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어머니의 표상
양사언(楊士彦)의 어머니 -1
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아마도 이 시조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권학시(勸學詩)로 유명하며, 그 작자인 양사언과 함께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양사언[楊士彦; 1517년(중종 12)∼1584년(선조 17)]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따르면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응빙(應聘), 호는 봉래(蓬萊)·완구(完邱)·창해(滄海)·해객(海客)이다. 주부인 양희수(楊希洙)의 아들이다. 형 양사준(楊士俊), 아우 양사기(楊士奇)와 함께 글에 뛰어나 중국의 삼소(三蘇: 소식·소순·소철)에 견주어졌다. 아들 양만고(楊萬古)도 문장과 서예로 이름이 전한다.
1546년(명종 1) 문과에 급제하여 대동승(大同丞)을 거쳐 삼등(三登: 평안남도 강동 지역)·함흥(咸興)·평창(平昌)·강릉(江陵)·회양(淮陽)·안변(安邊)·철원(鐵原) 등 8고을의 수령을 지냈다.
자연을 즐겨 회양의 군수로 있을 때는 금강산에 자주 가서 경치를 감상했다. 만폭동(萬瀑洞)의 바위에 ‘蓬萊楓岳元化洞天(봉래풍악원화동천)’이라 글씨를 새겼는데 지금도 남아 있다.
안변의 군수로 있을 때는 백성을 잘 보살펴 통정대부(通政大夫)의 품계(品階)를 받았고, 북쪽의 병란(兵亂)을 미리 예측하고 말과 식량을 많이 비축해 위급함에 대처하기도 했다. 그러나 지릉(智陵: 이성계 증조부의 묘)에 화재가 일어나자 책임을 져 해서(海西: 황해도의 다른 이름)로 귀양을 갔다. 2년 뒤 풀려나 돌아오는 길에 죽었다.
40년간이나 관직에 있으면서도 전혀 부정이 없었고 유족에게 재산을 남기지 않았다.
한편, 남사고(南師古)에게서 역술(易術)을 배워 임진왜란을 정확히 예언했다는 일화가 전한다.
한시는 작위적이지 않고 표현이 자연스러워, 더 이상 고칠 데가 없이 뛰어나다는 평을 들었다. 가사(歌辭)로는 「미인별곡(美人別曲)」과 을묘왜란(乙卯倭亂) 때 군(軍)을 따라 전쟁에 나갔다가 지은 「남정가(南征歌)」가 전한다. 이밖에 시조 “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 없건마는 /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는 지금도 널리 애송되고 있다. 「미인별곡」은 현재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해서(楷書)와 초서(草書)에 뛰어났으며 안평대군(安平大君)·김구(金絿)·한호(韓濠)와 함께 조선 4대 서예가로 일컬어진다. 특히 큰 글자를 잘 썼다고 전한다. 문집으로 『봉래집(蓬萊集)』이 있다.
부친 양희수(楊希洙)가 영광군수로 부임하는 그 기세가 대단하였다. 풍류를 좋아하고 겸해서 술잔을 마다하지 않는 사또의 성품으로 보아 머지않아 또다시 그럴싸한 이야깃거리가 생겨날 것이므로 사또를 호위하는 관속들은 신바람이 절로 났다.
마침 계절은 청명, 한식도 지나고 3월 중순.
사또의 행차를 맞는 시골 길가에는 듬성듬성 꽃들이 피어 있고, 산과 들에는 파릇파릇 푸른 싹이 돋아나는 호시절.
한양성을 벗어나 동작강을 건너고 남태령 고개를 넘어서는 양 사또의 마음에도 어느새 푸른 꿈이 돋아나고 있는 터라 행차는 마냥 즐겁기만 했다.
"쉬이~, 사또 행차이시다. 길 비켜라~"
관졸들이 길가에 있는 개미새끼까지 쫒을 기세로 사또 행차 길을 트여가자 양희수 사또는 문득 초라한 주막집을 발견하고는,
"여봐라, 발을 멈추고 주막에 들여라~"
냅다 소리치는 것이었다.
주막이 나설 때마다 그 곳 술맛을 즐기고 아름다운 절경이 눈에 뜨일 때마다 가마를 멈추고 시 한 수를 읊어대는 사또의 늑장으로 머나먼 영광 행은 아득하기만 했다.
하루 종일을 그렇게 술과 풍류로 떠나자니까 이튿날 새벽이면 심한 갈증으로 선잠을 깨게 마련이었다.
"물.....술국을 달라."
사또는 헛소리처럼 관졸들에게 외쳐댔으나 관졸들은 이미 깊은 잠에서 깨어날 줄을 모르고 코를 드르렁거릴 뿐이었다.
영광 땅이 지척인 어느 주막집에서 묵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술국.....물......"
그러나 사또의 소원은 이뤄지지 않은 채 행차는 떠났다.
아침을 거른 채 가마 위에 올라탄 양민 사또는 배가 몹시 고팠다.
하나 웬일이지 길가에는 요기를 하고 떠날 만한 주막도 없었다.
참다못한 양희수 사또, 주위를 돌아보면서 호령이다.
"누가 저 민가에 들어가 밥 한술 마련해 올 자 없느냐?"
체면이고 뭐고 없었다.
"밥이라 굽쇼, 사또?"
"오냐, 술이 아니고 밥이니라."
"알아 모시겠나이다, 사또."
관속은 민가로 달려갔다.
그러나 마을은 텅텅 비어 있었다. 농사철이라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모두 들로 나간 것이었다.
이리 뛰고 저리 뛰었지만 좀처럼 사람을 만날 수가 없었다. 이거 이러다간 큰일이었다.
"누구 아무도 없느냐?"
골목에 서서 냅다 소리 지르자 어느 집 사립문이 열리면서 마침 집을 지키던 열서너 살짜리 계집아이가 뛰어나왔다.
"옳지, 너 같은면 밥이야 짓겠지, 얘 여기서 밥 한 그릇 지을 수 없겠냐?"
관속이 말하자 계집아이는,
"밥이라뇨, 누가 잡숫고 갈 밥인데요?"
"다름이 아니라, 신관 사또 행차가 지금 이리루 지나가시는데 간밤에 약주 잔이 높으셔서 아침진지를 걸르셨지 뭐냐."
"그런데요."
"해서 주막도 없고 민가에서라도 아침을 시켜 먹으려고 이렇게 들어왔는데 사람이 없구나."
"바쁜 농사철이라 모두 들에 나갔어요. 그런 사정이사라면 소녀가 사또 진지를 지어 올리겠습니다."
"네가 말이냐?"
"왜요. 진지에 돌이라도 들어갈까 봐서 염려되시옵니까? 그런 염려라면 하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허 맹랑한 것. 좋다, 만일 진지에 돌이 들어가는 날엔 이내 볼기짝이 남아 나지 않을 터이니 알아서 지으렷다."
"암은요, 만일 실수가 있다면 소녀가 대신 볼기를 맞을 터이니 마음 푹 놓으세요."
"그럼......."
"네, 곧 시작하겠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부탁이 있는데 들어주시겠습니까?"
13세의 소녀는 관속에게,
"사또께서 노상에서 진지를 드심은 고을 백성의 수치가 아닌가 합니다. 누추하나마 저의 집에 듭시어 잡수심이 어떠할지요?"
관속은 그 소리에 내심 무릎을 쳤다.
'어허....나이도 어린 것이 고런 소견이 들 줄이야.'
"암 그래야지. 그 참 어린 것이...."
관속은 연방 혀를 내두르며 양희수 사또가 가마를 내리고 쉬는 곳으로 달려갔다.
"어찌 되었느냐?"
양희수 사또는 달려온 관속이 채 입을 열기도 전에 먼저 묻는다.
"예..... 아침 진지를 시켜 놓고 왔사옵니다. 어서 민가로 듭시오, 사또....."
"민가로?"
"예--."
"그 달갑지 않은 걸음이로구나. 신관 사또가 민폐를 끼치더란 소문이 나면 거동이 자유롭지 못하거든."
사또는 그런 게 질색이었다.
"하오나 사또, 저쪽 계집아이가 말하기를, 사또께서 노상에서 진지를 드시게 할 수 없다며 자기 집으로 오랍십니다."
"호오--."
일말의 호기심이 일면서 양민 사또는 소녀의 집으로 향했다.
그다지 넓지 않은 오륙 칸 초가.
비록 초가이기는 해도 소녀의 집은 비질이 잘 되어 있어 보기에도 깨끗했다.
소녀는 신관 사또와 그 수행원들을 따로따로 들게 하고 별로 서두르는 법 없이 밥을 짓기 시작했다.
먼저 소녀는 이남박을 들고 토방으로 들어가서 쌀을 꺼낸 다음 우물가로 향했다.
안방에서는 신관 사또가, 그리고 책방으로부터 육방 관속들은 나머지 방에서 모두 자기 한 몸을 주시하는 줄도 모르고 소녀는 찬찬히 쌀을 일었다. 소녀는 그것을 부엌으로 가지고 가 솥에 넣고는 불을 때었다.
이러한 순서가 여느 아낙네들이 하는 그것과 다를 것이 없건만 그녀는 불을 때는 데 봉당이나 방으로 재티 하나 날지 않게 조심조심 때고 있었다.
밥이 다 된 뒤에도 먼저 신관 사또의 상부터 차려 올리고 담음에는 관속들의 상을 차리는데, 무엇 하나 서두름이 없고 실수가 없이 차근차근히 차려 올리는 것이었다.
이 모양을 끝까지 지켜보면서 시장 끼를 채운 신관 사또 양희수는 슬그머니 그 소녀를 불러 올려 말을 시켜 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먼발치에서 보아도 영리하고 숙성한 소녀인 듯했고 상 심부름, 물 심부름, 하는 맵시가 또한 귀히 살 만했기 때문이었다.
"허어--. 네 나이, 올해 몇이냐?"
사또는 조금도 시골스러워 보이지 않는 소녀에게 실눈을 뜨고 넌지시 물어본다.
"예, 올해 열세 살이옵니다."
나직하고 다소곳이 대답하는 품이 여간 귀엽지가 않다.
"그래, 네 아비는 누구이며 어미는 어디 갔기에 보이지 않느냐?"
"예, 아비는 본관에 매인 몸이라 일찍 출타하였고, 제 어미는 들일을 하러 나갔나이다."
열세 살짜리 소녀의 말이라기보다 나이를 먹을 대로 먹은 아낙의 말처럼 정연한 솜씨에 사또는 놀랐다.
신임 영광 사또는 소매 속에서 청선(靑扇)·홍선(紅扇)의 두 자루 부채를 꺼내 들었다. 소녀에게 무엇인가 고마움을 표해야겠다고 느낀 것이다.
"이 두 부채는 내가 너에게 주는 것이니 받아라."
사또가 내민 두 자루 부채를 받아야 좋을지, 받지 않아야 좋을지 잘 몰라서 망설이는 소녀에게 농을 걸어 보고 싶어진 것이다.
"자 어서 받으렴. 이는 내게 너에게 채단(采緞) 대신으로 주는 것이니....."
"..."
소녀는 놀랐다.
'사또께서 내게 채단을 내리시다니.'
소녀는 급히 윗방으로 건너가 장속을 뒤져 홍보(紅褓)를 꺼내 든다.
'옳지, 이것을 깔고 채단을 받아야지.'
채단이라면 혼인 때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미리 보내는 청색, 홍색 등의 치마 저고릿감이 아닌가. 치마 저고릿감 대신 사또는 지금 청색과 홍색의 부채 두 자루를 내리시겠다니 빈손으로 받을 수야 없는 노릇이었다.
홍보를 깔아 놓고 소녀는,
"사또 여기다 채단을 내려놓으소서." 했다.
"아니, 이 홍보는 무엇인고?"
"채단이란 예폐로, 예는 폐백에 바치는 것이 제일 중한 일인 줄 압니다. 어찌 이 귀한 채단을 맨손으로 받을 수 있겠습니까?"
"딴엔 그렇구나."
소녀의 말에 사또는 물론이고 그 장면을 기웃거리던 관속들이 일제히 놀라는 기색이었다.
홍보 위에 두 자루의 부채가 놓여졌다.
소녀는 그 홍보를 소중하게 싸 들고 방으로 들어갔다.
곧이어 영광 사또는 행차를 재촉하여 부임지로 떠났다.
첫댓글 즐감
아무리 弄談으로 采緞 대신으로 준다하니
열세 살의 소녀가 紅褓를 깔아놓고 채단으로
靑扇과 紅扇의 부채를 받았으니
앞으로 전개되는 상황이 흥미로울 것이라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허허 고운 소녀가.. 늙은이와 결혼하게 생겼네.. 첩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