巧用第二十七
제27장, (성인의) 아름다운 일삼음에 대해 논한다.
善行無轍跡,
(도道를) 잘 일삼는 사람은 (자신의 몸으로부터 일삼음을 구하는데, 따라서 비유컨대) 바퀴 자국이나 발자국을 남기는 바가 없고,
善行道者求之於身, 不下堂, 不出門, 故無轍跡.
도(道; 自然)를 “일삼기를 잘하는” 사람은 (자신의) 몸(身; 性·命)으로부터 (도道를 “일삼기를 잘함”) 그것을 구하는데, (따라서 비유컨대 일부러 일삼아) 대청마루 아래를 내려가지 않고, (일부러 일삼아) 문門 밖을 나가지 않으며, (따라서 비유컨대) “바퀴 자국이나 발자국을 남기는 바가 없다.”
善言無瑕謫,
말을 잘하는 사람은 (천하에) 티끌이 되거나 허물이 되는 바가 없으며,
善言謂擇言而出之, 則無瑕疵謫過於天下.
“말을 잘한다善言”는 것은 “말”을 가려서 내뱉는다는 뜻인데, 따라서 (비유컨대 “말을 잘하는” 사람은) 천하에 “티끌”이나 ‘흠집이 되게 하는 바’, “허물”이나 잘못이 되게 하는 바가 “없게 된다.”
善數不用籌策,
잘 계획하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아) 계산 도구를 쓰지 않고,
善以道計事者, 則守一不移, 所計不多, 則不用籌策而可知也.
(이 문장은) 도(道; 自然·性·命)로써 사안을 “잘” 계획하는 사람은 따라서 하나(一; 自然)를 지킨 채, (하나一로부터) 옮겨가지 않고, 계획하는 바가 많아지게 하지 않는데,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계산 도구를 쓰지 않더라도”, (사안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해 “잘”) 알아차릴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善閉無關楗而不可開
(비유컨대, 문門과 집을) 잘 잠그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아) 큰 빗장과 작은 빗장을 쓰는 바가 없는데,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큰 빗장과 작은 빗장을 쓰는 사람은 잘 잠그는 사람의 문門과 집을) 열 수 없고,
善以道閉情欲, 守精神者, 不如門戶有關楗可得開.
도(道; 自然)로써 마음(情; 心)이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欲를 “잘” “잠그는” 사람은 (이른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아주) 면밀한 바(精; 自然·性)와 신령스러운 바(神; 自然·命)를 (“잘”) 지키는 사람인데, (따라서 “잘” 지키는 사람은 비유컨대 자신의) 문(門; 情)과 집(戶; 情)이 (일부러 일삼아) “큰 빗장(關; 欲)”과 “작은 빗장(楗; 欲)”을 가지게 하는 사람과 (더불어) 같이 하지 않고, (따라서 “잘” 지키는 사람은 일부러 일삼아 “큰 빗장”과 “작은 빗장”을 가지게 하는 사람의 문門과 집을) “열 수” 있(지만, 문門과 집이 일부러 일삼아 “큰 빗장”과 “작은 빗장”을 가지게 하는 사람은 “잘” 지키는 사람의 문門과 집을 “열 수 없는 것”이)다.
善結無繩約不可解.
(사안을) 잘 갈무리하는 사람은 (마음이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와 더불어) 새끼줄이 꼬이듯이 (얽히고설키게) 하는 바가 없는데, (따라서 마음이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와 더불어 새끼줄이 꼬이듯이 얽히고설키게 하는 사람은 “잘” 갈무리하는 사람을) 풀어헤칠 수 없다.
善以道結事者, 乃可結其心, 不如繩索可得解也.
도(道; 自然)로써 사안을 “잘” “갈무리하는” 사람은 이른바 그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欲가 있는) 마음을 (“잘”) “갈무리할” 수 있는 사람인데, (따라서 “잘” “갈무리할” 수 있는 사람은 비유컨대 자신의 마음이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欲와) “새끼줄”이 꼬이듯이 (얽히고설키게) 하는 사람과 (더불어) 같이 하지 않고, (따라서 “잘” “갈무리할” 수 있는 사람은 자신의 마음이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欲와 “새끼줄”이 꼬이듯이 얽히고설키게 하는 사람을) “풀어헤칠” 수 있(지만, 자신의 마음이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欲와 “새끼줄”이 꼬이듯이 얽히고설키게 하는 사람은 “잘” “갈무리할” 수 있는 사람을) “풀어헤칠 수 없는 것”이)다.
是以聖人常善救人,
따라서 성인은 늘 그러하게 세상 사람들(이 충성스러워지고 효성스러워지도록 가르침으로써, 그들이 망가뜨리고 어그러뜨린 성性과 명命)을 잘 구제하고,
聖人所以常敎人忠孝者, 欲以救人性命.
(이른바) “성인”이 “늘 그러하게” “세상 사람들”이 충성스러워지고 효성스러워지도록 가르치는 까닭은 “세상 사람들”이 (망가뜨리고 어그러뜨린 그들의) 성(性; 自然)과 명(命; 自然)을 “구제”하고자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故無棄人 ;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귀하게 되거나 천하게 된 사람이 각자 그 되돌아가야 할 바를 얻게 함으로써) 세상 사람들을 내버리는 바가 없으며,
使貴賤各得其所也.
(이른바, “따라서” “성인”은 일부러 일삼아) 귀하게 되거나 천하게 된 사람이 각자 그 (되돌아가야 할) 바를 얻게 한다는 것이다.
常善救物,
늘 그러하게 (세상 사람들이 사계절의 흐름을 말미암도록 가르침으로써, 세상 사람들이 망가뜨리고 어그러뜨린) 만물(의 성性과 명命)을 잘 구제하고,
聖人所以常敎民順四時者, 欲以救萬物之殘傷.
(이른바) “성인”이 “늘 그러하게” 세상 사람들이 사계절의 흐름을 말미암도록 가르치는 까닭은 (세상 사람들이) 망가뜨리고 어그러뜨린 “만물”(의 성性과 명命)을 “구제”하고자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故無棄物.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천하게 여기지도 않고, 일부러 일삼아 귀하게 여기지도 않은 채, 한결같이 살핌으로써) 만물을 내버리는 바가 없다.
聖人不賤名而貴玉視之如一.
(이른바) “성인”은 (지어 부른) 이름을 (일부러 일삼아) 천하게 여기지도 않고, (깎아 만든) 옥玉을 (일부러 일삼아) 귀하게 여기지도 않은 채, 그것들을 한결같이 살핀다(는 것이다).
是謂襲明.
이것이 이른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아주 큰 도道를) ‘잇고, 밝히는 일’이다.
聖人善救人物, 是謂襲明大道.
“성인”은 “세상 사람들”과 “만물”을 “잘 구제”하는데, “이것이 이른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아주) 큰 도(道; 自然·性·命)를 “잇고, 밝히는 일”이다.
故善人者, 不善人之師 ;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아주 큰 도道를 ‘잇고, 밝히는 일’을 일삼기를) 잘하는 사람은 잘하지 못하는 사람이 스승으로 삼는 바가 되고,
人之行善者, 聖人即以爲人師.
“세상 사람들” 중에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아주 큰 도道를 ‘잇고 밝히는 일’을) 일삼기를 “잘하는” 사람은 “성인”인데, 따라서 (“성인”은) “세상 사람들”이 “스승”으로 삼는 바(대상)가 된다.
不善人, 善人之資.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아주 큰 도道를 일삼기를) 잘하지 못하는 사람은 잘하는 사람이 일삼는 바가 된다.
資, 用也. 人行不善者, 聖人猶敎導使爲善, 得以給用也.
“자資”는 ‘일삼는 바’라는 뜻이다. “세상 사람들” 중에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아주 큰 도道를 ‘잇고, 밝히는 일’을) 일삼기를 “잘하지 못하는” 사람은 이른바 “성인”이 가르치고 이끎으로써, (‘잇고, 밝히는 일’을) 일삼기를 “잘하도록” 하는 바(대상)가 되는데, (“잘하지 못하는” 사람은 이른바 “성인”이 “일삼는 바”를 건네)받음으로써 (얻어) 더하는 바(주체)가 되는 것이다.
不貴其師,
(따라서) 그 스승이 되는 바를 (‘스스로’) 근원으로 삼는 바가 없고,
獨無輔也.
(“그 스승이 되는 바”를) ‘스스로’ 근원으로 삼는 바가 없다는 말이다.
不愛其資,
그 일삼는 바를 (건네받음으로써,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아주 큰 도道를 일삼기를 잘함을 얻어 더함을 ‘스스로’) 아끼는 바가 없으면,
無所使也.
(그 일삼는 바를 건네받음으로써 ‘스스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아주 큰 도道를 일삼기를 “잘함”을 얻어 더)하게 하는 바가 없다는 말이다.
雖智大迷,
이른바,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로써 앎을 일삼게 되고,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에 대해 아주) 크게 치우치게 되는데,
雖自以爲智. 言此人內大迷惑.
(“수지雖智”는) “이른바” 일부러 일삼는 바로써 “앎”을 일삼게 된다는 말이다. (“대미大迷”는) 이른바 그러한 사람은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에 대해 아주) “크게 치우치고” 휩쓸리게 된다는 말이다.
是謂要妙.
이것이 이른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이 어슴푸레하고) 어렴풋한 바(인 도道)를 (알아차리고) ‘근원으로 삼는 일’이다.
能通此意, 是謂知微妙要道也.
(이 문장이) 이 장章의 뜻을 어우르고 아우를 수 있는데, “이것이 이른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어슴푸레하고 “어렴풋한 바”인 도(道; 自然)를 알아차리고, “근원으로 삼는 일(要; 輔)”이라는 것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