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창녕조씨 장흥 제산종중 원문보기 글쓴이: 카페지기(석현)
|
|
|
|
|
|
사진 또는 지 방 |
|
|
|
|
|
| |||||||||
돼지고기 |
|
국 |
|
밥 |
국 |
|
밥 |
|
떡 | ||||||||||||
|
|
|
|
|
|
|
|
|
|
|
|
| |||||||||
|
|
|
잔 |
|
|
수저그릇 |
|
|
잔 |
|
|
| |||||||||
|
|
|
|
|
|
|
|
|
|
|
|
| |||||||||
|
육전 |
|
육적 |
|
|
소적 |
|
|
어적 |
|
어전 |
| |||||||||
|
|
|
(肉炙) |
|
|
(素炙) |
|
|
(魚炙) |
|
(조기) |
| |||||||||
|
|
|
(닭고기) |
|
|
(두부적) |
|
(문어, 돔, 상어, 대구) |
|
| |||||||||||
|
|
|
|
|
|
|
|
|
|
| |||||||||||
|
포 |
|
|
탕 |
|
|
|
탕 |
|
|
식혜 |
| |||||||||
(명태, 오징어, 건문어) |
|
(명태) |
|
|
|
(합자) |
|
|
|
| |||||||||||
|
|
|
|
|
|
|
|
|
|
| |||||||||||
|
콩나물 |
|
무우나물 |
|
도라지 |
|
간장 |
|
고사리 |
|
푸른나물 |
| |||||||||
|
|
|
|
|
|
|
|
|
|
|
|
| |||||||||
|
대추 |
밤 |
감 |
배 |
사과 |
|
참외수박 |
|
과자류 |
|
키위, 바나나 |
| |||||||||
|
(나무과일) |
|
(넝쿨 과일) |
|
(조과) |
|
(외국 과일) |
|
※ 촛대는 돼지고기와 떡 옆에 위치한다.
◈ 단위진설도 : 위에서 국, 밥, 잔, 수저 한 벌씩을 빼면 됨.
◈ 용어(用語)
① 좌반우갱(佐飯右羹) : 밥은 왼쪽에 국은 오른 쪽에
② 시접거중(匙楪居中) : 시접(수저그릇)은 중앙에
③ 조율시이(棗栗柿梨) : 대추, 밤, 감, 배, 사과 순으로
④ 홍동백서(紅童白西) : 붉은 과일은 동쪽에, 힌 과일은 서쪽에
⑤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은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⑥ 두동미서(頭東尾西) :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⑦ 좌포우혜(左脯右醯) : 포(마른고기)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⑧ 외배내복(外背內腹) : 생선류의 등은 바깥으로 배는 안으로
기제사(忌祭祀)의 설(說)
◈ 조율시이(棗栗柿梨)와 조율이시(棗栗梨柿)
① 씨가 하나인 조(대추)는 임금님(대통령)을
② 율(밤)은 세톨(개)로써 삼정승(삼부요인 - 영의정, 우의정, 좌의정)
③ 시(감, 곶감)은 6개로 육조판서(장관 -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
④ 이(배, 사과)는 8개로 8도 관찰사(도지사)의 뜻으로
조율시이가 타당하다고 본다
◈ 향을 피움은 위에 계신 혼(魂)을 모시고자 함이고,
술을 모사에 붓는 것은 땅속의 백(魄)을 모시고자 함.
┏ 혼(魂) : 수천지양(受天之陽)으로 정신적 활동을 작용하는 얼.
┗ 백(魄) : 수지지음(受地天陰)으로 육체적 활동을 주관하는 넋
◈ 제사 음식 장만 시에는 고춧가루, 파, 마늘 등 맵고 냄새가 나는 양념류와
갈치, 멸치와 같은 “치”자가 들어가는 생선도 잘 쓰지 않는다.
◈ 삼탕 ․ 삼적 ․ 삼색나물
① 삼탕(三湯) : 육탕, 어탕, 소탕 +봉(닭)탕, 잡탕 = 오탕(五湯)
② 삼적(三炙) : 육적, 어적, 소적 +봉적, 채소적 = 오적(五炙)
③ 삼색나물 : 콩나물, 무채나물, 고사리 +숙주나물, 푸른나물 = 오색나물
▷소탕 : 고기 종류를 전혀 쓰지 않고, 두부, 무우 등과 맑은 장에
끓여 제사에 쓰는 국
▷소적 : 두부, 북어 등으로 만든 적
※적 : 고기 구울 “적”, 전(煎) : 졸일“전”, 탕(湯) : “국”의 높임 말
≪ 제사의 상차림은 각 지방과 각 가문의 관습에 따라 차이가 있어 일정한 형식에 구애될 필요는 없지만
자손의 정성이 깃 들여 있다면 밥 한 그릇, 국 한 그릇에 술 한 잔으로 차려도 괜찮다고 생각됩니다.≫
지방(紙榜) 쓰는 예(例)
지방이란 조상께서 머물 자리를 표상화한 것을 신위(神位)라하고 신위를
종이(한지)에 쓴 것이 지방(紙榜)이며 폭6㎝, 높이22-24㎝ 정도의 규격으로
제사 때 만들어 사용하고 제사를 지낸 후 소각 함.
顯 高 祖 考 學 生 府 君
神 位 |
顯 高 祖 妣 孺 人 光 山 金 氏
神 位 |
|
顯 曾 祖 考 學 生 府 君
神 位 |
顯 曾 祖 妣 孺 人 義 城 金 氏
神 位 |
|
顯 祖 考 學 生 府 君
神 位 |
顯 祖 妣 孺 人 長 興 任 氏
神 位 |
고조부내외 |
|
증조부내외 |
|
조부모내외 | |||
顯 考 學 生 府 君
神 位 |
顯 妣 孺 人 光 山 金 氏
神 位 |
|
顯 辟 學 生 府 君
神 位 |
|
亡 室 孺 人 慶 州 崔 氏
神 位 | ||
부모내외 |
|
남 편 |
|
아 내 |
◇ 고(考)와 비(妣)
직계 조상인 남자 신위는 왼쪽줄에, 여자 신위는 오른쪽 줄에 씀
◇ 학생부군(學生府君)
고위께서 생전에 아무 벼슬이 없을 때 학생부군으로 표시(처사부군으로
쓰는 집안도 있음)
◇ 유인(孺人)
학생부군의 비위(妣位) 표시에 쓰고 고위(考位)가 직함이 있을 경우는
유인대신 ○○부인(夫人)으로 쓰기도 함.
◇ 고조부모
고조할아버지는 현고조고(顯高祖考)로 쓰고, 고조할머니는 현고조비
(顯高祖妣)에 본관과 성씨를 함께 씀.
◇ 증조부모
증조할아버지는 현증조고(顯曾祖考)로 쓰고, 증조할머니는 현증조비
(顯曾祖妣)에 본관과 성씨를 함께 씀.
◇ 조부모
할아버지는 현조고(顯祖考)로 쓰고, 할머니는 현조비(顯祖妣)에 본관과
성씨를 함께 씀.
◇ 부모
아버지는 현고(顯考)로 쓰고, 어머니는 현비(顯妣)에 본관과 성씨를 함께 씀.
◇ 남편 : 현벽(顯辟)이라 씀.
◇ 아내 : 망실(亡室) 또는 고실(故室)에 본관과 성씨를 함께 씀.
◇ 생전의 직함(관직, 사회적 직위 등) 중요한 한가지 직함만 쓰고
고위께서 직함이 없고 비위만 직함이 있을 경우 비이직함만 씀.
축문(祝文) 쓰는 예(例)
제사에 축문을 읽는 것은 자손이 조상께 정성이 담긴 내용을 고하고
흠향하시라는 뜻이며, 축문은 기제사(忌祭祀)와 묘제(墓祭)때 낭독하며
크기는 16절지(19㎝ - 26㎝) 정도의 한지(韓紙)에 쓴다.
≪합설(合設)일 경유≫
饗 |
|
|
顯 |
顯 |
|
維 |
|
淸 酌 庶 羞
恭 伸 奠 獻
尙
|
諱 日 復 臨
追 遠 感 時
昊 天 罔 極
謹 以
|
妣 孺 人 光 山 金 氏
歲 序 遷 易
顯 考
|
考 學 生 府 君
|
○ ○ 敢 昭 告 于
|
歲 次 丙 戌 九 月 ○ ○ 朔 初 五 日 ○ ○ 孝 子
|
○ 유(維) : “이제”의 뜻이며 윗줄 첫 칸에 씀
○ 제사 지내는 연도의 간지를 씀 : 維歲次丙戌...
○ 구월 : 제사지내는 달.
○ ○○朔 : 제사지내는 달의 초하루 날의 일진을 씀.
○ 初五日 : 제사지내는 날과 그 날의 일진을 씀(1-10일까지는 일자 앞에
초자를 씀)
○ 효자(孝子) : 큰 아들, 효손(孝孫)은 큰 손자,
효증손(孝曾孫)은 큰 증손자, 효현손(孝玄孫)은 큰 고손자
○ ○○ 감소고우(敢昭告于)
제사 받드는 사람의 이름을 쓰며, “삼가 아뢰나이다”의 뜻 임.
(아내, 동생, 아들의 제사에는 이름을 쓰지 않고, 손아래 제사는 감(敢)을 쓰지 않음)
○ 현고(顯考) : 돌아가신 아버님의 높임 말.
○ 학생(學生) : 직함이 있으면 사실대로 쓰고, 직함이 없으면 학생 또는 처사
○ 부군(府君) : 남자 조상의 존칭으로 모든 윗분에 씀
○ 현비(顯妣) : 돌아가신 어머님의 높임 말
○ 유인(孺人) : 직함이 있으면 사실대로 쓰고, 직함이 없으면 남편의 직함에
따라 부인(夫人)으로 쓰며, 남편의 직함이 없으면 유인이라 씀.
○ 광산이씨(光山李氏) : 조상의 본관성씨(本貫姓氏)를 씀.
○ 휘일부림(諱日復臨) : “세상 버리신 날이 다시오니”
(아랫사람이나 아내일 경우 망일부지(亡日復至)라 씀)
○ 추원감시(追遠感時) : “세상이 흐를수록 더욱 생각난다.”
○ 호천망극(昊天亡極) : “부모님의 은혜가 끝없는 하늘과 같다.”
(윗조상에게는 불승영모(不勝永慕), 아내에게는 불승비념(不勝悲念)또는 불승비감(不勝悲感)
○ 근이(謹以) : “삼가”(아내와 아랫사람에게는 자이(茲以)를 씀)
○ 청작서수(淸酌庶羞) : “맑은 술과 갖은 음식”
○ 공신전헌(恭伸奠獻) : “공경을 다하여 드리오니”
(아내와 아랫사람에게는 신차전헌(伸此奠獻)를 씀)
○ 상(尙) : “바라옵건데”
○ 향(饗) : “흠향(歆饗)하다”(반드시 별도의 줄 맨 위에 현(顯)자와 같은 높이로 올려 씀)
묘제축문(墓祭祝文)
饗 |
|
|
顯 |
|
維 | ||
|
淸 酌 庶 羞
祗 薦 歲 事
尙
|
霜 露 旣 降
瞻 掃 封 塋
不 勝 感 慕
謹 以
|
十 五 代 祖 考 領 議 政 府 君
之 墓
氣 序 流 易
|
또는 曾 祖 考 學 生
|
○ ○ 敢 昭 告 于
|
歲 次 丙 戌 九 月 ○ ○ 朔 初 五 日 ○ ○ 十 五 代 孫 |
또는 孝 曾 孫 |
○ 우측 두줄은 기제사 축문 참조
○ 지묘(之墓) : “산소”의 뜻. 재실 등에서 지낼 때는 “지묘”는 쓰지 않음
○ 기서유역(氣序流易) : “계절이 바뀌어”의 뜻
○ 상로기강(霜露旣降) : “이미 서리가 내리다”의 뜻
○ 첨소봉영(瞻掃封塋) : “산소를 우러러 뵈오며”의 뜻
재실 등에서 지낼 때는 첨망봉영(瞻望封塋)
○ 불승감모(不勝感慕) : “조상을 흠모하는 정을 이기지 못함”
○ 지천세사(祗薦歲事) : “어느 해와 마찬가지로 공경을 다하오니”의 뜻
산신제(山神祭) 축문(祝文)
饗 |
|
|
顯 |
|
|
維 |
|
敬 伸 奠 獻
尙
|
惟 時 保 佑
實 賴
神 休
敢 以 酒 饌 |
十 五 代 祖 考 學 生 府 君 之 墓
|
土 地 之 神 ○ ○ ○ 恭 修 歲 事 于
|
幼 學 ○ ○ ○ 敢 昭 告 于
|
歲 次 ○ ○ 九 月 ○ ○ 朔 五 日 ○ ○
|
○ 유학(幼學) ○○○ 산신 제사자 성명
○ ○○○공수세사우(恭修歲事于) : 묘사 주제자 성명을 쓰며, 해마다 올리는
제의를 공경을다해 받든다는 뜻
○ 유시보우(惟時保佑) : “천신께서 보호해 주신다”는 뜻
○ 실뢰신휴(實賴神休) : “신령님의 은혜를 받든다”는 뜻
○ 감이주찬경신전헌(敢以酒饌敬伸奠獻) : “삼가 술과 과일을 차려 공경을
다해 받들다”의 뜻
또는 근이주과지천우신(謹以酒果祗薦于神)이라 쓰기도 함
※ 쌍분 외분 모두다 할아버지 한 줄만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