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U1xilR7TJyU
(16. 6.17) 룻기 (성경 맥 잡기_56) (룻기 1~4장) : (정동수 목사, 사랑침례교회, 킹제임스 흠정역 성경, 강해, RUTH)
↑ 클릭하셔서 자료 참고하세요(파일받기 - 파일열기)
룻기(Ruth) 맥잡기 01(성경 맥잡기 56)
룻기 개요
기록자: 사무엘(탈무드), 기록 시기: 주전 1070년경, 성격: 역사, 기간: 약 10년(어셔)
수신자: 하나님의 보호를 받은 이스라엘 백성
이름: 룻기는 이 책의 여주인공 즉 남편이 죽은 뒤 과부가 된 시어머니와 함께 베들레헴으로 돌아온
모압 여인의 이름을 따서 그 이름이 붙여졌다. 룻은 다윗 왕(룻4:1822)과 예수님(마1:1, 5)의
조상이므로 이스라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성경에서 룻기와 에스더기는 유일하게 여자의
이름을 딴 책이다. 주제: 메시아가 나올 가계를 세우기 위하여 하나님께서 여러 가지 상황 속에서
자신의 백성의 삶에 간섭해서 은혜를 베푸시는 것
목적: 구원이 유대인에게서 나오되 유대인만을 위한 것은 아님을 보여 주는 것(1:16; 요4:22)
내용: 재판관들의 시대에 이스라엘은 지파들 간의 쟁투와 이방 세력의 압제로 말미암아 종교적, 정치적,
도덕적으로 약화되어 있었다. 특별히 이집트 탈출 당시 하나님의 권능을 경험한 백성들의 하나님께
대한 경배심은 우상숭배로 인해 약화되었다. 그러나 룻의 이야기는 재판관 시대의 일반적인 생활상과는
다른 측면을 보여 준다. 여기서 우리는 베들레헴 출신의 경건한 가정이 겪는 기쁨과 슬픔을 보며 또
사사기 1820장에 드러난 극도의 배도와 불안 속에서도 보아스와 같이 여전히 주 하나님을 섬기며
경건한 삶을 이루는 사람을 본다. 이스라엘의 하나님을 섬기게 된 이방 여인 룻은 그 당시 이스라엘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신앙과 충절을 보여 주었다. 룻은 자기의 첫 남편을 잃은 뒤에 시어머니와 함께 베들레헴
으로 돌아왔고 보아스와 결혼하여 다윗 왕의 조상이 되었다. 이 기사를 통해 우리는 수천 년 전에
아브라함에게 약속한 것을 이루기 위해 사람에게 불가능하게 보이는 것들을 움직여서 자신의 뜻을
성취하시는 하나님의 섭리를 본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부르셔서 장차 유대인과 이방인의 메시아가
나올 민족을 세우게 하셨는데 바로 이 민족 가운데서 메시아가 나올 가족이 룻기 안에 기록되어 있다.
배경: 무법천지인 재판관들의 시대에 이런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가 펼쳐지는 것은 기적
하나님은 지금도 그런 일을 하신다. 교회 시대에 아들을 위해 신부를 취하신다.
룻기는 성경의 여덟째 책, 새로운 시작을 뜻한다. 악한 사람들이 많아도 여전히 선한 사람들이 있고
그들은 한구석에서 역사를 만든다.
재판관기: 이스라엘의 쇠락, 사무엘: 유다 왕국의 확립, 그 사이의 룻기
신약 시대 이스라엘의 쇠락, 천년 왕국, 그 사이의 교회 시대에 하나님은 이방인 신부를 부르신다.
신학: 다윗 왕의 출생 배경 설명, 룻은 모압 여인, 모압 사람들은 이스라엘에 들어올 수 없었다(신23:3).
그런데 이 여인은 단지 이스라엘의 하나님에 대한 믿음만으로 하나님의 백성이 되었다. 이방인을 구원하
시는 예표(엡2:11-22). 보아스는 친족 구속자로 예수님의 예표, 자신을 희생하여 룻을 자기 상속의
일부로 만듦, 룻은 메시아 계보(마1:5), 믿음의 여인 라합과 마찬가지로 룻은 유대인과 결혼하여
구원의 상속자가 됨.
룻기 1장: 배경
베들레헴의 기근(1): 베들레헴은 ‘빵의 집’, 여기에 기근이 생김
엘리멜렉, 나오미, 말론과 기룐, 모압 지방으로 건너감(2)
엘리멜렉, 말론과 기룐이 모두 죽음, 이들의 아내는 오르바와 룻(4), 10년 정도 삶
나오미의 조언(6-18): 두 며느리에게 모압 땅에 남아 새로 시집갈 것을 이야기함
오르바는 가고 룻은 나오미를 따름(16)
나오미의 절망(19-22), 나오미(내 기쁨)라 하지 말고 마라라 하라(20-21). 베들레헴에 정착
룻기 2장: 룻이 보아스를 만남
나오미의 친족 보아스(1), 룻이 이삭을 줍다가 우연히 보아스의 밭에 이름(3)
보아스의 친절(11-17)
룻의 보고와 나오미의 격려(20), 친족 친족 친족(무려 15회 이상), 룻의 순종- 2 -
룻기 3장: 보아스의 약속
보아스를 알게 된 이후 나오미의 삶은 오직 룻을 위한 삶
나오미의 조언(1-5): 수확하는 때, 룻을 보아스의 타작마당으로 가게 함
보아스와 룻(6-13): 가까운 친족(9), 룻이 청혼을 함. 보아스가 하지 않은 이유: (1) 나이가 많음(10):
‘내 딸아!’, (2) 더 가까운 친족이 있음(12)
친족 구속자(11-13): 히브리어 고엘, 상속 유산을 무를 자, 구약에서 친족은 종종 ‘무를 권리를 소유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이스라엘은 궁핍할 때에 자기나 가족 혹은 땅을 팔 수 있었으므로(레
25:39-43) 다시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그들의 친족으로서 그들을 무를 사람 즉 친족 구속자가 필요했
다(레25:25). 보아스와 룻의 이야기는 이 점을 잘 보여 준다(룻4). 예수님은 바로 인류의 친족 구속자로
죄에 빠진 사람들을 구속하기 위해 이 세상에 오셨다(히2:11-12, 17).
룻의 보고와 나오미의 권고(14-18)
룻기 4장: 보아스의 구속
보아스의 구속 사역 시작(1-6): 더 가까운 친족이 무르지 않기로 함
신을 벗어 확인함(7-8): 신25:7-10, 보아스가 룻의 남편이 됨(7-12): 11-12절의 축복
보아스와 룻의 후손들(13-22); 보아스와 룻의 아들은 오벳, 오벳은 이새의 아버지,
살몬: 유다 지파의 우두머리. 그는 살마(대상2:11)라 불리기도 하였고 여리고의 창녀 라합의 남편이며
보아스의 아버지였다(룻4:20; 마1:4-5; 눅3:32).
이 계보에서 다윗이 태어남(22): 이 계보에는 다말(음행), 라합(창녀), 룻(이방 여인) 등이 들어 있음
구속(Redemption, 눅1:68; 갈3:13; 계5:9)
1. 구속의 세 가지 의미
a.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을 위해 속죄 값(ransom price)을 내는 것(히9:12)
b. 노예시장에서 빼내는 것(갈3:13)
c. 완전히 해방하는 것
(1) 지금 즉시 놓아주는 것(롬3:24; 고전1:30; 골1:14)
(2) 앞으로 궁극적으로 놓아주는 것(롬8:22-23; 엡4:30)
2. 구약의 예: 친족 구속자(goel 혹은 kinsman-redeemer), 세 가지 조건이 있다.
a. 그는 가까운 친족이어야 한다(레25:47-49; 룻3:12-13; 4:1-10).
b. 그는 구속할 능력이 있어야 한다(렘50:34).
c. 그는 구속할 의사가 있어야 한다: 예수님은 이 셋을 다 만족시키셨다.
(1) 가까운 친족이 되셨다(히2:14-16; 4:15).
(2) 능력이 있으시다(요10:11, 18).
(3) 의사가 있으시다(히10:4-10).
3. 구속은 큰 값을 치러야 한다(벧전1:18-19).
4. 성경은 하나님의 두 가지 위대한 일을 기록한 책이다: 창조(창1-2)와 구속(창3-계22).
5. 창조는 말씀으로 간단히 되었지만 구속은 그분의 아들의 값비싼 죽음으로 된다.
실제적 교훈
1. 환경이 아무리 좋지 않아도 하나님께 순종하며 그분께서 이기게 하신다.
2. 하나님은 누구라도 구원할 수 있다. 룻보다 구원받기 어려운 사람은 없었다.
3. 하나님은 자신을 신뢰하고 남을 섬기려는 사람을 섭리로 돌보신다(롬8:28).
4. 나오미처럼 우리의 실수를 두고 하나님을 원망하면 아무 소용이 없다. 룻은 나오미의 절망을 희망으로
바꾸어 주었다.
5. 이삭줍기 같이 작은 일에 신실하면 하나님이 메시아 계보를 잇는 큰일도 맡기신다.
6. 주님을 기다리는 자는 행복하다.- 3 -
-------------
룻기 맥잡기 요약은 Wiersbe의 <Be Commentary, The Bible Exposition Commentary:
Old Testament>
I. 룻의 슬픔(1)
A. 나오미의 잘못된 결정(1:1-5)
B. 나오미의 잘못된 조언(1:6-18)
C. 나오미의 잘못된 태도(1:19-22)
II. 룻의 섬김(2)
A. 하나님이 룻을 인도함(2:1-3)
B. 보아스의 친절(2:4-16)
C. 나오미의 격려(2:17-23)
III. 룻의 순종(3)
A. 나오미의 조언에 따름(3:1-5)
B. 보아스에 말에 따름(3:6-13)
C. 보아스가 일하도록 기다림(3:14-18)
IV. 룻의 행복(4)
A. 보아스의 구속(4:1-12)
B. 보아스의 결혼(4:13)
C. 보아스와 룻의 아들(4:14-21
- 끝 -
정동수 목사님 프로필
- 학 력 -
인하대학교 기계공학 학사(1982)
캐나다 뉴브런스윅 주립대 기계공학 석사(1984)
미국 매리랜드 주립대 기계공학 박사(1988)
미국 펜사콜라 신학대학원 석사(2001)
목사 안수(2001)
- 경 력 -
현,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1992-현재)현, 사랑침례교회 담임목사
http://www.cbck.org/html/ 사랑침례교회
http://cafe.daum.net/Jesus-bible 예수그리스도안에서(카페)
http://www.keepbible.com/ 킵바이블
#기도 #개역성경 #킹제임스흠정역성경 #정동수목사 #사랑침례교회 #설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