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 마태복음10장34~42절
제목 : 오직 예수 사랑
예수님에 대한 믿음 때문에 일어나게 될 불가피한 갈등을 언급하시며, 예수님을 따르기 위한 결단을 강조하십니다.
예수님을 따르려면 철저한 복종과 헌신이 요구되지만,
그 대가로 영원한 생명과 하늘의 상을 받게 될 것입니다.
1. 주님만 사랑하라(34~39절)
“[34]내가 세상에 화평을 주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말라 화평이 아니요 검을 주러 왔노라[35]내가 온 것은 사람이 그 아버지와, 딸이 어머니와, 며느리가 시어머니와 불화하게 하려 함이니[36]사람의 원수가 자기 집안 식구리라[37]아버지나 어머니를 나보다 더 사랑하는 자는 내게 합당하지 아니하고 아들이나 딸을 나보다 더 사랑하는 자도 내게 합당하지 아니하며[38]또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지 않는 자도 내게 합당하지 아니하니라[39]자기 목숨을 얻는 자는 잃을 것이요 나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잃는 자는 얻으리라”
1) 내가 세상에 검을 주러 왔노라(34절)
“[34]내가 세상에 화평을 주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말라,
화평이 아니요 검을 주러 왔노라”
내가 세상에 화평을 주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말라 - 예수당시 많은 사람들은 메사야가 와서 정치적 해방과 물질적인 번영을 가져다 줄 것이라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화평이 아니요 검을 주러 왔노라”
화평이 아니요 - 이 어구는 마치 그리스도께서 이 땅에 오신 목적이 순전히 불화(不和)와 반목(反目)을 일으키기 위함인 것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이해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화평에 대한 유대인들의 개념을 이해하게 되면 쉽게 설명될 수 있을 것입니다.
즉 화평에 해당하는 히브리어는 '샬롬'인데, 헬라어로는 '에이레네'로 번역됩니다.
유대인들은 영적 문제이든 세속적 문제이든지 간에,
온갖 종류의 복을 기원할 때, “샬롬”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메시야가 오시면 이 세상의 모든 번영이 유대 땅을 중심으로 해서 꽃피울 것이라고 믿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예수께서 본문에서 화평을 주러온 것이 아니라고 말씀하셨을 때
우리는 이를 유대인들이 고대하던 바로서의 화평, 즉 현상적(정치,경제 등)이고, 외적인 평화를 말씀하신 것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실로 예수는 본질적(하나님과 인간의 화목, 요일 4:10)이고,
내적인 평화를 선사하기 위해 이 땅에 오신 것입니다.
*요일4:10절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사 우리 죄를 속하기 위하여 화목 제물로 그 아들을 보내셨음이라”
검을 주러 왔노라 - 이사야는 메시야의 탄생을 '평강의 왕'이라 예언하였으며(사 9:6), 예수 탄생시 목동들에게 나타난 천사들은 그의 탄생을 두고 "땅에서는 기뻐하심을 입은 사람들 중에 평화로다"(눅 2:14)라고 노래하였습니다.
사실 예수는 평화의 실체이자 평화의 전달자로 이 땅에 오셨습니다
(눅 1:79; 요 14:27; 롬 10:15; 골 1:20).
*눅1:79 “어둠과 죽음의 그늘에 앉은 자에게 비치고 우리 발을 평강의 길로 인도하시리로다”
*요14:27 “평안을 너희에게 끼치노니 곧 나의 평안을 너희에게 주노라 내가 너희에게 주는 것은 세상이 주는 것과 같지 아니하니라 너희는 마음에 근심하지도 말고 두려워하지도 말라”
*골1:20 “그의 십자가의 피로 화평을 이루사 만물 곧 땅에 있는 것들이나 하늘에 있는 것들이 그로 말미암아 자기와 화목하게 되기를 기뻐하심이라”
따라서 이곳에서 예수께서 '화평'이 아니라 '검'(sword)을 주러왔다고 하신 것은, 메시야의 임하심으로 야기되는 그 영향력과 결과들 중의 하나가,
불의를 정복하고 악을 제거하는 투쟁일 것임을 밝힌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검이라고 하는 것은 적을 죽이는데 사용하는 도구이며,
무기로서 검을 준다는 것은 적대감을 유발시켜 투쟁과 분열과 전쟁을 발발케 한다는 것입니다.
실로 평화의 왕이신 예수께서 이 땅에 평화의 신국(神國)을 건설키 위해 오셨는데(5:9), 이 신국은
곧 땅 위의 죄악된 질서를 척결(剔抉)함으로써 그 위에 세워질 것입니다.
그런 까닭에 세상은 메시야와 그의 통치를 완강히 거부하게 될 것이고,
그 나라가 완성되기까지 사생결단의 치열한 혈전이 끊임없이 일어날 것입니다(요 14:27; 16:33).
한편 그 전투의 가장 치열한 격전지가 바로 예수의 십자가입니다.
2) 내가 온 것은 불화하게 하려 함이니(35절)
“[35]내가 온 것은 사람이 그 아버지와, 딸이 어머니와, 며느리가 시어머니와 불화하게 하려 함이니”
내가 온 것은 - '내가 왔다'(엘돈)는 표현은 예수의 기독론적이며, 종말론적인 자의식(自意識)을 반영해 줍니다.
사람이 그 아비와, 딸이 어미와 - 본문은 미 7:6의 인용으로써,
미가는 아하스 왕 시대의 죄악성을 묘사하고 있는데 비해,
예수는 복음이 빚어낼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복음의 주체이신 그리스도께서는 부모 자식 간의 가족적 분쟁을 일으키는데 자신이 오신 목적이 있다고 천명(闡明)하셨습니다.
그런데 이 구절을 잘못 이해하게 되면 기독교란 인륜과 도덕을 무시하는 아주 사악하고 이기적인 종교라고 생각할지 모르나,
이는 분명 예수의 참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데서 오는 결과인 것입니다.
즉 문맥을 살펴보면 예수께서는 지금 계속해서 제자들이 당하게 될 박해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키며, 그러한 핍박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격려해 오셨다는 점을 상기(想起)해야 합니다.
즉 제자들의 주의 복음을 전파하게 될 때 수많은 박해가 예상되지만 그들을 가장 많이 핍박할 자는 이방인이 아닌, 예수 자신의 경우처럼(13:53-58; 요 7:3-5), 자기 가족이 될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실제로 바울이 복음을 전파할 때 그를 가장 핍박한 자들은 로마인이나 이방인들이 아니라 같은 동족인 유대인들이었습니다.
그러나 우리 성도들은 여기서 믿지 않는 가족을 원수 취급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또한 기억해야 합니다.
적대감을 갖는 쪽은 우리가 아니라 믿지 않는 사람이어야 하는 것입니다.
한편 본문에서 특이한 것은 젊은 세대(결혼한 아들 - '사람', 미혼의 '딸', '며느리')가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로 언급되었으며, 이들이 늙은 세대에 항거할 것이라고 표현되었다는 점입니다.
이는 결국 (1) 복음의 생동감 넘치는 침투력과,
(2) 고답적(高踏的) 사상에 물들지 않은 여린 신앙인들의 복음에의 열정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불화하게 하려 함이니 - '불화하게'(다카사이)란 '둘로 나누다'는 뜻으로 신앙 문제에 관한한 신자와 불신자의 관계가 마치 기름과 물처럼 결코 연합(聯合)될 수 없음을 시사합니다.
한편 어떤 불신자들은 이 구절을 보고 기독교는 가정을 파괴하는 종교라고 비난하고 또 일부 신자들은 가족까지도 무시하거나 원수 취급을 해서라도 주를 따르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면서 오히려 자기가 앞장서서 가족의 불화와 반목을 야기시키는 경우가 이따금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본문의 말씀을 그릇되게 이해한 데서 나온 엄청난 파행(跛行)적 결과입니다.
예수께서 본문을 통해 말씀하시고자 하는 진의(眞意)는,
당신을 신앙하며 헌신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죄 많은 사람들과의 심각한 갈등과 분열을 초래(招來)하는 일임을 가르치려는데 있었습니다.
3) 사람의 원수가 자기 집안 식구리라(36절)
“[36]사람의 원수가 자기 집안 식구리라”
예수의 복음은 한 가족을 최고의 결속력으로 묶어주는가 하면 반대로 가족 내부의 심각한 분열을 초래케 합니다.
그 까닭은 복음이 본질적으로 파괴적 성향을 지녔다거나 모순투성이이기 때문이 아닙니다.
오히려 복음을 접한 각인(各人)의 부패한 심성(心性)과 반항적 기질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4) 아버지나 어머니, 아들이나 딸을 나보다 더 사랑하는 자도 내게 합당하지 아니하며(37절)
“[37]아버지나 어머니를 나보다 더 사랑하는 자는 내게 합당하지 아니하고 아들이나 딸을 나보다 더 사랑하는 자도 내게 합당하지 아니하며”
아비나 어미를 나보다 - 이 구절은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자연적인 성품에서 나온 혈연적, 인본적 사랑보다 더 큰 사랑을 요구하시는 장면입니다.
즉 예수께서는 그 어떤 것보다 더 우선하여 당신을 사랑해야 함을 강조하고 계십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본문은 가족을 사랑하는 것을 전면 부정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일은 그리스도의 제자 된 자의 제일의 의무요 본분임을 나타낼 뿐입니다.
그런 점에서 사랑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definition)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혈육간의 사랑에는 흔히 '필레오'란 말을 쓰고, 차원 높은 신(神)적이고 윤리적인 사랑을 나타낼 때는 '아가파오'란 말을 씁니다.
이 '아가페'의 사랑은 남녀 간의 육적인 사랑이나 가족 간의 애정을 넘어선 절대적 신뢰와 모든 것을 초월한 종교적인 사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에 주로 이 용어가 쓰입니다.
그리스도는 이 점을 분명히 하시면서 당신의 제자들에게 차선(次善)이나 여분으로서가 아닌 최고(最高)의 우선적 사랑을 요구하셨던 것입니다.
내게 합당치 아니하고 - 여기서 '합당하다'는 말은 특정한 평가 기준에 알맞다는 뜻입니다.
결국 본문은 그리스도 자신보다 다른 그 어떤 것을 더 사랑하는 자란 참된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기에는 전혀 부적절하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실로 예수의 제자란 예수를 사랑하는 자가 아니라 예수를 '가장' 사랑하는 자입니다.
5) 또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지 않는 자도 내게 합당하지 아니하니라(38절)
자기 십자가를 지고 - 십자가는 로마의 사형 도구로써 관례에 따라 죄수는 자기가 달릴 십자가를 지고 형장(刑場)에까지 가야 했습니다(27:32),
로마의 통치에 반대하는 유대 반란군들이 대량으로 십자가에 못박혀 사형당한 사건이 이전에 여러번 있었습니다.
특히 갈릴리를 중심한 유다의 반란(행 5:37)으로 인해 수많은 사람이 십자가 형틀의 이슬로 사라져 간 적이 있었습니다(Jos, Antiq. XVII, 10:10).
때문에 갈릴리 출신의 제자들은 이 십자가란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마 잘 알고 있었을 것입니다.
즉 그 당시 십자가란 대단히 불명예스럽고 치욕적인 죽음을 말하는 것으로서, 그리스도를 따르는 제자들은 이러한 시련까지도 감내해야만 되었던 것입니다.
이는 자기 부정(否定)에 대한 실제적인 요구였습니다.
한편 예수는 그때까지도 당신의 십자가 죽음을 발설(發說)하신 적이 없으셨지만, 적어도 당신께서는 곧 지게 되실 십자가를 생각하시면서 본문의 말씀을 하셨을 것입니다(Bengel).
나를 좇지 않는 자도 - 우리가 참된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기 위해서는 온갖 어려움과 고통, 즉 가장 무가치해 보이고 또 억울해 보이는 시련과,
또 죽음의 아픔까지도 감내하면서 그리스도가 가신 길을 뒤따라야 합니다.
물론 예수의 십자가와 제자들의 십자가는 질적으로나(인류 대속 - 헌신과 충성), 시간적으로(영원 효력을 지닌 단회적 사역 - 계속적 사역) 큰 차이가 있습니다.
여하튼 제자들은 각자의 상황에서 그리스도가 받은 희생과 죽음에 자기의 생명을 내어주기까지 동참하는 충성을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6) 자기 목숨을 얻는 자는 잃을 것이요 나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잃는 자는 얻으리라(39절)
자기 목숨을 얻는 자는 - '자기 목숨을 얻는다'는 것은 이 세상의 시한부(時限附)적인 생명에 대한 것이며,
그것을 '잃는다'는 것은 영원한 참 생명을 잃는다는 것을 가리킵니다.
다시 말해서 이 세상의 일시적인 가치를 위해 영적이고 영원한 가치를 내동댕이 치는 자는 자기의 영혼을 잃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박해와 관련된 이 문맥에서 우리는 이 구절의 내용을 처참하고도 굴욕적인 순교(殉敎)까지도 각오하라는 당부의 말씀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순교를 피하기 위해 기독교의 참 신앙을 버리면 그의 영혼을 잃어버리기 때문입니다.
목숨을 잃는 자는 - 이 말씀은 1차적으로 박해에 대한 제자들의 자세를 당부한 말씀으로서 영원한 생명을 위해서는 이 땅에서의 삶도 기꺼이 포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실로 그리스도와 복음을 위해 자신을 부인하되 생명까지 희생하는 자는
다시 생명을 얻되 더 풍성히 얻을 것입니다.
우리가 주님을 위해 바치는 것은
그 어떤 것이라도 조금도 상실(loss)되지 않습니다.
주를 위해 생명을 바칠 때 그것은 죽는 것이 아니며,
재물을 바칠 때 그것은 없어지지 아니합니다.
즉 생명은 주 안에서 거듭 태어날 것이고,
재물과 시간은 축복으로 되돌아 올 것입니다.
2. 영접하는 자의 상(40~42절)
“[40]너희를 영접하는 자는 나를 영접하는 것이요 나를 영접하는 자는 나 보내신 이를 영접하는 것이니라[41]선지자의 이름으로 선지자를 영접하는 자는 선지자의 상을 받을 것이요 의인의 이름으로 의인을 영접하는 자는 의인의 상을 받을 것이요[42]또 누구든지 제자의 이름으로 이 작은 자 중 하나에게 냉수 한 그릇이라도 주는 자는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그 사람이 결단코 상을 잃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1) 나를 영접하는 자는 나 보내신 이를 영접하는 것이니라(40절)
“[40]너희를 영접하는 자는 나를 영접하는 것이요 나를 영접하는 자는 나 보내신 이를 영접하는 것이니라”
너희를 영접하는 자 - 보냄을 받은자를 영접하는 것은 보낸 자를 영접하는 것과 같다는 의미입니다(눅 10:16; 요 12:44, 45; 13:20; 행 9:4).
예수께서는 자신을 믿는 자는 자기를 보낸 자를 믿는 것이며 자신을 보는 자는 자기를 보내신 이를 보는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요12:44, 45).
따라서 제자들은 단순 대리인(代理人)으로 파송되는 것이 아니라 예수의 한 지체(肢體)로서 예수의 이름을 가지고 나아가는 것입니다.
이는 마치 그리스도 안에 하나님이 계셔서 하나님이 그리스도를 통하여 당신의 일을 하시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자들은 예수의 메시지를 가지고 나아가 자기들의 생각과 뜻이 아니라 바로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는 그리스도의 일을 하는 것입니다.
2) 선지자와 의인의 이름으로 그들을 영접하는 자는 선지자와 의인의 상을 받을 것이요(41절)
“[41]선지자의 이름으로 선지자를 영접하는 자는 선지자의 상을 받을 것이요 의인의 이름으로 의인을 영접하는 자는 의인의 상을 받을 것이요”
“선지자의 이름으로 선지자를 영접하는 자는 선지자의 상을 받을 것이요” 선지자의 이름으로 선지자를 영접한다고 하는 것은-
그 선지자를 단순히 인간적 동정이나 연민의 차원에서 떠나,
하나님의 메신저, 곧 선지자로서의 지위에 합당하게 대우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선지자를 영접하는 것은 선지자의 상급에도 참여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선지자의 상 - 선지자들은 하나님의 부르심에 의해 선택된 자들인 만큼, 모든 사람들이 다 선지자의 일을 할 수는 없습니다.
한편 하나님의 권위를 덧입은 이들을,
자신의 집으로 영접하는 것은 결코 작은 영예(榮譽)가 아닙니다.
따라서 평범한 사람은 선지자를 우대함으로써 그의 거룩한 사업에 동참하여 그가 받는 은혜와 보상을 다소나마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왕하 4:8 ff).
“의인의 이름으로 의인을 영접하는 자는 의인의 상을 받을 것이요” -
'의인'이란 하나님의 뜻을 구체적으로 실천하여 신앙과 행동이 일치하는 자를 가리킨다고 볼 수 있습니다(행 22:14; 약 5:6).
한편 다니엘은 의인들의 최후 승리를 예언하면서,
구원을 얻을 모든 하나님의 백성을 가리켜 의롭다고 묘사한 바 있습니다(단12:1-4).
'의인'은 결국 예수의 제자들이 가르치는 훈도(薰陶)를 따르며, 그들이 제시한 예수를 온전한 믿음으로 수용(受容)한 자를 뜻합니다(5:20).
3) 제자의 이름으로 이 작은 자 중 하나에게 냉수 한 그릇이라도 주는 자는 결단코 상을 잃지 아니하리라(42절)
“[42]또 누구든지 제자의 이름으로 이 작은 자 중 하나에게 냉수 한 그릇이라도 주는 자는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그 사람이 결단코 상을 잃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제자의 이름으로 - 40-42절은 제자들을 격려, 위로하는 강화의 결말부에 해당됩니다.
여기에는 선지자, 의인, 제자가 병렬(竝列)되어 있는데,
이들은 이들 모두가 각기 신분과 직책이 다른 구별된 특수 계층이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Hill).
작은자는 흔히 배우는 자(사 60:22; 슥 13:7; A. T. Robertson)나
미천하고 소외된 자들을 의미하지만(18:6, 10; 막 9:42),
본문에서는 선지자, 의인, 제자가 모두 포함되는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선지자나 사도들 그리고 의인들은 세상 사람들로부터 핍박을 받고 철저히 무시당했다는 점에서 분명히 작은 자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천국의 가치관에서는 섬기는 자가 머리가 되기 때문에,
이들 선지자나 의인, 사도들은 모두 이 작은 자의 신분에 있다고 봅니다.
냉수 한 그릇이라도 주는 자 -
이처럼 비록 하찮게 보이는 자들에게 베풀어지는 정성어린 대접은,
제공하는 편에서는 별것(a rarity) 아닐지라도,
제공 받는 자와 그를 그곳에 보낸 자의 편에서는 귀중한 선물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예수께서는 당신의 이름으로 당신의 사역자들과 그들이 전한 복음을 받아들이고 환대하는 자들의 봉사를 단순한 도덕적 선행 이상의 가치로 평가하십니다(25:35-40)
우리에게 주시는 교훈은 무엇입니까?
1) 예수님은 사랑과 충성을 요구하십니다(34~37절).
예수님의 오심과 예수님의 선포는 우리의 선택과 결단을 요구하기에 필연적으로 예수님을 믿고 따르는 사람들과 그러지 않는 사람들로 나뉘게 됩니다. 예수님이 검을 주러 오셨다는 것은 불화를 일으키기 위해 오셨다는 뜻이 아니라, 예수님에 대한 서로 다른 반응으로 인해 불화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뜻입니다. 예수님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랑하는 이들과의 불화와 갈등은 큰 고통을 줄 뿐 아니라 때로는 믿음을 타협하게 하는 유혹이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사랑하는 사람들보다 더욱 주님을 사랑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에 대한 사랑을 우위에 두면서도 더욱 힘써 가족을 사랑합시다.
최고의 가족사랑은 예수님을 전하는 것입니다.
2) 자신을 부인할 때 예수님을 따를 수 있습니다(38,39절).
자기사랑은 욕망과 죄의 본질로서,
십자가를 진다는 것은 자기 사랑을 못 박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예수님을 따른다는 것은
예수님이 가신 희생과 섬김의 길을 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수님을 따르는 데 가장 방해가 되는 것은 무엇입니까?
예수님을 더욱 잘 따르기 위해 내가 버리고 내려놓아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
3) 보냄받은 이를 영접하는 것은 보낸 이를 영접하는 것과 같습니다(40절).
예수님은 사람들이 제자들을 영접하는 것은 제자들을 보내신 예수님을 영접하는 것과 같으며, 예수님을 영접하는 것은 예수님을 보내신 하나님을 영접하는 것과 같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의 모든 만남이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서 이루어진 것을 믿는다면,
만나는 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4) 작은 자라 하더라도 무시하지 말고 친절을 베풀어야 합니다(41~42절).
선지자나 의인뿐 아니라 환영받지 못하는 작은 자 한 사람에게 냉수 한 잔을 대접하는 작은 친절에도 상이 있습니다.
가까운 이들부터 환대하며 작은 친절을 베풉시다.
기도
공동체-예수님을 사랑으로 따르며, 가족과 이웃들에게 예수님의 사랑을 전하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