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9장(第九章)_6절(1/2)/11節절
* 飛龍비룡 辛鐘洙신종수 總務총무님 提供제공.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9장(第九章)_6절
p.330 【經文】 =====
是故四營而成易十有八變而成卦
是故 四營而成易, 十有八變而成卦
是故로 四營而成易하고 十有八變而成卦하니
이러므로 네 番번 經營경영하여 易역을 이루고 十有八番18번 變변하여 卦괘를 이루니,
中國大全
p. 330 【本義】 =====
四營謂分二掛一揲四歸奇也易變易也謂一變也三變成爻十八變則成六爻也
四營, 謂分二, 掛一, 揲四, 歸奇也. 易, 變易也, 謂一變也. 三變成爻, 十八變則成六爻也.
四營은 謂分二, 掛一, 揲四, 歸奇也라 易은 變易也니 謂一變也라 三變成爻하니 十八變則成六爻也라.
네 番번 經營경영한다는 것은 둘로 나누고 하나를 걸고 넷으로 세고 나머지 數수를 돌리는 것이다. 易역은 變易변역이니 한 番번 變변함을 이른다. 세 番번 變변하여 爻효를 이루니, 十有八番18번 變변하면 六爻육효를 이룬다.
p. 330 【小註】 =====
朱子曰四營而成易易字只是個變字四度經營方成一變若說易之一變卻不可這處未下得卦字亦未下得爻字只下得易字
朱子曰, 四營而成易, 易字, 只是個變字, 四度經營方成一變. 若說易之一變, 卻不可, 這處, 未下得卦字, 亦未下得爻字, 只下得易字.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네 番번 經營경영하여 易역을 이룬다”에서 ‘易역’字자는 ‘變변’字자이니 네 番번 經營경영해야 비로소 一變일변을 이룬다. 萬若만약 易역의 一變일변이라고 말해도 안 된다. 이런 곳에서는 ‘卦괘’字자를 쓸 수도 없고 ‘爻효’字자를 쓸 수도 없어 但只단지 ‘易역’字자를 썼다.”
○ 四營而成易者營謂經營易卽變也謂分二掛一揲四歸奇凡四度經營蓍策乃成一變也十有八變而成卦者謂旣三變而成一爻復合四十九策如前經營以爲一變積十八變則成六爻而爲一卦也其法初一變兩揲之餘爲掛扐者不五則九第二變兩揲之餘爲掛扐者不四則八第三變兩揲之餘爲掛扐者亦不四則八五四爲少九八爲多若三變之間一五兩四則謂之三少一九兩八則謂之三多或一九一八而一四或一五而二八則謂之兩多一少或一九而二四或一五一四而一八則謂之兩少一多蓋四十九策去其初掛之一而存者四十八以四揲之爲十二揲之數四五爲少者一揲之數也八九爲多者兩揲之數也一揲爲奇兩揲爲偶奇者屬陽而象圓偶者屬陰而象方圓者一圍三而用全故一奇而含三方者一圍四而用半故一偶而含二也若四象之次則一曰太陽二曰少陰三曰少陽四曰太陰以十分之則居一者含九居二者含八居三者含七居四者含六其相爲對待而具於洛書者亦可見也故三少爲老陽者三變各得其一揲之數而三三爲九也其存者三十六而以四數之復得九揲之數也左數右策則左右皆九左右皆策則一而圍三也三多爲老陰者三變各得兩揲之數而三二爲六也其存者二十四而以四數之復得六揲之數也左數右策則左右皆六左右皆策則圍四用半也兩多一少爲少陽者三變之中再得兩揲之數一得一揲之數而兩二一三爲七也其存者二十八而以四數之復得七揲之數也左數右策則左右皆七左右皆策則方二圓一也方二謂兩八圓一謂一十二兩少一多爲少陰者三變之中再得一揲之數一得兩揲之數而二三一二爲八也其存者三十二而以四數之復得八揲之數也左數右策則左右皆八左右皆策則圓二方一也圓二謂兩十二方一謂一八
○ 四營而成易者, 營謂經營, 易卽變也, 謂分二掛一揲四歸奇, 凡四度經營蓍策乃成一變也. 十有八變而成卦者, 謂旣三變而成一爻, 復合四十九策, 如前經營以爲一變, 積十八變則成六爻而爲一卦也. 其法初一變, 兩揲之餘爲掛扐者, 不五則九. 第二變, 兩揲之餘爲掛扐者, 不四則八. 第三變, 兩揲之餘爲掛扐者, 亦不四則八. 五四爲少, 九八爲多. 若三變之間, 一五兩四則謂之三少, 一九兩八則謂之三多. 或一九一八而一四, 或一五而二八則謂之兩多一少, 或一九而二四, 或一五一四而一八, 則謂之兩少一多. 蓋四十九策, 去其初掛之一而存者四十八. 以四揲之, 爲十二揲之數. 四五爲少者, 一揲之數也, 八九爲多者, 兩揲之數也. 一揲爲奇兩揲爲偶. 奇者屬陽而象圓, 偶者屬陰而象方. 圓者, 一圍三而用全, 故一奇而含三. 方者, 一圍四而用半, 故一偶而含二也. 若四象之次, 則一曰太陽二曰少陰三曰少陽四曰太陰. 以十分之, 則居一者含九, 居二者含八, 居三者含七, 居四者含六, 其相爲對待而具於洛書者亦可見也. 故三少爲老陽者, 三變各得其一揲之數, 而三三爲九也. 其存者三十六, 而以四數之, 復得九揲之數也. 左數右策則, 左右皆九. 左右皆策, 則一而圍三也. 三多爲老陰者, 三變各得兩揲之數, 而三二爲六也. 其存者二十四, 而以四數之, 復得六揲之數也. 左數右策, 則左右皆六. 左右皆策, 則圍四用半也. 兩多一少爲少陽者, 三變之中, 再得兩揲之數, 一得一揲之數, 而兩二一三爲七也. 其存者二十八, 而以四數之, 復得七揲之數也. 左數右策則左右皆七. 左右皆策則方二圓一也. 方二謂兩八, 圓一謂一十二. 兩少一多爲少陰者, 三變之中再得一揲之數, 一得兩揲之數而二三一二爲八也. 其存者三十二而以四數之復得八揲之數也. 左數右策則左右皆八. 左右皆策則圓二方一也. 圓二謂兩十二, 方一謂一八.
“네 番번 經營경영해서 易역을 이룬다”에서 營영은 經營경영이고 易역은 곧 變변이니 둘로 나누고 하나를 걸고 四個4개씩 세고 나머지를 돌리니 모두 네 番번 經營경영해서 一變1변을 이룬다. “十有八變18변하여 卦괘를 이룬다”는 것은 三變3변해서 一爻1효를 이루고 다시 合합친 四十九策49책을 앞에서와 같이 經營경영하여 一變1변을 이루고 쌓아서 十八變18변이 되면 한 卦괘를 이룸을 말한다. 그 方法방법은 처음 一變1변에서 兩양쪽 손의 것을 세고 남아 걸고 끼운 數수는 五5나 九9이다. 第二變제2변에서 兩양쪽 손의 것을 세고 남아 걸고 끼운 數수는 四4가 아니면 八8이다. 第三變제3변에서 兩양쪽 손의 것을 세고 남아 걸고 끼운 數수도 四4가 아니면 八8이다. 五5와 四4는 적고 九9와 八8은 많다. 萬若만약 三變3변하는 사이에 五5가 하나이고 四4가 둘이면 ‘三少삼소’라 부르고, 九9가 하나이고 八8이 둘이면 三多삼다라 부른다. 惑혹 九9가 하나 八8이 하나 四4가 하나이거나 五5가 하나이고 八8이 둘이면 兩多一少양다일소라 부르고, 惑혹 九9가 하나 四4가 둘이거나 惑혹 五5가 하나 四4가 하나 八8이 하나이면 兩少一多양소일다라 부른다. 四十九策49책에서 처음에 건 一1을 除外제외하면 남는 것이 四十八策48책이다. 四個4개씩 세었기에 十二番12번 세는 數수가 된다. 四4나 五5가 적은 것은 한 番번 센 數수이고 八8이나 九9가 많은 것은 두 番번 센 數수이다. 한 番번 센 것은 奇기이고 두 番번 센 것은 偶우이다. 奇기는 陽양에 屬속해 圓원을 象徵상징하고 偶우는 陰음에 屬속해 方방을 象徵상징한다. 圓원은 지름이 一1일 때 둘레가 三3인데 全部전부를 다 쓰기 때문에 하나의 奇기가 三삼을 包含포함한다. 方방은 直徑직경이 一1일 때 둘레가 四4인데 折半절반을 쓰기 때문에 하나의 偶우가 二2를 包含포함한다. 四象사상의 順序순서로 말하면, 一1이 太陽태양이고 二2가 少陰소음이고 三3이 少陽소양이고 四4가 太陰태음이다. 十10을 分離분리하면 一1에 居거해 九9를 품고, 二2에 居거해 八8을 품고, 三3에 居거해 七7을 품고, 四4에 居거해 六6을 품어 서로 對待대대하니 「洛書낙서」에 具備구비된 것에서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三少삼소로 老陽노양인 境遇경우는 三變3변에 各其각기 한 番번 센 數수를 얻어 三3×三3=九9이다. 그 남아있는 策數책수가 三十六36인데 四個4개씩 따지면 다시 九9번 센 數수를 얻는다. 左좌[왼 손]는 數수로 따지고 右우[오른 손]는 策數책수로 따지면 左右좌우가 다 九9이다. 左右좌우를 모두 策數책수로 따지면 一1에 둘레가 三3인 셈이다. 三多삼다로 老陰노음인 境遇경우는 三變3변에 各其각기 한두 番번 센 數수를 얻어 三3×二2=六6이다. 그 남아있는 策數책수가 二十四24인데 四個4개씩 따지면 六番6번 센 數수이다. 左좌[왼 손]는 數수로 따지고 右우[오른 손]는 策數책수로 따지면 左右좌우가 다 六6이다. 左右좌우를 모두 策數책수로 따지면 둘레가 四4인데 折半절반을 쓰는 셈이다. 兩多一少양다일소로 少陽소양인 境遇경우는 三變3변에 두 番번 센 數수를 二番2번 얻고 한 番번 센 數수를 一番1번 얻어 (二2×二2)+(一1×三3)=七7이다. 그 남아있는 策數책수가 二十八28인데 四個4개씩 따지면 七番7번 센 數수이다. 左좌[왼 손]는 數수로 따지고 右우[오른 손]는 策數책수로 따지면 左右좌우가 다 七7이다. 左右좌우를 모두 策數책수로 따지면 方방은 二2이고 圓원은 一1이다. 圓원이 一1이라는 것은 하나의 十二12를 말한다. 兩少一多양소일다로 少陰소음인 境遇경우는 三變3변에 두 番번 센 數수를 一番1번 얻고 한 番번 센 數수를 二番2번 얻어 (二2×三3)+(一1×二2)=八8이다. 그 남아있는 策數책수가 三十二32인데 四個4개씩 따지면 八番8번 센 數수이다. 左좌[왼 손]는 數수로 따지고 右우[오른 손]는 策數책수로 따지면 左右좌우가 다 八8이다. 左右좌우를 모두 策數책수로 따지면 圓원은 二2이고 方방은 一1이다. 圓원이 二2라는 것은 둘인 十二12이다. 方방이 一1이라는 것은 하나의 八8을 말한다.
* 四象사상의 順序순서: 一1이 太陽태양이고 二2가 少陰소음이고 三3이 少陽소양이고 四4가 太陰태음 |
○ 多少之說雖不經見然其實以一約四以奇爲少以偶爲多而已九八者兩其四也陰之偶也故謂之多五四者一其四也陽之奇也故謂之少奇陽體圓其法徑一圍三而用其全故少之數三偶陰體方其法徑一圍四而用其半故多之數二歸奇積三三而爲九則其過揲者四之而爲三十六矣歸奇積三二而爲六則其過揲者四之而爲二十四矣歸奇積二三一二而爲八則其過揲者四之而爲三十二矣歸奇積二二一三而爲七則其過揲者四之而爲二十八矣過揲之數雖先得之然其數衆而繁歸奇之數雖後得之然其數寡而約紀數之法以約御繁不以衆制寡故先儒舊說專以多少決陰陽之老少而過揲之數亦冥會焉初非有異說也
○ 多少之說雖不經見, 然其實以一約四, 以奇爲少, 以偶爲多而已. 九八者, 兩其四也, 陰之偶也, 故謂之多. 五四者, 一其四也, 陽之奇也, 故謂之少. 奇陽體圓, 其法徑一圍三而用其全, 故少之數三. 偶陰體方, 其法徑一圍四而用其半, 故多之數二. 歸奇積三三而爲九, 則其過揲者四之而爲三十六矣. 歸奇積三二而爲六, 則其過揲者四之而爲二十四矣. 歸奇積二三一二而爲八, 則其過揲者四之而爲三十二矣. 歸奇積二二一三而爲七, 則其過揲者四之而爲二十八矣. 過揲之數, 雖先得之, 然其數衆而繁, 歸奇之數, 雖後得之, 然其數寡而約. 紀數之法, 以約御繁, 不以衆制寡. 故先儒舊說, 專以多少決陰陽之老少, 而過揲之數亦冥會焉, 初非有異說也.
多少다소의 說明설명은 經典경전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一1로 四4를 要約요약하여 奇기를 少소로 삼고 偶우를 多다로 삼을 뿐이다. 九9나 八8은 그 四4가 둘이니 陰음의 偶우이기 때문에 多다라고 한다. 五5나 四4는 그 四4가 하나이니 陽양의 奇기이기 때문에 少소라고 한다. 奇기는 陽양으로 圓원의 몸-體체이니 그 法법은 지름이 一1일 때 둘레가 三3이고 그 全部전부를 쓰기 때문에 少소의 數수가 三3이다. 偶우는 陰음으로 方방의 몸-體체이니 그 法법은 直徑직경이 一1일 때 둘레가 四4이고 그 折半절반을 쓰기 때문에 多다의 數수가 二2이다. 나머지를 돌려서 蓄積축적된 것이 三3×三3=九9이면 그 세고 남은 것을 四個4개씩 따지면 三十六36이다. 나머지를 돌려서 蓄積축적된 것이 三3×二2=六6이면 그 세고 남은 것을 四個4개씩 따지면 二十四24이다. 나머지를 돌려서 蓄積축적된 것이 (二2×三3)+(一1×二2)=八8이면 그 세고 남은 것을 四個4개씩 따지면 三十二32이다. 나머지를 돌려서 蓄積축적된 것이 (二2×二2)+(一1×三3)=七7이면 그 세고 남은 것을 四個4개씩 따지면 二十八28이다. 세고 남은 數수는 비록 먼저 얻었지만 그 數수가 많고 번거로우며 나머지를 돌린 數수는 비록 뒤에 얻었지만 그 數수가 적고 簡略간략하다. 數수를 記錄기록하는 法법은 簡略간략함으로 번거로운(繁번) 것을 統御통어하지 않은 것으로 簡略간략한 것을 制御제어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앞선 學者학자들의 옛 說明설명은 오로지 多少다소를 가지고 陰陽음양의 老少노소를 決斷결단하였지만 세고 남은 數수 또한 慇懃은근히 符合부합하니 처음부터 異說이설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 統御통어: (部下부하를) 거느려서 制御제어함. |
○ 平菴項氏曰此一節以是故發辭蓋接上文二篇之策而論揲蓍求卦之法于以總括夫一章之事也自下文八卦小成以下乃言得卦之後占象推演之法而一章之事備矣
○ 平菴項氏曰, 此一節以是故發辭, 蓋接上文二篇之策而論揲蓍求卦之法, 于以總括夫一章之事也, 自下文八卦小成以下, 乃言得卦之後, 占象推演之法, 而一章之事備矣.
平庵項氏평암항씨가 말하였다. “이 한 句節구절은 ‘是故시고’의 이끄는 말로 윗 글의 ‘二篇之策이편지책’을 이어서 揲蓍설시하여 卦괘를 求구하는 方法방법을 論논했으니 이 章장의 일을 總括총괄하였고, 아래 글의 ‘八卦小成팔괘소성’以下이하는 卦괘를 얻은 뒤에 占점친 象상을 미루어 넓히는 法법을 말하여 이 章장의 일을 具備구비하였다.”
韓國大全
【박치화(朴致和) 「설계수록(雪溪隨錄)」】
○ 四營四時之義也. 四營而十八變, 則爲七十二, 應七十二候之數也.
네 番번 經營경영함은 四時사시의 뜻이다. 네 番번 經營경영해서 十八變18변을 하면 七十二72가 되어 七十二節候72절후의 數수에 對應대응한다.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四營
네 番번 經營경영한다.
小註, 朱子說, 左數右策, 左右皆策. 詳見河洛指要
小註소주에 朱子주자가 말한 左좌[왼 손]는 數수로 따지고 右우[오른 손]는 策數책수로 따지고 左右좌우를 모두 策數책수로 따진다. 仔細자세한 것은 『河洛指要하락지요』에 보인다.
右第九章
以上이상은 第九章제9장이다.
案, 揲蓍之法始於此. 正義小失其指, 而郭氏辨疑辨證釋疑等書, 又大失焉. 朱子辨正, 詳見於蓍卦考. 誤纂註者, 往往引郭氏說, 而不載朱子辨說, 致人疑晦難明. 故今抄錄如左, 因略釋其意, 使讀者有所攷焉.
내가 살펴보았다. 揲蓍설시하는 法법은 여기에서 始作시작하였다. 『周易正義주역정의』에서는 그 뜻을 조금 잃어버렸고 郭氏곽씨의 辨疑변의와 辨證변증과 釋疑석의 等등의 글에서도 크게 잃어버렸다. 朱子주자가 바르게 辨證변증한 것은 「蓍卦考시괘고」에 仔細자세하게 보인다. 註주를 잘못 모으는 者자는 種種종종 郭氏곽씨의 說설을 引用인용하고 朱子주자의 辨證변증을 싣지 않아 사람들을 疑心의심하고 어둡게 하여 밝히기 어렵게 만들었다. 그렇기 때문에 只今지금 아래에 抄錄초록을 해놓으며 그 뜻을 大略대략 풀어 읽는 사람들이 詳考상고(攷살필 고)하게 하였다.
正義, 推演天地之數, 唯用五十策. 就五十策中去其一, 餘所用者四十有九. 合同未分是象太一也. 分而爲二以象兩者, 以四十九分而爲二, 以象兩儀也.[此以上繫節文] 掛一以象三者, 就兩儀之間, 於天數之中, 分掛其一, 而配兩儀, 以象三才也. 揲之以四以象四時者, 分揲其蓍, 皆以四四爲數以象四時也. 歸奇於扐以象閏者, 奇謂四揲之餘, 歸此殘奇於所扐之策而成數, 以法象天道歸殘聚餘分而成閏也. 五歲再閏者, 凡前閏後閏相去略三十二月, 在五歲之中, 故五歲再閏. 再扐而後掛者, 旣分天地, 天於左手, 地於右手, 乃四四揲天之數, 最末之餘, 歸之合於扐掛之一處, 是一揲也. 又以四四揲地之數, 最末之餘, 又合於前歸之扐而總掛之, 是再扐而後掛也.
『周易正義주역정의』에서 “天地천지의 數수를 미루어 넓히는데 오직 五十策50책을 쓴다. 五十策50책 가운데 一1을 除去제거하고 나머지 쓰는 것이 四十有九49이다. 함께 合합해서 나누지 않음은 太一태일을 象徵상징한다. 나누어서 둘로 만들어 兩儀양의를 象徵상징한다는 것은 四十有九49를 나누어 둘로 만들어 兩儀양의를 象徵상징하는 것이다.[이 以上이상은 繫辭傳계사전의 글이다] 하나를 걸어 三才삼재를 象徵상징한다는 것은 兩儀양의의 사이에 나아가 하늘의 數수 가운데서 하나를 分離분리해 걸어 兩儀양의와 配合배합함으로써 三才삼재를 象徵상징한 것이다. ‘넷으로 세어 四時사시를 象徵상징한다’는 것은 蓍草시초를 나누어 세는 것을 모두 四個4개씩 세어 四時사시를 象徵상징하는 것이다. 남은 것을 扐륵에 돌려 閏윤달을 象徵상징함에서 ‘奇기’는 四個4개씩 세고 난 나머지인데 이 나머지를 손가락의 策책에 돌려 數수를 이루어 天道천도가 나머지 餘分여분을 돌려 閏윤달을 이루는 것을 象徵상징한다. 앞의 閏윤달과 뒤의 閏윤달의 間隔간격이 三十二個月32개월인데 五年5년 內내에 있기 때문에 五年5년에 閏윤달이 두 番번이라고 하였다. 두 番번 扐륵한 뒤에 건다는 것은 이미 天地천지를 나누고 하늘은 왼손에 땅은 오른손에 두고 四個4개씩 하늘의 數수를 세면 가장 마지막 남는 것을 扐륵하고 건 것과 한 곳에 合합해 놓으니 이것이 한-番번 셈이다. 또 四個4개씩 땅의 數수를 세어 가장 마지막 남는 것을 앞에서 扐륵에 돌린 것을 合합해서 모두 거니 이것을 두 番번 扐륵한 뒤에 거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朱子曰, 今攷正義之說, 大槪不差. 但其文有闕略不僃, 及顚倒失倫處, 致人難曉. 又解掛扐二字, 分別不明, 有以大起諍論, 而是一揲也之揲, 以傳文及下文攷之, 當作扐字. 恐傳寫之誤也. 已下見小註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只今지금 『周易正義주역정의』의 說설을 考察고찰해보니 크게는 錯誤착오가 없다. 但只단지 글에 빠지거나 省略생략되어 갖추어지지 않은 곳이 있어 거꾸로 되고 次例차례를 잃은 곳이 있으니 사람들이 알기 어렵게 만든다. 또 건다[掛괘]와 扐륵한다는 두 글자의 區分구분이 明確명확하지 않아 큰 論諍논쟁을 일으킬 수 있으니 여기에서 ‘한-番번 센다[一揲일설]는 ’揲설‘은 「繫辭傳계사전」이나 아래의 글을 詳考상고해볼 때 마땅히 ’扐륵‘字자가 되어야 한다. 아마도 傳전하여 베껴 쓸 때의 잘못일 것이다. 이 아래는 小註소주에 보인다.”
案, 正義之說, 其五十虛一, 分二象兩, 掛一象三, 揲四象四, 歸奇象閏等說, 所謂大槪不差者也. 但分二不言分置左右兩手, 掛一不言取右手一策懸於某指, 而只云於天數之中分掛其一. 揲四不言以某手先揲某手之策. 歸奇不言某手所揲之零數, 或一或二或三或四者, 歸諸某指. 五歲再閏不言一掛兩揲兩扐爲五歲而其間兩扐象再閏. 又不言而後掛者, 爲第二變掛一, 所謂闊略不僃者也.
『周易正義주역정의』의 說明설명은 五十50에서 一1을 비우고 둘로 나누어 兩儀양의를 象徵상징하고 하나를 걸어서 三才삼재를 象徵상징하고 四4씩 세어 四時사시를 象徵상징하고 나머지를 돌리어 閏윤을 象徵상징하는 等등의 說설로 大略的대략적으로는 錯誤착오가 없다. 但只단지 둘로 나누는 것에 對대해 左右좌우 兩양손에 나누어놓는다고 말하지 않고, 하나를 거는 것에 對대해 右手우수의 一策1책을 取취해 아무 손가락에 건다고 말하지 않고, 但只단지 天數천수의 가운데 그 하나를 나누어 건다고 하였다. 四4씩 센다는 것에 對대해 아무 손으로 먼저 아무 손의 策책을 센다는 것을 말하지 않았다. 나머지를 돌리는 것에 對대해 아무 손으로 세도 남은 것이 一1이나 二2나 三3이나 四4인데 아무 손가락에 돌린다고 말하지 않았다. 五年5년에 두 番번 閏윤달을 두는 것에 對대해서 하나를 걸고 두 番번 세고 두 番번 끼움이 五年5년이 되고 그 사이에 두 番번 扐륵하는 것이 閏윤달을 두 番번 두는 것을 象徵상징한다고 말하지 않았다. 또 以後이후에 건다는 것에 對대해 第二變제2변의 하나를 거는 것이라고 말하지 않았으니 이른바 疏略소략해서 갖추지 못했다는 것이다.
其言象兩, 不言左手象天右手象地而只云兩儀, 言歸奇, 又只云歸此殘奇於所扐之策, 及下言再扐而後掛, 乃云天於左手地於右手, 四四揲天之數最末之餘, 歸之合於扐, 四四揲地之數最末之餘, 又合於前所歸之扐, 所謂顚倒失倫也.
兩儀양의를 象徵상징하는 것에 對대해 左手좌수는 하늘을 象徵상징하고 右手우수는 땅을 象徵상징한다는 것을 말하지 않고 但只단지 兩儀양의라고만 하고, 나머지를 돌리는 것에 對대해 但只단지 이 殘餘잔여의 나머지를 扐륵한 策책에 돌린다고 하고, 이어서 거듭 扐륵한 뒤에 건다는 것에 對대해 하늘은 왼손에 땅은 오른손에 두고 四個4개씩 하늘의 數수를 세면 가장 마지막 남는 것을 扐륵에 돌려 合합하고, 四個4개씩 땅의 數수를 세어 가장 마지막 남는 것을 앞에서 돌린 扐륵에 合합한다고 하니 이른바 거꾸로 되고 次例차례를 잃은 곳이 있다는 것이다.
且旣言掛一而又言天數之餘合於扐, 則是以掛而爲扐也. 又言地數之餘合前所歸之扐, 則是竝謂之扐也. 旣言歸此殘奇, 而又言總掛之, 是以掛與扐竝謂之掛也. 此所謂解掛扐二字分別不明也. 蓋孔氏旣以而後掛之掛, 不作第二變掛一, 故以掛一與左右奇有合掛一處之誤, 其所以大起諍論者, 以此也.
또 이미 하나를 건다고 해놓고 天數천수의 나머지를 扐륵에 合합한다고 말했으니 이는 거는 것으로 扐륵이라고 여긴 것이다. 또 地數지수의 나머지를 앞에 돌린 扐륵에 合합한다고 했으니 이것도 扐륵을 말한 것이다. 이미 이런 나머지를 건다고 하고 또 總合총합해서 건다고 하였으니 이 때문에 건다[掛괘]는 것과 扐륵한다는 것은 모두 건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이것이 이른바 건다[掛괘]와 扐륵한다는 두 글자의 區分구분이 明確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孔氏공씨는 이미 以後이후에 건다는 것을 第二變제2변에서 하나를 거는 것으로 하지 않았다. 그래서 하나를 거는 것과 左右좌우의 나머지를 合합해 하나를 건다는 것으로 誤認오인하였는데 큰 論諍논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은 이 때문이다.
正義, 乾之策二百一十有六者[至]總合萬有一千五百二十當萬物之數. 見
『周易正義주역정의』에서 乾건의 策數책수는 二百一十有六216 ... 總合총합은 萬有一千五百二十11520이니 萬物만물의 數수에 該當해당한다. 小註소주에 보인다.
朱子曰, 凡言策者卽所謂蓍也. 禮曰, 龜爲卜策爲筮. 又曰, 倒策側龜云云. 疏義及其解說, 皆已得之云云. 不專以乾坤爲老六子爲少云云, 疏案:小註誤作數字. 有未及云云.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策책’이라고 한 것은 蓍草시초를 말한다. 『禮記예기』에서 “거북은 卜복이고 策책은 蓍草시초이다”라고 하였고 또 “蓍草시초를 轉倒전도하고 거북을 뒤집는다”고 云云운운 하였다. “疏義소의와 그 解說해설이 모두 適合적합하다”고 云云운운하였다. “오로지 乾坤건곤이 老陽老陰노양노음이고 六子육자는 少陽少陰소양소음인 것은 아니다”라고 云云운운하였다. 註疏주소에서 내가 살펴보았다. 小註소주에는 ‘數수’字자라고 잘못 썼으니 言及언급하지 않은 것이 있다고 하였다.”
案. 蓍之一籌卽謂一策. 古人用字皆以蓍爲策. 故曲禮曰龜爲卜策爲筮. 又曰倒策側龜. 士冠禮言筮人執策. 少儀又云執龜策. 楚辭亦云端策拂龜, 則此皆指將筮之蓍爲策, 不但指過揲而言者尢分明易見.
내가 살펴보았다. 蓍草시초의 한 가지는 곧 一策1책이다. 옛 사람이 글자를 쓸 때 蓍시를 策책으로 삼았다. 그렇기 때문에 「曲禮곡례」에 거북은 卜복이고 蓍草시초는 筮서라고 하였다. 또 蓍草시초를 轉倒전도하고 거북을 뒤집는다고 하였다. 「士冠禮사관례」에 筮人서인은 策책을 잡는다고 하였다. 「少儀소의」에 또 이르길, 거북[龜귀]과 策책을 잡는다고 하였다. 『楚辭초사』에도 占점대를 바르게 하고 龜甲귀갑을 깨끗하게 닦는다고 했으니 이는 모두 筮法서법의 蓍草시초를 策책이라고 여긴 것으로 세고 남은 것만을 가리켜 말한 것이 아님을 더욱 分明분명히 알 수 있다.
大傳雖言過揲之策, 亦不以掛扐不爲策也. 疏義及解說, 亦不言過揲爲策掛扐不爲策, 則在經義固已得之, 非如郭氏廢寘掛扐. 但用過揲爲正策之說也.
大傳대전에서 세고 남은 策數책수[過揲과설]를 말했지만 亦是역시 걸고 끼운[掛扐괘륵] 것을 ‘策책’이라고 여기지 않은 것은 아니다. 少儀소의와 解說해설에서도 세고 남은[過揲과설] 것은 ‘策책’이고 걸고 끼운[掛扐괘륵] 것은 ‘策책’이 아니라고 하지 않았으니 眞實진실로 經典경전의 뜻에 참으로 이미 適合적합하다. 郭氏곽씨가 걸고 끼운[掛扐괘륵] 것을 버려두고 세고 남은[過揲과설] 것만을 바른 策책으로 삼은 것과는 같지 않다.
且竝言乾少陽一爻二十八策, 坤少陰一爻三十二策, 則非如郭氏以九六爲乾坤, 七八爲六子, 乾坤有象六子旡象之說也. 至於乾坤二少之合亦爲三百六十, 二篇二少之合亦萬一千五百二十者, 則皆未及之, 然學者可反隅而知也. 朱子曰, 此獨以老陰陽爲言者, 易用九六而不用七八也. 疑正義亦此意歟.
또 함께 “乾건의 少陽소양 一爻1효는 二十八策28책이고 坤곤의 少陰소음 一爻1효는 三十二策32책이다”라고 하였으니 郭氏곽씨가 九9와 六6을 乾坤건곤으로 삼고 七7과 八8을 여섯 子女자녀[六子육자]로 삼아 乾坤건곤에는 象상이 있지만 여섯 子女자녀[六子육자]에게는 象상이 없다는 說설과도 같지 않다. 乾坤건곤의 두 少陽少陰소양소음의 合합도 三百六十360이고 두 篇편의 少陽少陰소양소음의 合합도 萬有一千五百二十11520임은 모두 言及언급하지 않은 것이지만 배우는 者자가 한 部分부분을 들면 알 수 있을 것이다. 朱子주자가 “여기에서 惟獨유독 老陰노음과 老陽노양으로 말한 것은 易역은 九9와 六6을 쓰고 七7과 八8을 쓰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는데, 아마도 『周易正義주역정의』 또한 이 뜻일 것이다.
白雲郭氏曰, 邵子云, 歸奇合扐之數, 得五與四四, 則策數四九云云. 歸奇合扐之數, 謂不用之餘數也, 策數所得之正策數也. 去此不用之餘數, 止語歸奇合扐之餘數, 故有三多三少之言.
白雲郭氏백운곽씨가 말하였다. “邵子소자가 “나머지를 돌리고 扐륵에 合합하는 數수가 五5‧四4‧四4를 얻으면 策數책수는 四4×九9이다.”라고 云云운운한 것은 나머지를 돌리고 扐륵에 合합하는 數수이니 쓰지 않는 나머지-數수를 말하고 策數책수는 얻어진 그대로의 策數책수이다. 쓰지 않는 나머지수를 除去제거하고 但只단지 나머지를 돌리고 扐륵에 合합하는 數수만 말하였기 때문에 三多삼다나 三少삼소의 말이 있게 되었다.”
朱子曰, 今按康節歸奇合扐四字, 本於正義所謂最末之餘歸之合於掛扐之一處. 蓋因其失而不暇正也. 然四九四六四七四八之數, 則正義已明言之, 安得謂唐初以來不論策數耶. 且康節又言得五與四四, 則亦未得爲去此不用之餘數矣.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只今지금 살펴보니 康節강절의 ‘歸奇合扐귀기합륵’ 네 글자는 『周易正義주역정의』에서 말한 가장 끝에 나머지를 돌려 걸고 끼운[掛扐괘륵] 한 곳에 合합한다는 것에 根據근거를 두었다. 잃어버린 文章문장에 根據근거했기 때문에 바로잡을 겨를이 없었다. 그렇지만 四4×九9, 四4×六6, 四4×七7, 四4×八8의 數수는 『周易正義주역정의』에서 이미 分明분명하게 말하였으니 어찌 當初당초 以來이래로 策數책수를 論논하지 않았다고 말하겠는가? 또 康節강절 또한 五5‧四4‧四4를 얻음을 말했으니 또한 이 쓰지 않은 나머지 數수를 除去제거하는 것이 될 수는 없다.”
大抵爲此辨者, 未知掛扐之中, 奇偶方圓參兩進退之妙. 是以必去掛扐之數, 而專用過揲之策. 其說愈多, 而其法愈偏也.
大體대체로 보아 이렇게 辯論변론한 것은 걸고 끼운[掛扐괘륵] 가운데 奇偶기우와 方圓방원과 參兩삼양과 進退진퇴의 妙묘함이 있음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걸고 끼운[掛扐괘륵] 數수를 除去제거하고 오로지 세고 남은 策數책수만 쓰게 되니 그 說明설명은 더욱 雜多잡다해지고 그 法則법칙은 더욱 치우치게 된다.
案, 康節之說見啓蒙頗詳曰, 五與四四去掛一之數, 則四三十二也. 九與八八去掛一之數, 則四六二十四也. 五與八八九與四八去掛一之數, 則四五二十也. 九與四四五與四八去掛一之數, 則四四十六也. 故去其三四五六之數, 以成九八七六之策.
내가 살펴보았다. 康節강절의 說明설명은 『易學啟蒙역학계몽』에 仔細자세히 보이는데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五5‧四4‧四4에서 건 一1을 除去제거하면 四4×三3=十二12이다. 九9‧八8‧八8에서 건 一1을 除去제거하면 四4×六6=二十四24이다. 五5‧八8‧八8이나 九9‧四4‧八8에서 건 一1을 除去제거하면 四4×五5=二十20이다. 九9‧四4‧四4나 五5‧四4‧八8에서 건 一1을 除去제거하면 四4×四4=十六16이다. 그렇기 때문에 三3‧四4‧五5‧六6의 數수를 除去제거하고 九9‧八8‧七7‧六6의 策책을 이룬다.
蓋所謂去掛一之數, 謂去初揲掛一也. 去三四五六之數, 以成九八七六之策, 謂去老陽三四少陰四四少陽四五老陰四六之數, 用奇偶方圓徑一圍三圍四用半之法, 以成九八七六之策也. 此五與四四等數, 卽所以成九八七六之數, 非謂去此掛扐以爲不用之餘數, 只用過揲以爲所得之正策也. 夫掛扐過揲不可旡, 况掛扐爲原過揲爲委乎. 朱子與郭冲晦書, 亦譏其歸奇以上皆棄不錄而獨以過揲四乘之數之誤.
건 一1을 除去제거한다는 것은 처음 셀 때의 건 一1을 除去제거한다는 義味의미이다. 三3,四4,五5,六6의 數수를 除去제거하여 九9,八8,七7,六6의 策책을 이룬다는 것은 老陽노양의 三3×四4=十二12, 少陰소음의 四4×四4=十六16, 少陽소양의 四4×五5=二十20, 老陰노음의 四4×六6=二十四24를 除去제거하고 奇偶기우 方圓방원의 直徑직경이 一1일 때 둘레가 三3이고 둘레가 四4일 때 그 半반을 쓰는 法법을 써서 九9,八8,七7,六6의 策책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五5,四4,四4 等등의 數수가 곧 九9,八8,七7,六6의 數수를 이루는 까닭임을 말한 것이지, 이 걸고 끼운[掛扐괘륵] 것을 除去제거하여 쓰이지 않는 나머지 數수로 삼고 但只단지 세고 남은[過揲과설] 것만을 바른 策책으로 삼는 다는 것을 말한 것은 아니다. 掛扐괘륵과 過揲과설은 없을 수 없는데 하물며 掛扐괘륵이 根源근원이고 過揲과설이 가지임에랴! 朱子주자가 郭冲晦곽충회에게 쓴 便紙편지에서도 나머지를 돌리는 것까지를 다 버리고 記錄기록하지 않고 세고 남은 것을 四4로 곱한 數수로만 한 것의 誤謬오류를 나무랐다.
白雲郭氏曰, 張子曰, 奇, 所掛之一也, 扐, 左右手之餘也. 再扐而後掛者, 每成一爻而後掛也, 謂第二第三揲不掛也. 閏常不及三歲而至, 故曰五歲再閏. 此歸奇必俟再扐, 故象閏之中間四歲也. 自唐初以來以奇爲扐, 故揲法多誤, 至橫渠而始分.
白雲郭氏백운곽씨가 말하였다. “張子장자는 “奇기는 건 一1이다. 扐륵은 左右좌우 손에 남아있는 것이다. 두 番번 扐륵한 뒤에 건다는 것은 每番매번 一爻1효를 이룬 뒤에 건다는 것이니, 第二揲제2설과 三揲3설은 걸지 않음을 말한다. 閏윤달은 늘 三年3년이 되지 않아 이르기 때문에 五年5년에 두 番번 閏윤달이 든다고 하였다. 奇기를 돌림은 반드시 두 番번 扐륵함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閏윤달의 中間중간에 있는 四年4년을 象徵상징한다.”고 하였다. 唐당나라 初期초기 以來이래로 奇기를 扐륵이라고 여겼기 때문에 揲蓍法설시법에 誤謬오류가 많았는데 橫渠횡거에 이르러 비로소 區分구분되었다.”
朱子曰, 今按此說大誤, 恐非橫渠之言. 掛也奇也扐也, 大傳之文, 固各有所主矣. 奇者殘零之謂, 方蓍象兩之時, 特掛其一, 不得便謂之奇. 此則自畢董劉氏而失之矣. 扐固左右兩揲之餘, 然扐之爲義, 乃指間勒物之處, 故曰歸奇於扐, 言歸此餘數於指間也. 今直謂扐爲餘, 則其曰歸奇於扐者, 乃爲歸餘於餘, 而不成文理矣. 不察此誤, 而㪅以歸奇爲掛一以避之, 則又生一誤, 而失愈遠矣.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只今지금 살펴보니 이 說설은 크게 잘못되었으니 아마도 橫渠횡거의 말이 아닐 것이다. 掛괘라 하고 奇기라 하고 扐륵이라 한 「繫辭傳계사전」의 文章문장은 眞實진실로 各各각각 主張주장함이 있다. 奇기는 나머지를 말하니 揲蓍설시에서 兩儀양의를 象徵상징할 때 但只단지 한 個개만 거는 것을 곧 奇기라고 할 수 없다. 이것은 畢董劉氏필동유씨로부터 잘못된 것이다. 扐륵은 眞實진실로 左右좌우의 兩양손에 센 나머지이다. 그렇지만 扐륵의 뜻은 손가락사이 物件물건을 끼우는 곳이다. 그러므로 나머지를 扐륵에 돌린다[歸奇於扐귀기어륵]고 한 것이니 여기의 나머지 數수를 손가락사이에 돌린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只今지금 곧바로 扐륵을 나머지(餘여)라고 한다면 ‘歸奇於扐귀기어륵’이란 말은 나머지를 나머지에 돌린다는 것이 되어 文理문리를 이루지 못한다. 이런 잘못을 살피지 못하고 다시 歸奇귀기를 하나를 거는 것[掛一괘일]이라 하여 避피한다면 또 하나의 잘못이 생기는 것이어서 잃어버림이 더욱 멀다.”
郭氏承此爲說, 而詆唐人不當以奇爲扐. 夫以奇爲扐, 亦猶以其扐爲餘爾, 名雖失之而實猶未爽也. 若如其說, 以歸爲掛, 以奇爲一, 則爲名實俱亂, 而大傳之文, 揲四之後, 不見餘蓍之所在, 歸奇之前, 不見有扐之所由, 亦不復成文理.
郭氏곽씨가 이것을 繼承계승하여 說明설명하면서 唐당나라 사람이 奇기를 扐륵이라고 여긴 것은 不當부당하다고 꾸짖는다(詆저). 奇기를 扐륵이라고 여긴 것은 오히려 扐륵를 나머지라고 여긴 것이어서 名稱명칭은 비록 잘못되었지만 實狀실상은 오히려 망가지지 않았다. 萬若만약 그 說설과 같이 하여 歸귀를 건다[掛괘]고 여기고 奇기를 一個1개라고 여기면 名稱명칭과 實狀실상이 모두 어지러워져 繫辭傳계사전의 文章문장에서 四4씩 세고 난 뒤에는 남는 蓍草시초가 있을 곳을 볼 수 없고, 남는 것을 돌리기 前전에는 扐륵한 바의 緣由연유를 볼 수가 없어서 亦是역시 文理문리를 이룰 수 없다.
再扐者, 一變之中, 左右再揲而再扐也. 一變之中, 一掛再揲再扐, 而當五歲. 蓋一掛再揲, 當其不閏之年, 而再扐當其再歲之閏也. 而後掛者, 一變旣成, 又合見存之蓍, 分二而掛一, 以起後變之端也.
두 番번 扐륵한다는 것은 一變1변 가운데 左右좌우를 두 番번 세고 두 番번 扐륵하는 것이다. 一變1변 가운데 一個1개를 걸고 두 番번 세고 두 番번 扐륵하는 것이 五年5년에 該當해당한다. 一個1개를 걸고 두 番번 세는 것은 閏윤달이 드는 해에 該當해당하지 않고 두 番번 扐륵하여야 두 해에 閏윤달이 든다. 以後이후에 건다는 것은 一變1변이 이미 이루어지면 또 見存현존하는 蓍草시초를 合합해서 둘로 나누고 하나를 걸어서 二變2변의 端緖단서를 일으킨다.
今曰, 第一變掛而第二第三變不掛, 遂以當掛之變爲掛而象閏, 以不掛之變爲扐而象不閏之歲, 則與大傳之云掛一象三再扐象閏者, 全不相應矣.
只今지금 말하길, 一變1변에서 걸고 二變2변과 三變3변에서 걸지 않아서 마당히 걸어야하는 變변은 掛괘라고 여겨 閏윤달을 象徵상징하고 걸지 않는 變변은 扐륵이라고 여겨 閏윤달이 들지 않는 해를 象徵상징한다고 하면 「繫辭傳계사전」에서 말한 하나를 걸고[掛一괘일] 셋을 象徵상징하고[象三] 두 番번 扐륵하고[再扐재륵] 閏윤달을 象徵상징한다[象閏상윤]는 것과 全전혀 相應상응하지 않는다.
且不數第一變之再扐, 而謂第二第三變爲再扐, 又使第二第三變中, 止有三營, 而不足乎成易之數. 且於陰陽奇偶老少之數, 亦多有不合者爾.
또 第제 一變1변의 두 番번 扐륵하는 것을 세지 않고서 第二變제2변과 第三變제3변이 두 番번 扐륵하는 것이 된다고 한다면 또 第二變제2변과 第三變제3변 가운데 세 番번 經營경영함에 그쳐 易역의 數수를 이루기에 不足부족하게 만들었다. 또 陰陽음양과 奇偶기우와 老少노소의 數수에도 符合부합하지 않는 것이 많다.
案, 大傳之言掛者懸其一也, 奇者揲之零也, 扐者指間扐物之處, 所謂各有所主者也. 方分二象兩之初, 是爲未揲之前, 先掛其一, 不得以殘零之奇目之. 此則劉氏所謂遇少與歸奇爲五爲四者也. 劉氏得之董生, 董生本於畢中和. 其揲法視疏義爲詳, 而獨有此失也.
내가 살펴보았다. 「繫辭傳계사전」에서 말한 掛괘란 그 一個1개를 거는 것이고, 奇기는 세고 남은 것이고, 扐륵은 손가락 사이 物件물건을 끼우는 곳이니 이른바 各各각각 主張주장함이 있다는 것이다. 둘로 나누어 兩儀양의를 象徵상징하는 처음에 아직 세기 前전에 먼저 그 中 一個1개를 거는 것이지 나머지의 奇기를 指目지목한 것이 아니다. 이것은 劉氏유씨가 말한 바 적은 것[少소]을 얻으면 나머지가 五5가 되고 四4가 된다는 것이다. 劉氏유씨는 同生동생에게 얻었고 同生동생은 畢中和필중화에게 얻었다. 그 揲蓍法설시법은 少儀소의를 보면 仔細자세한데 惟獨유독 이런 잘못이 있다.
扐者指間扐物之處, 非直餘數也. 奇者兩揲之餘數也, 非謂扐物也. 其爲字義各有所主而不爲重複. 今直謂扐爲餘數, 則非但於揲蓍之法大有乖謬, 而於古人看文義亦有所不通矣. 旣不識扐字名義, 而乃以歸奇㪅起別義, 遂以掛一當之, 以避重複之嫌, 是所謂生一誤而失愈遠矣. 橫渠之言必不如此, 而郭氏又因襲爲說詆孔疏歸奇合扐之說. 是以奇爲扐, 故揲法多誤云也.
扐륵은 손가락 사이 物件물건을 끼우는 곳이지 直接직접 남은 數수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奇기는 두 番번 세고 난 나머지이지 扐륵한 것이 아니다. 그 글자마다의 義味의미가 各各각각 主張주장하는 바가 있어 重複중복되지 않는다. 只今지금 直接직접 扐륵을 나머지라고 한다면 揲蓍法설시법에 큰 誤謬오류일 뿐만 아니라 옛사람이 文字문자를 보는 것과도 通통하지 않는다. 이미 ’扐륵‘字자의 이름과 뜻을 알지 못하고 歸奇귀기를 가지고 別途별도의 뜻을 일으켜 掛一괘일에 該當해당시킴으로써 重複중복된다는 嫌疑혐의를 避피하려 하였으니 이것은 이른바 한 番번의 誤謬오류로 잘못이 더욱 커진다는 것이다. 張橫渠장횡거의 말은 반드시 이와 같지 않은데 郭氏곽씨가 舊習구습대로 說설을 지어 孔氏공씨 註疏주소의 歸奇合扐귀기합륵의 說明설명이 奇기를 扐륵으로 여겼기 때문에 세는 法법에 誤謬오류가 많다고 꾸짖었다.
夫以奇爲扐之誤, 亦旡異於以扐爲餘之誤也. 奇者是餘數, 扐字是指間, 而混而同之, 名義之失者也. 究其實, 則餘數必歸指間而在指間者, 卽所餘之數也. 所謂實猶未爽者也. 今乃以歸爲掛, 以奇爲一, 以避歸餘於餘之嫌. 但以扐爲餘, 而反譏以奇爲扐之說, 則奇者是餘之義, 而反指爲掛一, 所謂名實俱亂, 而不但如以奇爲扐之名異而實相近也. 又於大傳四揲之後, 雖有歸奇之文, 而旣以歸奇爲掛一, 則四揲之後, 未見其餘數之所在. 歸奇之前, 雖有四揲之文, 而旣以歸奇爲掛一, 則掛一之前, 不見有扐字之所由, 所謂不成文理者也.
奇기를 扐륵으로 여긴 誤謬오류는 扐륵을 나머지[餘여]로 여긴 誤謬오류와 다를 게 없다. 奇기는 나머지 數수이고 扐륵은 손가락 사이를 가리키는 것인데 섞어서 같은 것으로 만들었으니 名稱명칭과 義味의미를 잃었다. 그 實狀실상을 硏究연구해보면 나머지 數수는 반드시 손가락 사이에 돌려 손가락 사이에 있는 것으로 곧 남아있는 數수이니 이른바 實狀실상은 오히려 잘못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只今지금 歸귀를 掛괘라고 여기고 奇기를 一個1개라고 여겨 나머지를 나머지에 돌렸다는 嫌疑혐의를 避피하려 하고 있다. 但只단지 扐륵을 나머지[餘여]라고 여기면서 奇기를 扐륵으로 여긴 說설을 꾸짖고 있으니, 奇기는 나머지[餘여]의 뜻인데 도리어 건 하나[掛一괘일]를 가리킨다고 하고 있으니 이른바 그 名稱명칭과 實狀실상이 모두 어지럽다는 것으로 但只단지 奇기를 扐륵으로 여겨 名稱명칭은 다르지만 實狀실상은 서로 비슷한 것보다 못할 뿐만이 아니다. 또 繫辭傳계사전에 四個4개씩 센 뒤에 비록 ’歸奇귀기‘라는 文句문구가 있지만 이미 ‘나머지를 돌리다’를 ‘하나를 건다’로 여긴다면 四個4개씩 센 다음에 그 나머지가 있을 곳을 볼 수가 없다. 歸奇귀기의 前전에 비록 四個4개씩 센다는 文句문구가 있지만 이미 歸奇귀기를 掛一괘일로 삼게 된다면 掛一괘일의 前전에 ’扐륵‘字자가 緣由연유하는 바를 볼 수 없으니 이른바 文理문리를 이루지 못한다는 것이다.
掛一再揲再扐爲五歲, 俱在一變之內, 而再扐爲再閏. 且以而後掛者, 爲第二變之掛. 大傳本文可知.
하나를 걸고 두 番번 세고 두 番번 扐륵함이 五年5년이 되니 모두 一變1변 안에 있고 두 番번 扐륵하는 것은 閏윤달을 두 番번 두는 것이며 또 以後이후에 거는 것은 第二變제2변에서 거는 것이니 「繫辭傳계사전」 本文본문을 알 수 있다.
今曰, 第一變掛而後二變不掛, 遂以當掛之變, 雖有再扐, 乃只謂之掛而象閏, 以不掛之變, 雖各有再扐, 而乃通謂之再扐, 象不閏之歲, 其不掛之變, 與大傳掛一象三不同, 所謂全不相應者也.
只今지금 말하길, 第一變제1변에서 건 뒤에 二變2변은 걸지 않고 건 것에 該當해당하는 變변에 비록 再扐재륵이 있어 但只단지 건다[掛괘]는 것으로 閏윤달을 象徵상징한다 하고 걸지 않은 變변으로써 비록 各各각각 再扐재륵이 있어도 統통틀어 再扐재륵은 閏윤달이 들지 않는 해를 象徵상징한다고 하는데 그 걸지 않는 變변은 「繫辭傳계사전」의 하나를 걸고 三才삼재를 象徵상징한다는 것과 같지 않으니 이른바 모두 相應상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且第一變本有再扐, 第二第三變各有再扐, 而通謂再扐, 則是不計第一變之再扐, 而直以第二第三變爲再扐也. 後二變只有分二揲四歸奇, 則是未四營而成矣. 且况奇偶老少之數, 必三變皆掛而得之, 後二變不掛, 則不得者乎.
또 第一變제1변에 本來본래 再扐재륵이 있고 第二變제2변과 第三變제3변에도 各各각각 再扐재륵이 있어 統통틀어 再扐재륵이라 하면 이것은 第一變제1변의 再扐재륵을 計算계산하지 않고 直接직접 第二變제2변과 第三變제3변을 再扐재륵으로 여기는 것이다. 뒤의 二變이변에만 但只단지 둘로 나누고[分二분이] 넷씩 세고[揲四설사] 나머지를 돌린다면[歸奇귀기] 이것은 네 番번 經營경영하여 이루지 못한다. 하물며 奇기‧偶우‧老少노소의 數수는 반드시 三變삼변을 모두 걸어야 얻는데 뒤에 二變이변을 걸지 않는다면 얻지 못함에랴!
白雲郭氏曰, 程子揲蓍法, 先以右手指於左手之中, 取蓍一莖, 掛於左手小指之間, 此名奇也. 次以右手四揲左手之蓍, 四揲之餘數, 寘案之東西隅, 此名右手之扐. 復以左手四揲右手之蓍, 四揲之餘亦置於案之東南隅, 此名左手之扐. 其兩手所握之蓍, 爲所得之正策數.
白雲郭氏백운곽씨가 말하였다. “程子정자의 揲蓍法설시법은 먼저 오른손으로 왼손에서 蓍草시초 한 個개를 取취해서 왼손의 小指소지사이에 거니 이것을 ‘奇기’라고 한다. 다음에 오른손으로 왼손의 蓍草시초를 四個4개씩 세는데 四個4개씩 세고 남은 것을 冊床책상의 왼쪽 모퉁이에 놓으니 이것을 오른손의 扐륵이라 한다. 다시 왼손으로 오른손의 蓍草시초를 세어 四個4개씩 세고 남은 나머지를 亦是역시 冊床책상의 東南동남쪽 모퉁이에 놓으니 이것을 왼손의 扐륵이라 한다. 그 兩양손에 쥐고 있는 蓍草시초가 얻어진 바른 策數책수가 된다.”
又云, 再以左右手, 分而爲二, 㪅不重掛奇. 又云, 三變訖, 乃歸先所掛之奇於第一扐之中, 次合正策數. 又四揲布之, 案上得四九爲老陽. 此法先人親受於伊川先生, 雍復受於先人, 本旡文字.
또 말하였다. “다시 왼손과 오른손으로 나누어 둘로 나누고, 다시 거는 것[掛괘]과 나머지[奇기]는 重複중복하지 않는다.” 또 말하였다. “三變삼변을 마치면 먼저 건 나머지를 첫 番번째 扐륵 가운데 돌리고, 다음으로 正策정책의 數수에 合합한다. 또 四個4개씩 세어 펼치고 冊床책상 위에 四4×九9을 얻으면 老陽노양이 된다. 이 法법은 先人선인이 親친히 伊川先生이천선생에게 배웠고 雍옹이 다시 先人선인에게 배운 것으로 本來본래 文字문자가 없다.”
朱子曰, 今按此說, 尢多可疑. 然郭氏旣云, 本旡文字, 則其傳受之際, 不旡差舛宜矣. 其以掛一爲奇, 而第二三變不掛, 愚已辨矣. 其曰兩手餘數置之案隅, 而不置之指間, 則非歸奇於扐之義. 其以一變過揲之蓍便爲正策, 則未合四九四六四七四八之數. 其曰, 三變訖乃歸先所掛之奇於第一扐之中, 則其掛之之久也旡用, 其歸之之晩也旡說,而尢不合於大傳所言之次第. 又以四揲正策布之案上然後, 見所得之爻, 則其重複又甚焉. 凡此恐皆非伊川先生之本意也.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只今지금 이 說설을 살펴보면 더욱 疑心의심할 것이 많다. 그렇지만 郭氏곽씨가 이미 말하길, 本來본래 文字문자가 없다고 했으니 가르치고 배우고 사이에 어긋나고 잘못됨이 없을 수 없다. 一個1개를 건 것[掛一괘일]을 奇기라고 여기고 第二變제2변과 第三變제3변을 걸지 않는다는 것에 對대해서는 내가 이미 分別분별하였다. 兩양손의 남은 것을 冊床책상모퉁이에 놓고 손가락 사이에 놓지 않는다면 나머지를 扐륵에 돌리는[歸奇於扐귀기어륵] 뜻이 아니다. 一變1변을 세고 남은 蓍草시초를 正策정책으로 삼는다면 四4×九9, 四4×六6, 四4×七7, 四4×八8의 數수에 合합하지 않는다. 三變삼변을 마치면 먼저 건 나머지를 첫 番번째 扐륵 가운데 돌린다면, 건 것이 오래되어 또한 쓸 수가 없고 돌린 것이 늦어져서 또한 說明설명할 수 없으니 더욱 「繫辭傳계사전」에서 말한 順序순서와 合합하지 않는다. 또 四個4개씩 센 正策정책을 冊床책상위에 펼친 뒤에야 爻효를 얻을 수 있다면 重複중복이 甚심하다. 이는 아마도 伊川先生이천선생의 本意본의가 아닐 것이다.”
案, 正策之數者, 三變旣成後, 四九四六四七四八之過揲也. 初變過揲或四十四或四十, 則是不合於九六七八之數, 而所謂正策之數將安用之. 其初變之掛, 必待三變而歸, 是掛之太久也. 三變之後歸于初變之扐, 是歸之太晩也. 大傳只言揲之以四, 而尙未言第一扐寘之何處. 豈先言三變後歸掛一於第一扐之中乎. 且五歲再閏之文, 俱在一變之內, 而今乃以歸奇象閏爲三變以後事, 此皆與本文次序不合者也.살펴보았다. 正策정책의 數수는 三變삼변이 이미 이루어진 뒤 四4×九9, 四4×六6, 四4×七7, 四4×八8의 過揲과설이다. 初變초변의 過揲과설은 四十四44나 四十40인데 그러면 이것은 九9‧六6‧七7‧八8의 數수에 符合부합하지 않으니 이른바 正策정책의 數수를 어디에 쓰겠는가? 그 初變초변의 거는 것[掛괘]은 반드시 三變삼변을 기다린 뒤에 돌리면 이는 거는 것[掛괘]이 너무 오래 걸린다. 三變삼변의 後후에 初變초변의 扐륵에 돌리면 이는 너무 늦게 된다. 「繫辭傳계사전」에서 但只단지 四個4개씩 센다고만 하고 第제 一扐일륵를 어느 곳에 놓을 것인지 말하지 않았는데 어찌 먼저 三變삼변의 뒤에 건 一個1개를 첫 番번째 扐륵 가운데 돌린다고 말하겠는가? 또 五年5년에 두 番번 閏윤이 든다는 文章문장은 모두 一變1변 가운데 있는데 只今지금 ‘歸奇귀기’와 ‘象閏상윤’을 三變삼변의 뒤의 일로 삼았으니 이는 다 本文본문의 次例차례와 合합하지 않는다.
白雲郭氏曰, 世俗皆以三多三少定卦象. 如此則不必四十九數. 凡三十三三十七四十一四十五五十三五十七六十一六十五六十九七十三七十七八十一八十五八十九九十三九十七, 皆可以得初揲非五卽九, 再揲三揲不四卽八之數. 獨不可以得三十六三十二二十八二十四之策爾.
白雲郭氏백운곽씨가 말하였다. “世俗세속에서 모두 三多삼다와 三少삼소로 卦象괘상을 定정한다. 이와 같이 한다면 반드시 四十有九數49수일 必要필요가 없다. 三十三33․三十七37․四十一41․四十五45․五十三53․五十七57․六十一61․六十五65․六十九69․七十三73․七十七77․八十一81․八十五85․八十九89․九十三93․九十七97은 모두 初變초변에서 五5아니면 九9가 되고 二變2변과 三變3변에서 四4아니면 八8의 數수를 얻을 수 있다. 但只단지 三十六36‧三十二32‧二十八28‧二十四策24책을 얻지 못할 뿐이다.”
朱子曰, 今按此說, 最爲要切, 而其疏率亦旡甚於此者. 蓋四十九者, 蓍之全數也. 以其全而揲之, 則其前爲掛扐, 其後爲過揲. 以四乘掛扐之數, 必得過揲之策. 以四除過揲之策, 必得掛扐之數. 其自然之妙, 如牝牡之相銜, 符契之相合, 可以相勝而不可以相旡. 且其前後相因, 固有次第, 而掛扐之數所以爲七八九六, 又有非偶然者, 皆不可以不察也. 今於掛扐之數, 旣不知其所自來, 而以爲旡所務於揲法, 徒守過揲之數以爲正策, 而亦不知正策之所自來也. 其欲增損全數以明掛扐之可廢, 是又不知其不可相旡之說, 其失益以甚矣.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只今지금 이 說설을 살펴보면 가장 緊要긴요하고 切實절실하지만 疏略소략함은 이보다 甚심한 것이 없다. 四十有九49는 蓍草시초의 全數전수이다. 全數전수를 가지고 揲蓍설시를 하면 그 앞은 掛扐괘륵이 되고 그 뒤는 過揲과설이 된다. 四4로 掛扐之數괘륵지수에 곱하면 반드시 過揲之策과설지책을 얻는다. 四4로 過揲之策과설지책을 나누면 반드시 掛扐之數괘륵지수를 얻는다. 그 自然자연스러운 神妙신묘함이 암수(牝牡빈모)가 서로 머금는 것과 같고 信標신표(≑符節부절≑符契부계)가 서로 合합하는 것과 같아서 서로 堪當감당할 수는 있어도 서로 없을 수 없다. 그리고 그 前後전후가 서로 原因원인이 되는 것이 眞實진실로 順序순서가 있어서 掛扐之數괘륵지수가 七7‧八8‧九9‧六6이 됨은 또 偶然우연한 것이 아니니 살피지 않을 수 없다. 只今지금 掛扐之數괘륵지수에 對대해 이미 그 由來유래를 알지 못하고 揲蓍法설시법을 지키는데 힘쓸 必要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고 한갓 過揲之數과설지수만 正策정책으로 삼는다면 또한 正策정책의 由來유래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 全數전수를 더하고 덜어 掛扐之數괘륵지수를 廢폐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니 이것은 또 서로 없을 수 없다는 說明설명을 알지 못하는 것으로 그 잘못이 더욱 甚심하다.”
案, 以四十九之全數而揲之, 則其掛扐之奇偶參之兩之, 而成九八七六之數. 其過揲得三十六三十二二十八二十四之數, 卽是四九四八四七四六也. 夫掛扐雖若後於過揲, 而掛扐已在揲四之前. 掛與扐, 每變已有得三得二之數, 合三變而卽成九八七六. 若過揲則必待三變之後, 得四九四六等數. 在初二變不得言過揲所得之數, 所謂前爲掛扐後爲過揲者也. 掛扐之七八九六, 以四乘之, 必得過揲三十六三十二二十八二十四之數. 過揲之四九四八四七四六, 以四除之, 必得掛扐七八九六之數. 二者相對乘除迭爲羸乏, 如牝牡符契之相勝而不可相旡. 牝牡相銜, 謂兩物聯接, 枘鑿相入也. 符契相合, 謂一物判合凹凸相當也.
내가 살펴보았다. 四十九49의 全數전수를 가지고 揲蓍설시를 하면 掛扐괘륵의 奇偶기우를 三3으로 하고 二2로 해서 九9,八8,七7,六6의 數수를 이루고 그 過揲과설은 三十六36,三十二32,二十八28,二十四24의 數수를 얻으니 곧 四4×九9, 四4×八8, 四4×七7, 四4×六6이다. 掛扐괘륵이 비록 過揲과설의 뒤이지만 掛扐괘륵은 이미 過揲과설의 前전에 있다. 거는 것과 扐륵하는 것은 三變3변마다 이미 三3과 二2의 數수를 얻으니 三變삼변을 合합하면 곧 九9,八8,七7,六6의 數수를 이룬다. 萬若만약 過揲과설이라면 반드시 三變삼변의 뒤를 기다려 四4×九9나 四4×六6의 數수 等등을 얻고 初變초변과 二變2변에서는 過揲과설의 얻어진 數수를 말하지 못하니 이른바 앞이 掛扐괘륵이 되고 뒤가 過揲과설이 된다는 것이다. 掛扐괘륵의 七7,八8,九9,六6을 四4로 곱하면 반드시 過揲과설의 三十六36,三十二32,二十八28,二十四24의 數수를 얻는다. 過揲과설의 四4×九9, 四4×八8, 四4×七7, 四4×六6의 數수를 四4로 나누면 반드시 掛扐괘륵의 七7,八8,九9,六6의 數수를 얻는다. 두 가지는 相對상대하면서 곱하고 나누어 次例차례로 차고 모자라니 마치 암수(牝牡빈모)와 信標신표(≑符節부절≑符契부계)가 서로 作用작용해 서로 없을 수 없음과 같다. 암수(牝牡빈모)가 서로 머금는다는 것은 두 物件물건이 서로 이어져 자루(枘예)와 구멍(鑿조)이 서로 들어가는 것과 같다. 信標신표(≑符節부절≑符契부계)가 서로 合합함은 한 物件물건이 갈라지고 合합해 오목(凹)과 볼록(凸)이 서로 짝인 것과 같다.
* 枘鑿예조: ‘모난 장부와 둥근 구멍이’라는 뜻으로, 事物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 枘장부 예, 싹 날 눈: 1. (장부 예) 2. 장부(나무 끝을 구멍에 맞추어 박기 위하여 깎아 가늘게 만든 부분) 3. 자루(끝에 달린 손잡이) |
退溪先生所謂有進有退迭爲消長, 若相制勝者, 是爲相勝也. 且其掛扐旣在前, 過揲旣在後, 過揲之數因於掛扐者, 固有次第, 而過揲之數, 又因奇偶參兩之法, 而成七八九六者, 亦非偶然皆, 不可不察也.
退溪先生퇴계선생이 말한 나가고 물러남이 있어 줄어들고 늘어나 서로 節制절제하여 이기는 것과 같으니 이것이 서로 作用작용함이다. 그리고 掛扐괘륵은 이미 앞에 있고 過揲과설은 이미 뒤에 있어 過揲之數과설지수가 掛扐괘륵을 通통하는 것이 眞實진실로 順序순서가 있고, 過揲之數과설지수도 奇偶기우의 參兩法삼양법을 通통해 七7,八8,九9,六6을 이루는 것이 偶然우연이 아니니 살피지 않으면 안 된다.
今於掛扐之數, 旣不知其本於方圓參兩之法, 而以爲旡預於揲法, 徒守過揲四九四八四七四六之數, 以爲正策, 而亦不知正策之本於掛扐九八七六之數. 其欲求四十九之全數, 四四增之, 自五十三至九十七, 四四損之, 自四十五至三十六, 以爲皆可以得初揲非五卽九, 再三揲非九卽八之數, 而獨不得過揲三十六三十二二十八二十四之策, 以明掛扐之可廢, 過揲之獨用, 是又不知掛扐七八九六, 過揲四九四八四七四六, 不可相旡之說. 是謂其失益甚也. 以三變爲一揲, 本是正義之誤, 而郭氏又失正義之旨, 致有此誤也.
只今지금 掛扐之數괘륵지수에 있어 이미 方圓방원 參兩삼양의 法법에 根本근본한 것을 모르고 揲蓍法설시법에 干與간여함이 없다고 여겨, 한갓 過揲과설의 四4×九9, 四4×八8, 四4×七7, 四4×六6의 數수만 지켜서 正策정책으로 삼고, 또 正策정책이 掛扐괘륵의 九9‧八8‧七7‧六6의 數수에 根本근본 함을 모르고 全數전수를 求구하려함에 四個4개씩 더해 五十三53에서 九十七97에 이르고 四個4개씩 덜어 四十五45에서 三十六36에 이른 것으로 初揲초설에 五5아니면 九9이고 再揲재설과 三揲삼설에 九9 아니면 八8의 數수를 얻는데 但只단지 過揲과설의 三十六36‧三十二32‧二十八28‧二十四策24책을 얻지 못함을 가지고 掛扐괘륵을 버리고 過揲과설만 쓸 수 있다고 하니 이 또한 掛扐괘륵의 七7‧八8‧九9‧六6과 過揲과설의 四4×九9, 四4×八8, 四4×七7, 四4×六6이 서로 없을 수 없다는 說설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이를 일러 잃어버림이 더욱 甚심하다고 하는 것이다. 三變삼변을 一揲일설로 삼은 것은 本來본래 『周易正義주역정의』의 誤謬오류인데 郭氏곽씨가 또 『周易正義주역정의』의 趣旨취지를 잃어서 이런 誤謬오류를 불러들였다.
○又案, 啓蒙註, 引此條, 而要解以前後相因, 固有次第, 爲過揲在前掛扐在後云云.
또 살펴보았다. 『易學啟蒙역학계몽』의 註주에 이 條目조목을 引用인용했는데 『要解요해』에서는 前後전후가 서로 原因원인이 되어 眞實진실로 順序순서가 있으니 過揲과설이 앞에 있고 掛扐괘륵이 뒤에 있다고 云云운운하였다.
上文旣明言其前爲掛扐其後爲過揲, 以辨郭氏不知正策之所自來, 則要解似失之矣. 又胡雙湖翼傳, 謂朱子用掛扐而不用過揲. 夫掛扐過揲雖有原委之不同, 朱子旣言其不可偏廢. 若是詳悉, 則雙湖說恐未的當.
윗 글에서 이미 앞이 掛扐괘륵이 되고 뒤가 過揲과설이 된다고 하여 郭氏곽씨가 正策정책의 由來유래를 알지 못한다고 辯論변론하였으니 『要解요해』에서 失手실수한 것 같다. 그리고 雙湖쌍호의 翼傳익전에 朱子주자는 掛扐괘륵을 쓰고 過揲과설을 쓰지 않았다고 하였다. 掛扐괘륵과 過揲과설은 비록 本본말의 다름은 있지만 朱子주자가 이미 廢棄폐기할 수 없다고 하였다. 萬若만약 이를 詳細상세히 갖추려면 雙湖쌍호의 說明설명은 適當적당치 않다.
兼山郭氏曰, 四象之數必曰九八七六者, 三十六三十二二十八二十四之策, 以四揲而得之也. 九六天地之數也, 乾坤之策也. 七八出於九六者也, 六子之策也, 乾坤相索而成者也.
兼山郭氏겸산곽씨가 말하였다. “四象사상의 數수를 반드시 九9‧八8‧七7‧六6이라고 하는 것은 三十六36‧三十二32‧二十八28‧二十四24의 策책을 四個4개씩 세어서 얻어지기 때문이다. 九9‧六6은 天地천지의 數수이고 乾坤건곤의 策책이다. 七7‧八8은 九9‧六6에서 나온 것으로 여섯 子女자녀의 策책이니 乾坤건곤이 서로 求구해 이룬 것이다.”
朱子曰, 今按四象之數, 乃天地間, 自然之理, 其在河圖洛書, 各有定位. 故聖人畫卦自兩儀而生, 有畫以見其象. 有位以定[주 238]其次, 有數以積其實. 其爲四象也, 久矣. 至於揲蓍然後, 掛扐之奇偶方圓, 有以兆之於前. 過揲之三十六三十二二十八二十四, 有以乘之於後, 而九六七八之數, 隱然於其中. 九七天數也, 三十六二十八, 凡老陽少陽之策數也. 六八地數也, 三十二二十四, 凡老陰少陰之策數也. 今專以九六爲天地之數乾坤之策, 謂七八非天地之數而爲六子之策, 則已誤矣.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只今지금 四象사상의 數수를 살펴보니 天地천지의 自然자연한 道理도리가 「河圖하도」와 「洛書낙서」에 있음이 各各각각 定정해진 자리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聖人성인이 卦괘를 그음에 兩儀양의로부터 生생하고 畫획을 그어 그 象상을 나타내고, 자리를 두어 그 次例차례를 定정하고, 數수를 두어 그 實質실질을 쌓았으니, 그 四象사상이 됨이 또한 오래이다. 揲蓍설시에 이른 然後연후에 掛扐괘륵의 奇偶기우와 方圓방원이 앞에서 兆朕조짐을 드러내고, 過揲과설의 三十六36‧三十二32‧二十八28‧二十四24가 뒤에서 곱해짐이 있으니, 九9‧六6‧七7‧八8의 數수가 그 가운데 隱然은연하다. 九9‧七7은 天數천수이고 三十六36과 二十八28은 老陽노양과 少陽소양의 數수이다. 六6‧八8은 地數지수이고 三十二32와 二十四24는 老陰노음과 少陰소음의 策數책수이다. 只今지금 오로지 九9‧六6으로 天地천지의 數수와 乾坤건곤의 策책을 삼는데, 七7‧八8은 天地천지의 數수가 아니고 여섯 子女자녀의 策책이 된다는 것은 이미 잘못되었다.”
238) 『文公易說문공역설』에 依據의거하여 ‘定以정이’를 ‘以定이정’으로 바로잡음. |
案, 圖書出, 而一二三四九八七六各有定位. 聖人則之, 有重單交坼之畫, 以見其象. 有一二三四之位, 以定其次. 有九八七六之數, 以積其實. 其布在天地. 著在圖書, 卦畫位數, 粲然可考矣.
내가 살펴보았다. 「河圖하도」 「洛書낙서」가 나와 一1‧二2‧三3‧四4와 九9‧八8‧七7‧六6이 各各각각 자리를 定정하고 聖人성인이 이를 本본받아 重중‧單단‧交교‧坼탁의 畫획을 그어 그 象상을 나타내고, 一1‧二2‧三3‧四4의 자리를 두어 그 順序순서를 定정하고, 九9‧八8‧七7‧六6의 數수를 두어 그 實際실제를 쌓았다. 그 펼쳐짐이 天地천지에 있고 蓍草시초는 「河圖하도」 「洛書낙서」에 있으니 卦畫괘획의 자리와 數수가 밝아서 考察고찰할 수 있다.
* 重單交坼중단교탁: 돈을 쳐서 占점을 치는 方法방법의 한가지.? 重중(□), 單단(⼀), 交교(×), 坼탁(--) |
四象 | 判別法 | 合數 | 四象策數 | 表示法 |
老陰 | 三多 (9,8,8) | 25 | 49-25=二十四24(4*6) | ☓ 交 |
少陽 | 一少兩多 (9,4,8) (9,8,4) (5,8,8) | 21 | 49-21=28(4*7) | ━ 單 |
少陰 | 一多兩少 (9,4,4) (5,4,8) (5,8,4) | 17 | 49-17=32(4*8) | -- 坼 |
老陽 | 三少 (5,4,4) | 13 | 49-13=36(4*9) | ▭重 |
https://cafe.daum.net/ko.art./am0K/1043?q=天一地二天三地四天五地六天七地八天九地十&re=1 |
至於揲蓍然後, 掛扐爲七八九六之原, 過揲爲七八九六之委, 卽上所謂以四乘掛扐之數, 得過揲之數, 是四象九六七八之數, 隱然於揲蓍之中. 其九七本圖書之天數也, 凡老陽策數三十六, 少陽策數二十八, 而屬乎九七. 六八本圖書之地數也, 凡老陰策數二十四, 少陰策數三十二, 而屬乎六八. 今專以天九地六爲乾坤之策, 以天七地八爲六子之策, 則天地之數安有有九六而旡七八耶
揲蓍설시를 한 以後이후에 掛扐괘륵이 七7‧八8‧九9‧六6의 本본이 되고, 過揲과설이 七7‧八8‧九9‧六6의 末말이 되니 곧 위에서 말한 바 四4로 掛扐괘륵의 數수에 곱하면 過揲과설의 數수를 얻으니 이는 四象사상 九9‧六6‧七7‧八8의 數수가 揲蓍설시하는 가운데 隱然은연하다. 九9‧七7은 「河圖하도」 「洛書낙서」의 天數천수에 該當해당하는데 老陽노양 策數책수는 三十六36이고 少陽소양 策數책수는 二十八28로 九9와 七7에 屬속한다. 六6‧八8은 「河圖하도」 「洛書낙서」의 地數지수에 該當해당하는데 老陰노음 策數책수는 二十四24고 少陰소음 策數책수는 三十二32로 六6과 八8에 屬속한다. 只今지금 하늘의 九9와 땅의 六6이 乾坤건곤의 策數책수가 되고, 하늘의 七7과 땅의 八8은 여섯 子女자녀의 策數책수가 되니 곧 天地천지의 數수가 어찌 九9와 六6만 있고 七7과 八8이 없겠는가?
兼山郭氏曰, 天之生數一三五合之爲九, 地之生數二四合之爲六, 故曰九六者天地之數也. 乾之策二百一十有六, 以六分之, 則爲三十六, 又以四分之, 則爲九. 坤之策百四十有四, 以六分之, 則爲二十四, 又以四分之, 則爲六, 故曰九六者, 乾坤之策數也.
兼山郭氏겸산곽씨가 말하였다. “天數천수 中의 生數생수인 一1,三3,五5를 合합하면 九9가 되고 地數지수 中의 生數생수인 二2,四4를 合합하면 六6이 된다. 그러므로 九9와 六6을 天地천지의 數수라고 한다. 乾건의 策數책수는 二百一十有六216인데 六6으로 나누면 三十六36이 되고 또 四4로 나누면 九9가 된다. 坤곤의 策數책수는 百四十有四144인데 六6으로 나누면 二十四24가 되고 또 四4로 나누면 六6이 된다. 그러므로 九9와 六6을 乾坤건곤의 策數책수라고 한다.”
陰陽止於九六而已, 何七八之有, 故少陽震坎艮三卦, 皆乾畫一, 其策三十六, 坤畫二, 其策四十八, 合之爲八十四. 復三分之而爲二十八, 復四分之而爲七.
陰陽음양이 九9와 六6에 그칠 뿐이니 어찌 七7과 八8이 있겠는가! 그렇기 때문에 少陽소양인 震진, 坎감, 艮간의 세 卦괘는 모두 乾건의 畫획이 一個1개로 그 策數책수는 三十六36이고, 坤곤의 畫획은 二個2개로 그 策數책수는 四十八48로 合합하면 八十四84가 된다. 다시 三3으로 나누면 二十八28이 되고 四4로 나누면 七7이 된다.
少陰巽離兌三卦, 皆乾畫二, 其策七十二, 坤畫一, 其策二十四, 合之爲九十六. 復三分之而爲三十二, 復四分之而爲八. 是七八出於九六, 而爲六子之象也. 然九六有象而七八旡象. 蓋以卦則六子之卦七八隱於其中而旡象. 以爻則六子皆乾坤之畫而旡六子之畫也. 故唯乾坤有用九用六之道. 諸卦之得奇畫者, 用乾之九也, 得偶畫者, 用坤之六也. 旡用七八之道也. 〈案, 此說已見小註. 蓋纂註者只見大傳稱乾之策坤之策. 郭氏言乾坤有用九用六之道, 遂收入註中而不覺其誤. 今竝錄其全文, 及朱子辨說. 下白雲郭氏二說同此.〉
少陰소음인 巽손, 離리, 兌태 세 卦괘는 모두 乾건의 畫획이 二個2개로 그 策數책수는 七十二72이고 坤곤의 畫획이 一個1개로 그 策數책수는 二十四24로 合합하면 九十六96이다. 다시 三3으로 나누면 三十二32가 되고 다시 四4로 나누면 八8이 된다. 이것은 七7과 八8이 九9와 六6에서 나와 여섯 子女자녀의 象상이 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九9와 六6은 象상이 있지만 七7과 八8은 象상이 없다. 大槪대개 卦괘로 보면 여섯 子女자녀의 卦괘는 七7과 八8이 그 가운데 숨겨져 있어 象상이 없다. 爻효로 보면 여섯 子女자녀는 모두 乾건과 坤곤의 畫획으로 여섯 子女자녀의 畫획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오직 乾坤건곤에만 九9를 쓰고 六6을 쓰는 道理도리가 있다. 모든 卦괘에서 奇畫기획을 얻는 것은 乾건의 九9를 쓰고 偶畫우획을 얻은 것은 坤곤의 六6을 쓴다. 七7과 八8을 쓰는 道理도리는 없다. 〈내가 살펴보았다. 이 說설은 이미 앞의 小註소주에 보인다. 大槪대개 註주를 編纂편찬하는 者자가 但只단지 「繫辭傳계사전」에서 乾건의 策數책수와 坤곤의 策數책수를 말하고 郭氏곽씨가 乾坤건곤에 九9를 쓰고 六6을 쓰는 道理도리를 말한 것만 보고 드디어 註주 가운데 집어넣어 그 잘못을 알지 못했다. 只今지금 全文전문과 朱子주자가 辯論변론한 說明설명을 함께 記錄기록한다. 아래의 白雲郭氏백운곽씨의 두 가지 說설도 이와 같다.〉
朱子曰, 今按一二三四五, 天地之生數也, 五中數, 故不用. 六七八九十, 天地之成數也, 十全數, 故不用, 而河圖洛書之四象, 亦旡所當於五與十焉. 故四象之畫成, 而以一二三四紀其次, 九八七六積其實, 其揲蓍之法具, 而掛扐之五與四, 以一其四而爲奇, 九與八以兩其四而爲偶. 奇以象圓而徑一者其圍三, 故凡奇者其數三. 偶以象方而徑一者其圍四而用半, 故凡偶者其數二. 所謂參天兩地者也.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只今지금 살펴보니 一1‧二2‧三3‧四4‧五5는 天地천지의 生數생수인데 五5는 中數중수이기 때문에 쓰지 않는다. 六6‧七7‧八8‧九9‧十10은 天地천지의 成數성수인데 十10은 全數전수이기 때문에 쓰지 않는다. 「河圖하도」, 「洛書낙서」의 四象사상에도 五5와 十10은 該當해당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四象사상의 畫획이 이루어짐에 一1‧二2‧三3‧四4로 그 順序순서를 記錄기록하고 九9‧八8‧七7‧六6으로 그 實質실질을 쌓아 揲蓍설시의 方法방법이 갖추어진다. 掛扐괘륵의 五5와 四4는 그 四4가 한 個개로 홀이 되고 九9와 八8은 그 四4가 둘로 짝이 된다. 홀은 圓원을 象徵상징하며 直徑직경이 一1일 때 둘레가 三3이기 때문에 홀은 그 數수가 三3이다. 짝은 方방을 象徵상징하며 直徑직경이 一1일 때 둘레가 四4인데 그 半반을 쓰기 때문에 짝은 그 數수가 二2이다. 이른바 하늘을 셋으로 하고 땅을 둘로 한다는 것이다.”
及其揲之三變, 則凡三奇者三其三而爲九, 三偶者參其兩而爲六. 此九六所以得數之實也. 至於兩奇一偶, 則亦參其兩奇以爲六, 兩其一偶以爲二, 而合之爲八. 兩偶一奇, 則亦兩其兩偶以爲四, 參其一奇以爲三, 而合之爲七. 此七八所以得數之實也.
揲蓍설시의 三變3변을 마치면 세 홀-數수는 三3이 셋이어서 九9가 되고 세 짝-數수는 二2가 셋이어서 六6이 된다. 이것은 九9와 六6이 數수의 實質실질을 얻은 것이다. 홀-數수가 둘이고 짝-數수가 하나인 것에 이르면 亦是역시 두 홀-數수를 셋으로 해서 六6이 되고 하나의 짝을 둘로 해서 二2가 되어 合합하면 八8이 된다. 짝-數수가 둘이고 홀-數수가 하나이면 두 짝-數수를 둘로 해서 四4가 되고 하나의 홀-數수를 셋으로 해서 三3이 되어 合합하면 七7이 된다. 이는 七7과 八8이 數수의 實質실질을 얻은 것이다.
是其老少雖有不同, 然其成象之所自, 得數之所由, 則皆有從來而不可誣矣. 若專以一三五爲九, 二四爲六, 則雖合於積數之一段, 而於七八則有不可得以通者矣. 不自知其不通, 而反以七八爲旡象, 不亦誤乎.
老少노소가 비록 다르지만 象상을 이루는 根源근원과 數수를 얻는 緣由연유는 다 來歷내력이 있어서 속일 수 없다. 萬若만약 一1,三3,五5를 九9로 삼고 二2,四4를 六6으로만 삼는다면 비록 數수를 쌓는 한 階段계단에 符合부합하더라도 七7,八8에 있어서는 通用통용될 수 없다. 스스로 그 通통하지 못함을 모르고 도리어 七7과 八8을 象상이 없다고 여기니 잘못이 아닌가?
又况自其四營三變, 而先得其七八九六之數, 而後得其一卦過揲之策. 此於大傳之文, 蓋有序矣, 今乃以乾坤之策爲母, 反再分之而後得九六焉. 且又不及乎七八而以爲旡象, 誤益甚矣.
하물며 네 番번 經營경영함과 세 番번 變변함으로부터 먼저 七7‧八8‧九9‧六6의 數수를 얻고 뒤에 한 卦괘의 過揲之策과설지책을 얻음에랴! 이는 「繫辭傳계사전」의 文章문장으로 順序순서가 있는데 只今지금 乾坤건곤의 策책을 어머니로 삼고 도리어 거듭 나눈 뒤에 九9와 六6을 얻고 또 七7과 八8에 이르지 못해 象상이 없다고 여겼으니 잘못이 더욱 甚심하다.
抑七八九六之用於蓍, 正以流行經緯乎陰陽之間, 而別其老少以辨其爻之變與不變也. 九六豈乾坤之所得專而七八豈六子之所偏用哉. 若如其言, 則凡筮得乾坤者旡定爻, 得六子者旡定卦矣. 尙何筮之云哉. 其曰乾坤有用九用六之道, 六子旡用七用八之道, 此又不攷乎.
도리어 七7‧八8‧九9‧六6이 蓍草시초에 쓰여 바로 陰陽음양의 사이 經緯경위를 流行유행하면서 老少노소로 爻효의 變변하고 變변하지 않음을 分別분별한다. 九9와 六6이 어찌 乾坤건곤을 얻은 것에만 오로지 하고 七7과 八8이 어찌 여섯 子女자녀에만 치우쳐 쓰이겠는가? 그 말처럼 한다면 蓍草시초를 해서 乾坤건곤을 얻으면 定정해진 爻효가 없고 여섯 子女자녀를 얻으면 定정해진 卦괘가 없으니 어찌 筮法서법이라 할 수 있겠는가? 乾坤건곤에는 九9를 쓰고 六6을 쓰는 道도가 있지만 여섯 子女자녀에는 七7과 八8을 쓰는 道도가 없다고 한다면 이 또한 問題문제(攷고)가 아닌가?
歐陽子明用之說, 其鑿甚矣, 又况方爲四象之時未有八卦之名耶. 如蘇氏所引一行之言, 謂其有象而合其數, 則可爾. 今直以八卦分之, 不亦太早計哉.
歐陽子구양자의 씀을 밝힌 說明설명은 穿鑿천착이 甚심하다. 또 하물며 四象사상의 때에는 八卦팔괘의 이름이 없었음에랴! 萬若만약 蘇氏소씨가 一行일행을 말을 引用인용한 것처럼 그 象상이 있으면 그 數수를 合합한다고 하면 괜찮지만, 只今지금 直接직접 八卦팔괘로 分配분배하는 것은 너무 일찍 計算계산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 穿鑿천착: 1. 구멍을 뚫음. 2. 學問학문을 깊이 硏究연구함. |
案, 掛扐之五與四, 去初變之掛, 則皆爲四, 而以四約之, 得一揲之數, 一者奇也. 九與八去初變之掛, 則皆有八, 而以四約之, 得二揲之數, 二者偶也. 此所以奇圓用全, 偶方用半也. 啓蒙論河圖先言進退饒乏之正, 以見其象數之原, 後言互藏其宅之變. 謂一三五積爲九, 二四積爲六, 九退而爲七, 六進而爲八, 正如後天卦變之說, 所謂某卦自某卦來云爾. 此所謂九六雖合積數之一端, 而於七八有所不通矣. 今旣不知其說有不通, 而反以七八爲旡象, 此所以爲誤也.
내가 살펴보았다. 掛扐괘륵의 五5와 四4에서 初變초변의 건 것을 除去제거하면 모두 四4가 되는데 四4로 묶으면 한 番번 세는 數수를 얻으니 一1은 홀이다. 九9와 八8에서 初變초변의 건 것을 除去제거하면 모두 八8이 되는데 四4로 묶으면 두 番번 센 數수를 얻으니 二2는 짝이다. 이로써 홀의 圓원은 全部전부를 쓰고 짝의 方방은 半반을 쓴다. 『易學啟蒙역학계몽』에 「河圖하도」를 論논함에 먼저 進退진퇴와 남고 모자람의 바름을 말하여 象數상수의 根源근원을 보이고 뒤에 서로 相對상대의 집에 감추는 變化변화를 말하였다. 一1,三3,五5가 쌓여서 九9가 되고 二2,四4가 쌓여서 六6이 되는데 九9는 물러나 七7이 되고 六6은 나아가 八8이 된다는 것은 마치 後天후천 卦變괘변의 說明설명에서 어떤 卦괘는 어떤 卦괘로부터 왔다고 말하는 것과 같을 뿐이다. 이는 이른바 九9와 六6이 비록 쌓아 合합한 數수의 한 端緖단서이지만 七7과 八8에 있어서는 通用통용되지 못함이 있다. 只今지금 이미 그 說설이 通통하지 못함을 알지 못하고 도리어 七7과 八8을 象상이 없는 것으로 여기기 때문에 잘못이라고 한 것이다.
况三變旣畢, 先得七八九六之數, 而以四乘之, 得一爻三十六二十八二十四三十二之數, 十八變旣畢, 得六爻而後, 以六乘之, 得一卦二百一十六一百四十四等策. 觀大傳之文, 先言掛一揲四歸奇再扐然後, 及乾坤過揲之策, 自有其序. 今乃以乾坤之策爲母數, 遂六分之, 又四分之而後得九六之數, 又不及七八之數以爲旡象, 此所以其誤益甚者也.
하물며 三變삼변을 다 마친 뒤에 먼저 七7,八8,九9,六6의 數수를 얻고 四4로 곱해 한 爻효의 三十六36,二十八28,二十四24,三十二32의 數수를 얻으며 十八變18변을 다 마쳐 六爻6효를 얻은 뒤에 六6으로 곱하면 한 卦괘에 二百一十有六216과 百四十有四策144책 等등을 얻음에 있어서랴! 「繫辭傳계사전」의 文章문장을 보면 먼저 하나를 걸고 四個4개씩 세고 나머지를 돌리고 두 番번 扐륵한 뒤에 乾坤건곤의 過揲之策과설지책을 言及언급하였으니 自然자연스런 順序순서가 있다. 只今지금 乾坤건곤의 策책을 어머니로 삼고 드디어 六6으로 나누고 또 四4로 나눈 뒤에 九9와 六6의 數수를 얻으며, 또 七7과 八8의 數수에는 미치지 않아 象상이 없는 것으로 하니 이것 때문에 그 잘못이 더욱 甚심하다고 한 것이다.
韓康伯註, 乾之策二百一十有六, 曰, 乾一爻三十六策, 則是取其退揲四分而九也. 坤之策百四十有四, 曰, 坤一爻二十四策, 則是取其退揲四分而六也. 今郭氏必以乾坤之策再分之者, 蓋本於此而尢差矣.
韓康伯한강백의 註釋주석에서 ‘乾건의 策책이 二百一十有六216이다’에 對대해 말하길, ‘乾건의 一爻1효가 三十六策36책이니 이것을 가지고 거슬려 세어 四4로 나누면 九9이다’라고 하고, ‘坤곤의 策책이 百四十有四144이다’에 對대해 말하길, ‘坤곤의 一爻1효가 二十四策24책이니 이것을 가지고 거슬러 세어 四4로 나누면 六6이다’라고 하였다. 只今지금 郭氏곽씨가 乾坤건곤의 策책으로 나눈 것은 다 여기에 根本근본한 것인데 더욱 어긋났다.
歐陽子曰, 乾坤之用九用六何謂也.
曰, 乾爻七九坤爻八六, 九六變而七八旡爲. 易道占其變, 故以其所占者名爻, 所謂六爻皆九六也. 及其筮也, 七八常多而九六常小, 有旡九六者焉. 此不可以不釋也. 六十四卦皆然, 特於乾坤見之, 則餘可知耳.
歐陽子구양자가 말하였다. “乾坤건곤의 九9를 쓰고 六6을 쓴다는 것은 어떤 말입니까?”
答답하였다. “乾爻건효는 七7과 九9이고 坤爻곤효는 八8과 六6이다. 九9와 六6은 變변하고 七7과 八8은 하는 것이 없다. 易역의 道도는 變化변화를 占점치기 때문에 占점친 것을 爻효로 이름하였으니 이른바 六爻육효가 다 九9와 六6이다. 蓍草占시초점에 미쳐서 七7과 八8은 늘 많고 九9와 六6은 늘 적다. 九9나 六6이 없는 것도 있으니 이것은 分析분석(釋석)하지 않으면 안 된다. 六十四卦64괘가 다 그렇지만 特특히 乾坤건곤을 보면 나머지를 알 수 있다.”
朱子引之於啓蒙, 謂此說發明先儒所未到, 最爲有功. 觀此則見郭氏說其鑿甚矣. 又况方爲四象之時. 又是一爻之陰陽老少, 未有八卦之名. 若如下章所載, 蘇氏所引一行之言, 所謂三少乾之象也, 乾所以爲老陽, 而合九數, 三少坤之象也, 坤所以爲老陰, 而合六數, 則可也. 今乃直以八卦分之, 此所謂太早計也.
朱子주자가 『易學啟蒙역학계몽』에서 이를 引用인용하고 “이 說설은 先輩선배 學者학자들이 이르지 못한 것을 밝혀놓았다”고 하였는데 가장 親切친절하다. 이것을 보면 郭氏곽씨의 說설이 穿鑿천착함이 甚심함을 볼 수 있다. 또 하물며 四象사상의 때가 됨에 있어서랴! 또 이것은 한 爻효의 陰陽老少음양노소에 八卦팔괘의 이름이 없다. 아랫 章장에 실린 蘇氏소씨가 引用인용한 一行일행의 말인 이른바 “三少삼소는 乾卦건괘(䷀)의 象상이다”는 乾卦건괘(䷀)가 老陽노양이 되고 合합하면 九9인 까닭이고 “三多삼다는 坤卦곤괘(䷁)의 象상이다”는 坤卦곤괘(䷁)가 老陰노음이 되고 合합하면 六6인 까닭이니 괜찮다. 只今지금 곧바로 八卦팔괘로 나누면 이것은 너무 일찍 計算계산한 것이다.
且朱子答程泰之書曰, 大傳專以六爻乘老陽老陰而言之, 其實六爻之爲陰陽者, 老少錯雜其積而爲乾者未必皆老陽, 積而爲坤者未必皆老陰. 其爲六子諸卦, 亦互有老少焉. 蓋老少之別本所以生爻, 而非所以名卦. 今但以乾有老陽之象, 坤有老陰之象, 六子有少陰陽之象, 且均其策數, 又偶合焉, 而因假此以明彼則可. 若便以乾坤皆爲老陰陽, 六子皆爲少陰陽, 恐甚未安. 與此參攷則其義可見矣.
또 朱子주자가 程泰之정태지에게 答답한 글에서 말하였다. “「繫辭傳계사전」에서는 오로지 六爻6효에 老陽노양과 老陰노음을 곱한 것으로 그 事實사실을 말했지만, 六爻육효가 陰陽음양이 되는 것에는 老少노소가 섞여있으니, 그것이 쌓여 乾卦건괘(䷀)가 된 것이 다 老陽노양이 되는 것이 아니며, 쌓여서 坤卦곤괘(䷁)가 되는 것이 다 老陰노음이 되는 것은 아니다. 여섯 子女자녀의 卦괘에도 老少노소가 있다. 老少노소의 區別구별은 本來본래 爻효를 生생하기 때문이지 卦괘를 命名명명하기 때문이 아니다. 只今지금 乾건에 老陽노양의 象상이 있고 坤곤에 老陰노음의 象상이 있고, 여섯 子女자녀에 少陰소음과 少陽소양의 象상이 있으며, 또 그 策數책수가 均等균등하고 또 偶然우연히 合합하니 이것을 빌려 저것을 밝히면 괜찮다. 萬若만약 곧 乾坤건곤으로 老陰노음과 老陽노양을 삼고 여섯 子女자녀를 少陰소음과 少陽소양으로 삼는다면 안 될 것이다. 이것과 함께 參考참고하면 그 뜻을 알 수 있다.
*****(2024.05.07.)
주역대전 > 십익 > 계사상전:제9장 총 一11건의 硏究연구성과가 있습니다. http://waks.aks.ac.kr/rsh/dir/rdirItem.aspx?rptID=AKS-2012-EAZ-2101_BOOK&rshID=AKS-2012-EAZ-2101&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9장%3a편명%24繫辭上傳:제9장(第九章)%3a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9장(第九章)_6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9장%3a편명%24繫辭上傳:제9장(第九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74_006 |
- DAUM 뉴스 실시간 국제 뉴스 https://news.daum.net/foreign/#1 |
국제 뉴스 연합뉴스/러 핵무기 배치한 벨라루스도 "전술핵무기 훈련" 연합뉴스/스위스, '500년 역사' 교황 근위대 새 막사 건립지원 조선일보/유엔 사무총장 “지금은 중요한 순간, 이스라엘은 회담에 참여 하라” 연합뉴스/화학무기금지기구 "러, 사용 증거 불충분…우려는 여전" 연합뉴스/'G7 플러스' 시대를 위해…로마서 '한-G7 협력 포럼' 연합뉴스/스리랑카, 인도 기업과 20년 풍력 전기 구매계약 뉴시스/"스토미 대니얼스, 오늘 증언대에 나설수 있어"…변호사 뉴스1/미국이 만드는 가자 해안 임시 부두, 내일 완공…9일 첫 트럭 통과 매일경제/바이든 반등·트럼프 주춤…지지율 37%로 딱 붙었다 뉴시스/이스라엘, 협상단 카이로에 보내…실무자 급 |
뉴시스/라파 지상전 초읽기에 주변국들 긴장…카타르, 협상단 재파견 오마이뉴스/미국 대학가 소요사태, 왜 언론은 이렇게 잘못 보도하나 연합뉴스/대만국방부, 최전방 진먼다오 中해경 진입에 즉각 대응의지 밝혀 뉴시스/"중국 정부 연계 해커, 영국 국방부 해킹 시도…군인 정보 탈취" 문화일보/푸틴, 집권 5기 취임식… 美·EU 20개국 보이콧 뉴스1/"라파 지상 침공, 용납 못해…파괴적 결과 낳을 것"-유엔 사무총장 뉴스1/시진핑 마크롱 이용, 미국-EU 이간계…성공할까? 연합뉴스/"시진핑 순방, 유럽 對中 단일대오 시험대"…마크롱은 코냑외교 뉴시스/佛 마크롱, ‘러에 무기 수출 자제’ 약속한 시 주석에 감사 연합뉴스/대만 대륙위, '친중 국민당+中공산당' 통일전선 시도 경계 국제신문/“통일정책 지속성 중요…여야 협의로 방향 설정을” 아이뉴스24/트럼프 "한국 방위비 거의 안 내" 인터뷰…CNN "오류투성이" 문화일보/캘리포니아 엑소더스 끝났나…4년 만에 인구 증가세로 전환 KBS/아프간도 폭우 피해…지구촌 곳곳 물난리로 신음 MBN/미 대학 졸업식 1명 사망…인종차별 '맞불 시위' 논란 경향신문/아르헨 이어…파나마서도 우파 대통령 선출 뉴시스/시진핑 주석, 엘리제궁서 마크롱 대통령 및 EU 집행위원장과 회동 MBC/"이게 바로 김밥입니다" 7백만 넘은 '김밥 소녀' 영상‥미국 수출액 '쑥' MBC/한국 대신 하이난 가나?‥중국 '큰손' 이동에 한국 면세점 위기 MBC/졸업식장에서도 친팔레스타인 시위‥맞불 시위에 논쟁 가열 |
23:10KBS/라파 대피 시작, 공격 임박…이스라엘 공습으로 “20여 명 사망” 23:06매일경제/習, 관세인하 선물 들고…中·佛 밀월 다지나 23:06매일경제/EU,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승인 23:02연합뉴스/박빙대결 美대선…USA투데이 조사서 바이든-트럼프 37%로 동률 23:00한국일보/유럽 간 시진핑 "긴밀한 관계" 촉구했지만… EU는 '강경 모드' 22:59뉴시스/바이든, 이스라엘 라파 공격 조짐에 네타냐후와 통화 22:59연합뉴스/EU "폴란드 법치 회복"…제재 절차 6년 만에 마무리 22:58뉴시스/하마스, 이스라엘에 "라파 침공은 '피크닉' 안 될 것" 경고 22:49뉴스1/바이든,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대화 예정…라파 지상작전 제동 거나 22:48SBS/EU수장, 시진핑에 러 · 이란 '압박' 주문…"중국이 역할해야" 22:45연합뉴스/러 대외정보국 "미, 젤렌스키 후임자 물색" 22:44뉴시스/독일, 주러 대사 일주일간 소환…"러시아의 해킹 공격 항의" 22:42노컷뉴스/마크롱-시진핑-EU '3자 회담'…우크라전 등 논의 22:41연합뉴스/이스라엘군, 라파 민간인 대피 개시…지상전 강행 임박 22:36문화일보/“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트럼프 발언 오류투성이”…“韓 40~50% 부담” 22:33중앙일보/'10만명 대피령' 내린 이스라엘군…라파 두 곳 전투기 띄웠다 22:30뉴스1/가자지구 관리 "이스라엘군, 대피 지시한 라파 지역 내 두 곳 공격" 22:21머니투데이/유니세프 "라파의 60만 어린이들 피난갈 곳 없어" 22:15한국일보/파나마 대선서 중도우파 후보 당선... “북한 불법 무기 적발 지휘 이력” 22:09서울경제/"이스라엘군, 대피 지시한 라파 지역 두 곳 제트기로 공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