
석양은 쌍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때로 양을 한 마리씩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석호(石虎)⇒ 호랑이의 형상으로 조각된 석상을 일컫는 말로 봉분의 위엄을 나타내고 묘(능)을 지키는 뜻으로 석호는 쌍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때로 호를 한 마리씩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석마(石馬)⇒ 말의 형상으로 조각된 석상을 일컫는 말이다.
석마는 쌍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때로 마를 한 마리씩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문인석·무인석의 상징적인 교통수단을 나타낸다.
○ 화표(華表)·망주석(望柱石)·망두석(望頭石).촟대석⇒
먼 곳에서 묘(능)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지로서 혼이 놀러 나갔다가 되찾아 들어올 수 있도록 세워 놓은 기둥입니다.
화표(華表)에서는 구름 모양이 밤에도 환하게 비쳐서 영혼이 그 중간을 잡아 되돌아오게 되는 것이라고 한다.
-망주석⇒ 무덤 앞에 놓은 혼유석(魂遊石)의 좌우에 벌려 세우는 한쌍의 8각 돌기둥으로 망두석(望頭石) ·망주석(望柱石)라고도 한다. 기둥의 윗부분이 보주형두(寶珠形頭)로 되어 돌받침 위에 올린다.
먼 곳에서 묘(능)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지로서 영혼이 자기의 유택(능)을 찾아오게 하는 안내 역할을 한다. 무덤 앞에 세우는 석주이고, 이를 망두석 또는 망주석표 또는 화표주라고 일컫는다.
망주석은 중국에서 전해져 통일신라에서 발전되기 시작하여, 8세기경에는 무덤(릉)의 석물 배치가 정비됨에 따라 묘제석물(墓制石物)로 자리를 굳혀 오늘날에 이른다. 무덤의 시설형식에 따라
묘주(墓主)의 사회 신분을 나타내는데, 무덤을 지키는 수호신앙과 기념적인 기능을 가진 석물이다.
중국의 《진서(陳書)》 <예의(禮儀)>에 적힌 “양(梁)의 천감(天監) 6년(507)에 묘제를 바로잡되, 석인(石人) ·석수(石獸) ·석비(石碑)의 건립을 금하고 석주(石柱)만 세워 그 위에 이름 ·지위를
적을 것을 허가하였다”라는 대목에서도 망주석의 용도를 알 수 있다.
한국에서는 현존하는 왕릉과 상류층의 묘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민간인의 무덤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간혹 다람쥐 등을 조각하여 민속생활의 일면을 보이기도 한다.
○ 석등(石燈)⇒
묘덤 앞에 불을 밝혀 사악한 기운을 물리친다는 벽사의 기능을 하는 등으로, 석등은 사찰 또는 무덤(능) 앞에 세우고, 이를 석등룡 또는 장명등이라고도 하며, 밑에는 긴 받침대가 있고 중대석 위에 있는 점등 부분을 화사석 이라고 한다.
고려 말에 처음 보이는데, 공민왕 현릉(玄陵)의 장명등 이후 왕릉에는 반드시 설치되었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일품 이상의 재상의 묘역에만 세울 수 있었으므로, 매장된 사람의 신분을 상징하는 표시물이 되기도 했다.
초기에는 불을 밝힐 수 있는 장명등의 화창(火窓) 부분에 실제로 기름 등잔을 놓아 묘역을 밝히는 기능을 했으나, 점차 형식적인 장식물이 되었다.
○ 호석(護石)⇒
묘(능)을 보호하기 위하여 묘(능)의 봉분 둘레에 병풍처럼 둘러 세운 긴 네모꼴의 넓적한 돌로 12면에 12지신상이나 모란 등을 양각하여 분묘를 보호하는 수호신 역할을 하며, 봉분침하와 해충침입을 막는다. 이를 통속적으로는 "도래석"이라 일컬으며 병풍석(屛風石)이라고도 한다. 예장이 아닌 봉분에는 단지 봉토를 보호하기 위하여 봉분 둘레에 병풍석 대신으로 둘러 세운 막도를 둘러 쌓은 경우가 있는데, 이를 사대석(莎臺石)이라 일컫는다.
◆ 원형 호석⇒ 원형 둘레석은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옛부터 선호하는 분묘형태로 12지신 문양, 사군자문양등이 있으며, 직경 8尺 ~ 13尺까지, 2단 형태와, 3단 형태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 사각 호석⇒ 사각묘테석은 원형둘레석을 대신한 것으로 원형둘레석보다 토지의 이용률이 높아 주로 공원묘지나 좁은 묘지에 사용한다. 그 형태는 직사각형이 기본형태이며, 단장의 경우 폭 4~5尺의
묘테석을 사용하고 합장의 경우 폭 6~8尺까지를 사용하기도 한다.
○ 장막지주(帳幕支柱)⇒ 묘소에 장막을 설치할 경우에 장막을 지지하는 줄을 묶는 지주석으로 묘소의 마당(상석과 배계절)부분 4면에 묻어 놓는다. 행사시 비나 강한 햇빛을 피하기 위해 상석과 배계절을 가릴 수 있도록 장막을 설치하는 경우 사용하는 4개의 지주석이다. 조상의 묘소에 쇠말둑을 박는 것은 제례에서 허용되지 않는 행위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묘지 조성시 석재로 된 장막지주를 설치해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