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라는 벼락을 맞았다
너……라는 말 속에는 슬픔도 따뜻해지는 밥상
이 살고
너……라는 말 속에는 눈곱 낀 그믐달도 살고
너……라는 말 속에는 밤마다 새 떼를 불러 모으는
창호지문도 살고 너……라는 말 속에는 물구나무
선 채 창밖을 몰래 기웃거리는 나팔꽃도 살고
너……라는 말 속에는 스스로 등 떠밀어 희미해지
는 바람도 살고 너……라는 말 속에는 진즉이 버렸
어야 아름다웠을 추억도 살고 너……라는 말 속에
는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약속 그래서 더욱 외로운
촛불도 살고 너……라는 말 속에는 죽음도 두렵지
않은 불멸의 그리움이 살고 너……라는 말 속에는
평생 돌이킬 수 없는 슬픔을 안고 괴로워하는 상처
도 살고
너……라는 벼락을 맞은 뼈만 남은 그림자도 살고
- 고영
밤은 깊어 시간은 새로 두 시를 훌쩍 넘어버렸다.
아무리 뒤적거려도 손에 잡히지 않는 시들을 찾아 헤맨다.
찾아 헤매는 것보다는 차라리 시를 써야 옳지 않은지,
창밖을 내다본다, 흰 눈이 또 아침을 더디게 열지는 않을지, 그 폭설에 걸음은 늦춰지지 않을지.
내리지도 않는 눈을 상상하며 내일의 고단함을 먼저 끌어당겨본다.
폭설이라든가 서설이라든가, 혹은 눈 속의 당나귀 울음소리 들릴 것 같은 시를 찾았으나 빈 손이었다.
아무것도 나와는 연관이 없는 듯 하였으니 길은 또 멈춰서버렸다.
페어 러브, 혼자 사는 오십대의 남자가 처음 사랑을 하는 이야기였다.
아니 오십대의 남자를 사랑하는 이십대의 여자에게도 아마 처음이었던 사랑이었겠지.
영화사에서 일하는 후배가 모처럼 시사회 초대를 한다고 게시판을 채웠다.
일이 끝나고 도심 한복판으로 달려 나가 오래된 극장 안으로 또 들어섰다.
영화가 시작되기 전에 감독과 배우 안성기씨의 무대 인사가 있었다.
처음 보는 감독이었는데 그의 얼굴을 보니 영화가 어떤 빛깔일지 알 수 있었다.
안성기씨의 모습은 스크린 속 보다 조금 더 단아해 보이는 모습이었다.
그들의 길지 않은 인사가 끝나고 어두운 스크린 위로 필름이 투사되었다.
저예산으로 영화를 만들겠다 마음 먹고 준비했는데 투자자가 없어서 삼년이라는 세월을 기다렸다는 영화,
필름이 스크린에 투사되었어도 여전히 어둡고 무거운 화면이 영화가 끝날 때까지 이어진다.
낯익지 않은 배우들, 우리 곁에서 흔하디흔하게 보는 배우들의 모습이 리얼했다.
작은 가게 안을 차지하고 앉은 두 명의 직원과 늙은 노총각인 사장이 전부인 사무실은 점방 같았다.
툭하면 쳐들어와서 같이 밥을 먹거나 술판을 벌이는 후배인지 손님인지 알 수 없는 인물까지 친근하다.
그 점방에 모처럼 등장한 젊은 아가씨에게 촉각을 내세우는 사람들의 모습 그대로 이웃이었다.
어눌한 듯한 대사가 툭툭 던져질 때마다 웃음을 뱉어 내게 하는 영화였다.
그래, 사랑이 그런 것이지, 처음에는 설핏 온갖 사람들의 눈길을 두려워하다가도 불붙기만 하면
눈에 보이는 것은 서로의 존재밖에는 없게 되는 것은 아무리 나이가 많아서 시작한 사랑이어도 같은 거겠지.
날은 여전히 추웠고 특히나 오래된 그 극장 안은 불기 하나 없어 점점 싸늘해졌었기도 했고,
퇴근하기 전에 참을 수 없는 콧물과 기침 때문에 먹은 감기약으로 영화의 갈등의 절정에서 설핏 잠이 들었다.
깨고 나니 오십대의 노총각과 여자이기도 하고 여자가 아직 아닌 것 같은 이십대의 사랑은 갈등의 끝이었다.
온갖 닭살 행각을 벌이던 그들은 갈등을 극복하지 못하고 헤어졌고 남자는 여자의 아버지처럼 병원에 누웠다.
처음 마음을 이어가던 때의 장면과 오버랩 되면서 이십대의 여자는 계속 반복해서 대사를 되뇐다.
우리 다시 시작해요. 우리 다시 시작해요. 우리 다시 시작해요.
그 둘은 다시 만날 수 있을까? 아마도 다시 만나겠지. 이것은 우리의 바람이고,
그 둘은 어쩔 수 없는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영영 헤어질지도 모르겠지.
아무런 결론을 내려주지 않고 영화는 끝이 나고 있었다.
딱, 영화감독의 첫인상과 그의 분위기와 너무나 꼬옥 맞은 결말이었다.
영화를 보고 집으로 돌아가는데 문자로 늦은 새해인사를 하는 재학생 후배 녀석이 딱 공감이 가는 영화라고……
그래, 너무 늦어서 늘 하는 뒷풀이도 하지 못하고 그냥 보내서 아쉬웠는데 언제고 다시 영화이야기를 해봐야겠다.
영화를 보면서 즐거웠던 것은 배우 안성기씨의 모습이었다.
라디오스타였던가, 거기서부터 그는 영화 속에서 더 이상 배우가 아니었던 것 같았다.
그냥 그의 살아온 시간들이 조근조근 녹아 들어있는 것 같았던 편안하고 튀지 않는 연기가 마음에 들었다.
이번 영화에서도 그는 그런 모습을 가감없이 보여준다. 어설픈 것에는 어설프면서도 자신을 보여줄 수 있는 배우,
우리는 살면서 얼마나 나를 다른 이에게 보여주고 살 수 있을지, 그를 보면 그것이 너무나 자연스럽다.
라디오스타에서 보여주는 모습이 가장 자신의 아버지 모습과 같다고 안성기씨 아들이 그랬다고 했던가.
아무튼 영화를 보기 전에 무대 인사위의 배우 안성기씨나 스크린 속의 안성기씨나 다르지 않는 것 같다고 생각했다.
어느 곳에서 서 있더라도, 어느 자리에 있더라도 있는 그대로의 자신의 모습을 보이고 사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참 소박하고 멋진 배우라는 생각이 들었다. 배우 안성기. 얼마나 이름에 걸맞는 모습이었던지.
꾸미는 것 없이 우리 사는 모습 그대로 잔잔하게 그려준, 첫사랑에 대한 이야기가 아름다운 영화였다.
그들의 사랑이 첫사랑에서 끝나고 다른 첫사랑을 찾을지 그대로 서로에게 돌아갈지는 각자의 해석에 따르겠지만,
소박하면서 아름다운 영화여서 보고 난 후에도 자꾸 생각이 나는 기분 좋은 관람이었다.
어느 만큼의 세월을 살았던, 어느 만큼의 자리를 차지하고 살고 있던, 축적한 부든 명예든 다 가지고 있어도
사람 그 자체로의 모습을 함께 사는 사람들에게 보이고 살 수 있는 여유가 있으면 행복하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가질수록 덧옷을 입지 않아도 춥지 않고 많이 누렸을수록 바람처럼 가벼워 질 수만 있다면
이 세상 사는 일이 그렇게 조급하지도 않을 테고 서두르는 일도 없이 여유롭고 자유로울텐데.
그 즈음, 그 지점은 어디 즈음일까요. 각자 선택하는 자리 그 자리가 바로 그렇게 자유로울 수 있어야하겠죠.
너……라는 말 속에는 죽음도 두렵지 않은 불멸의 그리움이 살 수 있도록,
너……라는 벼락을 맞은 뼈만 남은 그림자도 살 수 있도록.
2010. 1. 13. 수. 03:27 이명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