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장
絶學無憂. 唯之與阿, 相去幾何, 善之與惡, 相去何若. 人之所畏, 不可不畏. 荒兮其未央哉. 衆人熙熙, 如享太牢, 如登春臺. 我獨泊兮其未兆, 若嬰兒之未孩. 乘乘兮若無所歸. 衆人皆有餘, 而我獨若遺. 我愚人之心也哉. 沌沌兮. 俗人昭昭, 我獨昏昏, 俗人察察, 我獨悶悶, 澹兮其若晦, 飂兮似無所止. 衆人皆有以, 我獨頑且鄙. 我獨異於人, 而貴求食於母.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학문을 끊어내면, 근심거리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왜냐하면, 세상 사람들이) “예”라고 대답하는 것이 “응”이라고 대답하는 것과 더불어 서로 멀리 떨어진 바가 거의 어떠한가? (세상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는) 선善이 악惡과 더불어 서로 멀리 떨어진 바가 마치 어떠한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학문을 배우면,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화禍와 해로움이 몸에 미치게 된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학문을) 두려워해야 하고, (따라서 나는 그것을)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가) 거칠어졌으며 다했다! (따라서) 그들은 (그것의) 싹을 틔우지 못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세상의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맛을 좋아한 채, 그것에 대해) 즐거워하고 즐거워한다. 마치 큰 접시에 소·양·돼지고기를 차려 제사를 지내는 것처럼, 마치 봄날에 누대를 오른 것처럼. (그러나) 나만 홀로 (그것에 대해) 담담하다! (나만 홀로 그것에 대한 온갖 생각) 그것이 싹을 튀우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치 (일부러 일삼아) 웃을 줄 모르는 어린아이처럼. (나만 홀로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물 위에 둥둥 떠다닌다! (따라서 나만 홀로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물에 얽히고설키지 않는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모두 (일부러 일삼아) 부유한 바와 고귀한 바, (일부러 일삼은) 이름과 이로움을 가지는 바가 있지만, 나만 홀로 그것을 더불어 하지 않는데, 따라서 (나만 홀로 그것을) 내버리고 내버리는 바를 만난다. 나만 (홀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에 대해 둔하고) 어리석은 사람의 마음이다! (따라서 나만 홀로 그것에 대해) 어리석고 둔하다! 세상 사람들은 (모두 그것에 대해) 밝고 밝지만, 나만 홀로 (그것에 대해) 어둡고 어두우며, 세상 사람들을 (모두 그것에 대해) 또렷하고 뚜렷하지만, 나만 홀로 (그것에 대해)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하다. (나만 홀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깊다! (따라서 나만 홀로 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의 끝점을 살필 수 없음) 그것이 바다와 같다. (나만 홀로) 바람이다! 따라서 (나만 홀로 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그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다. 세상 사람들은 모두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에 대해 밝고 밝으며, 그것을 또렷하고 뚜렷하게 살피고 살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지만, 나만 홀로 (그것에 대해 어리석고 둔한 채, 그것에 대해) 완고하고, (어리석은 사람의 마음과 더불어 같이 한 채) 비루하다. (요컨대) 나만 홀로 세상 사람들과 다른데, (나만 홀로) 도道를 구하고 먹이는 바를 귀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唯, 阿, 皆諾也. 學者, 欲爲善去惡. 不知善惡, 相去. 猶唯阿之間耳. 何足爲意. 苟欲分別善惡, 禍害, 必至. 此, 人之所同畏. 己, 亦不可不畏. 唯絶學, 則無分別之心. 而害, 不及身. 可以無憂也.
예唯와 응阿은 모두 (긍정의) 대답이다.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학문) 배우는 사람은 선善을 일삼는 바와 악惡을 멀리 떠나보내는 바를 일부러 일삼고자 한다. (그러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 도道를 배우는 사람은) 선善과 악惡이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바로 알아차리지 않는다. (그에게 있어서, 선善과 악惡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정도는) 비유컨대 “예”라고 대답하는 것과 “응”이라고 대답하는 것(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정도일 따름이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 도道를 배우는 사람이) 어찌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학문에) 만족하고, (그것을) 일삼으며, (그것을 배우는 데) 뜻을 두겠는가? 진실로, 선악善惡을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는 바를 일삼고자 하게 되면, 화禍과 해로움이 반드시 이르게 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학문) 이것은 세상 사람들이 다 같이 두려워해야 하는 바인 것이다. 노자는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학문, 그것을)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요컨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학문을 끊어내면, (일부러 일삼아) 분별하는 마음을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 따라서 (화禍와) 해로움이 (자신의) 몸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노자는) “근심거리를 가지는 바가 없게 된다”는 것이다.
荒, 荒忽也. 央, 猶極也. 兆, 萌也. 衆人, 樂於世味, 凞凞然. 如享太牢, 如登春臺. 我, 獨泊然. 百念, 不萌. 如嬰兒未孩. 使人, 荒忽. 而未見其極也.
황荒은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 바無爲·性·道가) 거칠어지고, 다했다는 말이다. 앙央은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 바無爲·命·德가 그) 끝점에 다다랐다는 말이다. 조兆는 싹이 튼다는 말이다. 사람들은 세상의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有爲) 맛을 좋아한 채, (그것에 대해) 즐거워하고 즐거워한다. 마치 큰 접시에 소·양·돼지고기를 차려 제사를 지내는 것처럼, 마치 봄날에 누대를 오른 것처럼. (그러나) 나만 홀로 (그것에 대해) 담담하다. (나만 홀로 그것에 대한) 온갖 생각이 싹을 틔우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치 (일부러 일삼아) 웃을 줄 모르는 어린아이처럼. 요컨대, 세상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가) 거칠어졌으며, 다했다. 따라서 (그들은) 그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爲가) 끝점에 다다른 바를 살피지 못하는 것이다.
乘乘, 猶泛泛也. 若無所歸, 言不繫於物也. 衆人皆有以, 言皆有富貴名利也. 我獨若遺, 言我, 獨不與於此, 若遭遺棄也. 言泛泛然, 不繫於物也, 如此.
승승乘乘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물 위에 둥둥 떠다닌다는 말이다. 약무소귀若無所歸는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물에 얽히거나 설키지 않는다는 뜻이다. 중인개유이衆人皆有以는 (세상 사람들은) 모두 (일부러 일삼아) 부유한 바와 고귀한 바, (일부러 일삼은) 이름과 이로움을 가지는 바가 있다는 뜻이다. 아독약유我獨若遺는 나만 홀로 그것을 더불어 하지 않는데, 따라서 (그것을) 내버리고 내버리는 바를 만난다는 뜻이다. (요컨대) 물 위를 둥둥 떠다닌다, 사물에 얽히고설키지 않는다는 말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에 대한 노자의 모양과 모습이) 그와 같다는 뜻이다.
沌沌, 愚蠢之貌. 悶悶, 不分曉之意. 人, 皆昭昭, 察察, 我, 獨昏昏, 悶悶. 言其沌沌然. 若愚人之心. 如此也.
돈돈沌沌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에 대해) 어리석고 둔하다는 뜻이다. 민민悶悶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에 대해)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하다는 뜻이다. (따라서 속인소소俗人昭昭, 아독혼혼我獨昏昏, 속인찰찰俗人察察, 아독민민我獨悶悶은) 세상 사람들은 모두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에 대해) 밝고 밝으며, 또렷하고 뚜렷지만, 나만 홀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에 대해) 어둡고 어두우며,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하다는 뜻이다. (요컨대) 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에 대해) 어리석고 둔하다, 어리석은 사람의 마음인 듯하다는 말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에 대한 노자의 모양과 모습이) 그와 같다는 뜻이다.
澹兮若其海, 以言夫澹然, 而未見其極也.
담혜약기해澹兮若其海는 (나만 홀로 그 바다와 같이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깊은데, 따라서 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의) 끝점을 살필 수 없다는 뜻이다.
飂兮其似無所止, 而言夫泛然, 而不繫於物也.
(요혜사무소지飂兮似無所止는) “(비유컨대, 나만 홀로) 바람인데, 따라서 그 그치는 바가 없다!”는 말로서, (앞에서 일컬은) “(나만 홀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물 위를 둥둥 떠다니는데, 따라서 (나만 홀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사물에 얽히고설키지 않는다”는 뜻이다.
衆人皆有以, 我獨頑且鄙, 以言夫人, 皆昭昭, 察察, 而我, 獨沌沌, 如愚也.
중인개유이衆人皆有以, 아독완차비我獨頑且鄙는 (앞에서 일컬은) 세상 사람들은 모두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에 대해) 밝고 밝으며, (그것을 또렷하고 뚜렷하게) 살피고 살피지만, 나만 홀로 (그것에 대해) 어리석고 둔하며, 어리석은 사람을 마음과 더불어 같이 한다는 뜻이다.
凡我所爲, 皆異於人. 而獨貴求食於母. 母者, 道也. 道, 生萬物. 故曰母. 食, 所以養身者. 求, 食於母. 以道, 自養也.
요컨대, 내가 일삼는 바는 모두 세상 사람들과 다르다. 왜냐하면, (나만) 홀로 도道를 구하고 먹이는 일을 귀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어미”는 도道를 가리킨다. 도道는 만물을 살아가게 한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어미.” 먹인다는 말은 몸을 기른다는 말이다. 어미를 구한다는 말은 어미를 먹인다는 말이다. 따라서 도道는 저절로 그러하게 길러지게 되는 것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