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진치 삼독
탐진치 삼독이란 탐욕(貪欲)·진에(瞋恚)·우치(愚癡)의 세 가지 번뇌를 말하는데, 이 세 번뇌가 중생의 선한 마음을 심하게 해하는 근원적인 번뇌이므로 ‘삼독’이라 합니다.
니치렌 대성인이 『관심본존초(觀心本尊抄)』에서 「노함은 지옥, 탐함은 아귀, 어리석음은 축생」(신편어서 p.674)라 말씀하셨듯이 탐진치 삼독은 지옥·아귀·축생 삼악도(三惡道)의 경계를 나타냅니다.
다시 말해 탐욕(貪慾)은 자신이 원하는 것에 집착하여 탐하는 마음, 아귀(餓鬼)의 생명을 말합니다. 진에(瞋恚)는 자신의 마음과 어긋나는 것에 노하는 마음을 말하는데, 분노는 타인에게 괴로움을 주므로 그것이 업인(業因)이 되어 내세에는 자신이 지옥의 과보를 받게 됩니다. 우치(愚癡)는 도리에 미혹하는 어리석은 마음, 본능적으로 움직이는 축생의 생명을 말합니다.
1. 병이나 불행의 근본 원인은 탐진치 삼독
제67세 닛켄(日顯) 상인 예하는 「불법에서는 ‘몸은 마음을 따른다’라고 가르치고 있는데, 신체는 마음의 선악에 따라 온갖 변화가 생기게 되고 거기에서 갖가지 병과 불행이 나타나니 그 병의 근원은 과거·현재·미래 삼세에 걸친 마음의 인연·과보에 있습니다.」(대백법 809호)라 어지남 하시고 있습니다. 즉 일체중생의 갖가지 병과 불행은 모두 마음의 선악에 의해 나타나는 것입니다.
2. 사종교(邪宗敎)로 인해 삼독은 강성해진다
『소야님답서(曾谷殿御返事)』에 「사법(邪法)을 사랑하고 정법을 미워하니 삼독이 강성한(중략) 기갈(飢渴)은 대탐에서 일어나고 역병은 우치에서 일어나고 접전(接戰)은 진에에서 일어나니라. 지금 일본국 사람들 사십구억 구만 사천팔백이십팔 인의 남녀, 사람마다 다르지만 다 같이 하나의 삼독이니라.」(신편어서 pp.1385~1386)라는 말씀처럼 삼독은 사종교로 인해 악순환하여 증대되어 갑니다.
결국 정법을 위배하고 사종교를 신앙함으로 인해 삼독은 단순히 개인의 불행, 미혹의 근원이 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분노는 기갈(飢渴), 진에는 전쟁, 우치는 역병을 일으켜 일본국 나아가 전 세계 사람과 국토의 불행의 근원, 악의 근원이 되는 것입니다.
3. 탐진치 삼독을 삼덕(三德)으로 바꾸는 방도
그렇다면 이 탐진치 삼독은 어떤 법(法)으로 퇴치할 수 있을까요?
『감겁어서(減劫御書)』에 「말대 탁세의 마음의 탐욕·진에·우치의 교묘함은 어떠한 현인·성인도 다스리기 어려운 일이로다. 그 까닭은 탐욕을 부처는 부정관(不淨觀)의 약(藥)으로써 고치고 진에는 자비관(慈悲觀)으로써 고치고 우치는 십이인연관(十二因緣觀)으로써 고치셨는데」(신편어서 pp.924~925)라 있듯이 석존은 탐욕은 부정(不淨)을 관(觀)하는 것으로 억제하고, 진에는 자비로써 멸하며 우치는 십이인연관으로 고치는 수행법을 상근(上根) 상기(上機)의 중생에게 설하시고 있습니다.
그러나 같은 어서에서 「지금은 이 법문을 설하여서 사람을 모함하여 탐욕·진에·우치를 더하느니라. 비유하건대 불을 물로써 끄고 악을 선으로써 타파함이라. 그러한데 반대로 물에서 나온 불은 물을 끼얹으면 기름이 되어서 더욱더 대화(大火)로 되는 것이니라.」(신편어서 p.925)라 나타내시고 있는 것처럼, 말법 본미유선(本未有善)의 거친 범부는 석존의 탈익(脫益) 불법을 신앙하더라도 탐진치 삼독이 소멸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삼독이 강해지니 전혀 의미가 없습니다.
어법주 니치뇨(日如) 상인 예하는 「이 탐진치 삼독을 삼덕으로 전환해 가는 데는 단 하나 대성인의 불법 이외에는 없습니다. ‘번뇌즉보리’라 말을 합니다만 실로 그것과 같은 것이 됩니다.」(대백법 687호)라 어지남 하시고 있습니다.
말법 중생이 탐진치 삼독을 퇴치하기 위해서는 대성인의 문저하종의 묘법을 수지 신행하는 곳에 탐진치 삼독이 삼덕으로 바뀌어 즉신 성불의 본회(本懷)를 이룰 수 있는 것입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고맙읍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탐 진 치 삼독을
삼덕으로바꾸도록
노력,발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