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BEAM에서의 좌표 즉, 요소좌표계의 "Z"축이 거꾸로 되어 있는것 같습니다.(BY 오른손법칙) 1.접합부에서 "MEMBER RELEASE"는 해당하는 휨모멘트에 대한 축들을 풀어주는 것임으로 휨모멘트의 특성을 파악하시어 풀어주면 됩니다. 2."MY" "MZ" 둘다 풀어주는 경우 : 강축 및 약축에 대해 풀어준 경우가 되겠죠.
staad pro 사용자입니다. 철골 beam 을 release 할때 MY, MZ 를 해준다는 것은 BEAM 의 약축과 강축의 모멘트를 풀어버린다는 것입니다. 즉 PIN 해석을 한다는 것이구요. MX 까지 풀으신다면 BEAM 의 TORSION 까지 풀어버린다는 것입니다. Global 좌표와 Local 좌표를 확인하셔서 하시면 됩니다.
첫댓글 추가로 다른 Engineer가 한 Input File를 보니 RELEASE "MY" "MZ" 2개만 되어 있더라구여...요개 맞나요?
0.BEAM에서의 좌표 즉, 요소좌표계의 "Z"축이 거꾸로 되어 있는것 같습니다.(BY 오른손법칙) 1.접합부에서 "MEMBER RELEASE"는 해당하는 휨모멘트에 대한 축들을 풀어주는 것임으로 휨모멘트의 특성을 파악하시어 풀어주면 됩니다. 2."MY" "MZ" 둘다 풀어주는 경우 : 강축 및 약축에 대해 풀어준 경우가 되겠죠.
moment님...답변 감사합니다.
staad pro 사용자입니다. 철골 beam 을 release 할때 MY, MZ 를 해준다는 것은 BEAM 의 약축과 강축의 모멘트를 풀어버린다는 것입니다. 즉 PIN 해석을 한다는 것이구요. MX 까지 풀으신다면 BEAM 의 TORSION 까지 풀어버린다는 것입니다. Global 좌표와 Local 좌표를 확인하셔서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