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문산 사나사(龍門山舍那寺) / 전통사찰
-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奉恩本末志」에 923년 대경(大鏡)이 제자 융천(融闡) 등과 함께 창건하여 삼층석탑을 조성하였다고 하나 확실하지 않다.
1367년(공민왕 16)에 보우(普愚)가 중창, 정유재란 때 모두 타버리고, 1698년(숙종 24)에 덕조(德照)가 작은 법당을 재건하였다.
1907년, 의병과 관군의 싸움으로 모두 탔으나, 1909년에 계헌(戒憲)이 대방 15칸을 신축하였다.
1937년에 주지 맹현우(孟玄愚)가 법당인 광명전(光明殿) 15칸과 조사전(祖師殿) 5칸을 신축하였다.
(인터넷 찾아보기, 백과 사전 인용)
1907년 의병 활동 본거지가 용문산 사나사, 상원사, 용문사 등이었다. 그때 왜군이 절들을 태웠다.
경기도 지역은 낯선 곳이다. 3월 6일(월) 아들과 점심을 먹고 월계동에서 출발하였다.
산세가 멋있다. 용문산 장군봉인 모양이다. 장군봉 아래에 상원사가 있겠지?
일주문, 용문사사나사
누각이나 사천왕문은 없다. 곧장 요사를 만난다.
범종각
양평 용천리 삼층석탑 / 경기도 문화재자료
고려시대 탑이며 정확히 어느 장소에 세워졌는지 알 수는 없다.
사나사 원증국사탑(舍那寺 圓證國師塔)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2호
고려 말 태고 보우(太古普愚, 1301~1382)의 사리탑. 제자 달심(達心)이 만들었다.
석종형은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에 유행한 부도이며, 이 탑 주인은 옆에 있는 비를 통하여 짐작할 수 있다.
* 절 안내문엔 太가 아니고 大로 잘못 적었다.
사나사 원증국사 석종비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3호
정도전이 비문을 짓고, 우왕 12년(1386)에 비를 세웠다. 비석에 난 구멍은 6.25 때 맞은 총탄 흔적이다.
앞면
뒷면
대적광전
본전불은 비로자나불이다. 협시로 보현보살과 문수보살(사진 우측)이다.
전법초조태고선사傳法初祖太古禪師
극락전
함씨각, 무슨 뜻이 있는지 모르겠다.
삼성각
삼성각 안에도 태고화상의 진영이 있다.
조사전
조사전 문은 열리지 않았다. 안에 어느 조사를 모셨는지 알 수 없다.
사나사 불량비佛糧碑
이 지역 당상관 이상을 한 사람들이 약간 논을 내어 사나사에 준 기록이다.
<태고 보우>
첫 법명은 보허(普虛), 호는 태고(太古), 법명은 보우(普愚). 조계종인 임제종 초조.
13세에 출가하여 회암사(檜巖寺) 광지(廣智)의 제자가 되었고, 가지산(迦智山, 장흥 보림사?)에서 수행하였다.
19세부터 만법귀일(萬法歸一) 화두를 참구하였고, 26세에 화엄선(華嚴選)에 합격한 뒤, 선(禪) 수행에 몰두하였다.
1330년(충숙왕 17) 용문산 상원암(上院庵, 현재 상원사)에서 관음기도.
1,700칙(則) 공안을 점검, 1339년 소요산 백운암(白雲庵)에서 「백운가」를 지었다.
1341년(충혜왕 복위 2) 중흥사(重興寺, 전남 광양?)에서 후학을 지도, 중흥사 동쪽에 태고암(太古庵)을 창건.
시호는 원증(圓證)이다. 중흥사 동쪽 봉우리에 탑을 세워 탑호를 보월승공(寶月昇空).
사리는 양산사(?), 사나사(舍那寺), 청송사(靑松寺, 울주군?), 태고암에 분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