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언 테리어 (Cairn Terrier)
► 이 명 : 케언 테리어(Cairn Terrier)
► 외 관 : 케언 테리어(Cairn Terrier)의 크기는 체고 23~30㎝, 체중 6~7kg 정도되는 소형견이다. 몸통의 길이는 36∼38cm로 키보다 길다. 여우 사냥개 중에서 가장 작고 이 지방에서 가장 오래된 테리어종이다. 움직임은 매우 원활하고, 강하면서도 육중하게 생기지 않았고, 앞다리는 앞으로 잘 뻗쳤으며, 갈빗대는 깊고, 강한 뒷부분과 비율이 잘 잡힌 체형을 지녔으며, 등은 중간 길이이다. 머리는 다른 테리어보다 더 짧고 넓으며, 보통의 여우처럼 보이는 털로 잘 장식되어 있다. 긴 털은 빳빳한 강모(剛毛)로 머리에 있는 것은 특히 길다. 잔털은 짧고 부드러우며 조밀하다. 털빛은 여러 가지이나 흰색 털을 가진 종은 없다. 귀, 주둥이, 꼬리 끝은 빛깔이 짙다. 귀는 작고 끝이 뾰족하다. 주둥이는 튼튼하나 두껍지 않다. 앞발은 뒷발보다 크다. 꼬리는 짧고 곧게 서 있다.
► 설 명 : 케언 테리어(Cairn Terrier)는 영리하고 명랑하며 사람을 잘 따른다. 용감하고 담력이 있으며 활동적이고 동작이 민첩하다. 훈련은 다른 테리어들에 비하여 어렵지 않으나, 테리어 특유의 기질은 없어지지 않는다. 사냥개답게 땅파기를 하거나 물건을 물어뜯는 등의 버릇이 있다. 반면에 물건 물어오기나, 동네 한 바퀴 산책을 하면서 놀기를 좋아하고, 주인과 함께 장난치는 것도 좋아하는 등 외로운 노년층에서 활동적인 반려동물을 원하는 경우에 아주 적합하다. 침도 적게 흘리면서 코도 잘 골지 않지만, 다만 짖음만 잘 훈련시킨다면 큰 문제는 없다. 힘과 생명력이 넘치며 원래 독립적이며 매우 호기심이 강하고 강한 훈련을 필요로 한다. 테리어적인 특성 때문에 땅을 파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특징으로 화분이나 굴 등을 마구 파놓기도 한다. 짧은 입과 바짝 선 두 귀는 예민한 인상을 주며, 적당히 짧은 꼬리는 경쾌하게 흔들린다. 전체적으로 귀여우면서도 소박한 미를 가지고 있다. 도그 쇼를 위해서는 약간의 손질을 필요로 하는데, 이것은 케언의 덥수룩한 털이 지저분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한배에 낳는 새끼 수는 3~5마리 정도이며, 평균 수명은 10~14년 정도이다.
► 주 의 : 작지만 사냥개 출신답게 강건하며,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도 없다. 피부질환과 안과 관련 질병들 중 특히 녹내장에 취약한 편이라고 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다른 소형 테리어 견종들이 잘 걸리는 슬개골 탈구에도 유의하여야 한다.
영리해서 훈련은 다른 테리어들에 비하여 어렵지 않으나 테리어 특유의 기질은 없어지지 않는다. 사냥개답게 땅파기를 하거나 물건을 물어뜯는 등의 버릇이 있고, 주변에 있는 사람을 향해 무조건 크게 짖는 습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어릴 때부터 철저한 교육이 필요하다.
식탐은 비교적 적은 편이고 소식을 하기 때문에 비만견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운동과 산책 중에도 공격성을 나타나기 때문에 다른 개들과 싸울 수도 있으며, 작은 반려동물이나 닭 등을 공격할 수 있으므로 산책을 시키거나 외출을 할 경우에는 반드시 목줄을 채우는 것이 좋다. 활동량이 많으므로 하루에 최소한 40분 이상은 산책과 운동을 병행하여 시키는 것이 좋다. 방해를 받지 않는 경우라면 잠시 목줄을 풀어서 신나게 달리게 해 준다면 아주 좋아한다.
털 빠짐은 적은 편이지만 덥수룩한 털이 지저분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미용을 해 주는 것이 좋으며, 수시로 빗질도 해 주어야 한다. 목욕은 자주 시키지 않는 것이 좋으며, 실내에서 기를 경우에도 2주에 한번 정도면 충분하다. 환경 적응 능력이 뛰어나서 더위와 추위에도 잘 견딘다. 땅파기를 아주 좋아하므로 주택 등에서 기를 때에는 그러한 공간을 만들어 준다면 스트레스를 거의 받지 않고 생활을 한다.
► 기 원 : 케언 테리어(Cairn Terrier)는 영국이 원산국이며, 영국의 스코틀랜드 서부와 북쪽의 허브라이드 섬의 하나인 스키라는 섬을 원산지로 한다. 스코틀랜드(Scotland) 스카이섬 원산의 다리가 짧은 테리어개로, 영국에 서식하는 테리어들 중에서 가장 인기가 있었다. 스코틀랜드의 메리 스튜어트 여왕(Mary Stuart, 1542∼1587) 시대부터 이 지방에서 암굴에 숨어 있는 여우를 찾는 여우 사냥개였다. 1912년 영국애견협회(UKC, United Kingdom Kennel Club), 1913년 미국애견협회(AKC, American Kennel Club)의 공인을 받았다.
이 견종의 명칭과 존재는 국경이나 무덤을 표시하기 위해 세워둔 바위더미의 그것과 연관이 있다. 이 바위더미는 케언(Cairn)이라 불리었는데, 이 곳은 여우나 다른 해를 끼치는 해충들의 피난처 같은 역할을 하였다. 작지만 기민한 테리어 종이 이 케언에 들어가 해충들을 제거해야만 했다.
스코틀랜드 영주는 사냥과 위에 언급된 목적을 위해 한 무리의 테리어 종을 기르고 있었다. 이 견종의 역사는 스카이, 웨스트 하이랜드 화이트, 스코티시 테리어의 역사와 명맥을 같이 한다. 이러한 역사는 약 500년의 세월을 거슬러 올라가며, 여러 지방의 다양한 형태로 4종의 두드러지는 품종들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으로부터 유래된다. 또한 케언(Cairn), 스카이(Skye), 웨스티(Westy), 스코티시(Scottish) 종 등은 1909년 케언 종이 처음 전시되었을 때, 털이 짧은 스카이 층으로 분류되어 있었다. 이러한 일들은 스카이 애호가들로부터 비판을 사게 되었고, 그 결과 현재의 케언(Cairn)이라는 이름이 생겨나게 되었다.
케언(Cairn) 종은 1500년대 이래로 깨끗하고 유쾌하며, 기민한 애완견으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특성으로 영국에서는 테리어 종 중에서 이 종이 가장 선호되며, 영국 케언 테리어 협회로부터 세계 최고의 개로 칭송되는 명예를 누리기도 하였다. 1913년 미국에 유입되었으나, 미국에서는 영국에서의 명성 정도의 평판이 아닌 평균적 평가를 받았다.
► 비 고 : 케언 테리어는 1987년 6월 24일자로 FCI(세계 애견연맹) 분류 그룹 3 테리어 그리고 섹션 2 소형 테리어 스탠다드 No. 4로 등록이 되었다. 1912년 영국애견협회(EKC), 1913년 미국애견협회(AKC)의 공인을 받았다. 이 외에도 케언 테리어는 세계 유수의 켄넬 클럽 및 각종 애견 단체에 대부분 등록이 되어 있다.
► 참 고 : 테리어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견종이며, 죤 레스리의 “1436년에서 1561년에 이르는 스코늘랜드의 역사”중에서 “땅을 파고 서식하는 여우, 오소리, 수달, 산 고양이 등을 퇴치하는 개”는 이 견종을 가리키고 있다고 하여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믿고 있다. 제임스 1세 ( 1566 ~1625년)는 이 견종을 국가의 자랑으로 삼아 “이 땅의 개” 테리어를 프랑스 왕실에 선물하였을 때, 2척 이상의 배에 나누어 태우라고 했을 정도이다. 당시 이 견종은 단순히 테리어라고 불리어 졌으며, 특별한 견종명이 없었다. 독 쇼가 시작하고 견적부가 정리되게 되어 여러 가지의 견종명을 생각 하였으나 스코틀랜드를 대표하는 적당한 지명이 다른 견종에게 먼저 사용되었기 때문에 할 수 없이 케른(적석)이라 명명하였다. 바위틈이나 돌밭의 굴속에 들어가 작은 짐승들을 내쫓았기 때문이다. 오래된 테리어이면서도 지명을 쓰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케언 테리어의 크기는 체고 28~31㎝, 체중 6~8kg 정도되는 소형견으로 암수의 크기 차이는 많이 나지 않는다. 크기는 잭 러셀 테리어와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특수 목적용 전문 사냥개 그룹으로 분류가 되는 테리어 그룹에 속하며, 여우 전문 사냥개이지만 활발하고 대담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토끼나 쥐 등 작은 동물의 사냥에도 아주 능하다. 폭이 넓은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몸통은 튼튼하며 다부지다. 가슴은 두터우며, 등은 수평이다. 외모는 편안하고 성실해 보이면서 민첩하며, 경계심이 강한 인상을 풍긴다. 앞발이 똑바로 정면을 향하면서 서 있는 모습이 안정적이고, 엉덩이가 튼튼하다. 늑골은 아래로 길게 이어져 있다. 발이 짧으며, 앞발에 체중을 싣고 몸을 천천히 일으킨다. 움직임이 매우 자연스러우며, 피모는 날씨 변화에 잘 견디는 특성이 있다.
► 머리 : 머리는 작은 편이지만 몸 전체와 균형이 잘 맞으며 털이 풍성하다. 두개골은 넓적한 편이고 짧다. 두 눈 사이에 푹 들어간 부분이 확연히 드러나 있으며, 스톱은 뚜렷하게 보인다.
• 코 : 코는 검은색이다.
• 입 : 주둥이는 탄탄하며, 이빨은 큰 편이다. 턱은 튼튼하지만 길쭉하거나 두툼하지는 않으며, 이빨은 구성이 완전하게 갖추어져 있는 편이다. 가지런히 배열된 이빨은 윗니가 아랫니를 덮고 단단하게 맞물리면서 턱과 정사각형이 되는 협상교합이 일반적이며, 절단교합도 허용된다.
• 눈 : 눈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며, 눈의 색은 짙은 녹갈색(dark hazel)이다. 눈은 약간 움푹 들어가 있으며, 미간이 멀다. 눈썹이 덥수룩한 편이다.
• 귀 : 귀는 작은 편이고 끝이 뾰족하며, 탄탄하게 직립해 있다. 양쪽 귀 사이가 그리 가깝지 않으며, 귀에 덮인 털도 숱이 크게 많지는 않다.
► 목 : 목은 힘이 있고 탄탄하게 들고 있으며, 길이가 그렇게 짧지는 않다.
► 몸통 : 기갑은 높으며, 등은 평평하고 길이는 중간 정도이다. 허리는 힘이 있어 튼튼하고 유연하다. 가슴은 깊고 약간 넓으며, 늑골이 아래로 깊숙이 휘어진 편이다. 앞가슴은 팽팽하며, 배는 타이트하다.
► 꼬리 : 꼬리는 길이가 짧고 균형이 잘 맞으며, 털이 충분히 덮여 있으나 긴 털(장식 깃털)은 자라지 않는다. 엉덩이에서 꼬리의 위치는 높지도 낮지도 않으며, 꼬리를 유쾌하게 위로 들고 있지만 등 위로 말리지는 않는다. 꼬리는 머리에 비해서 털로 잘 장식되어 있으나 장식깃털이 있지는 않다.
► 사지 : 앞다리의 길이는 중간 정도이며, 뼈가 튼튼하지만 크게 두껍지는 않다. 앞다리는 거친 털로 덮여 있으며, 어깨는 비스듬한 편이다. 무릎은 바깥으로 튀어나오지 않아서 바른 편이다. 뒷다리의 허벅지는 매우 튼튼하고 근육질이며, 무릎은 과도하지 않게 충분히 구부러져 있다. 비절은 바닥 쪽으로 낮게 내려와 있으며, 뒤에서 보았을 때 방향이 안쪽으로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않았다. 앞발이 뒷발보다 크며, 방향은 약간 바깥쪽을 향하는 경우도 있다. 패드는 두껍고 단단한 편이다. 발 두께가 얇거나 폭이 좁거나 발가락이 쫙 펼쳐진 형태이거나 발톱이 긴 경우에는 부적절한 요소로 평가된다.
► 털과 색 : 털은 매우 중요한 평가요소이다. 털은 풍성하며, 이중 모 구조여서 날씨 변화에 잘 견디는 특성이 있다. 상모(겉 털)는 질감이 거칠지만 과하게 거칠지 않은 털이 풍성하게 자라는 편이고, 하모(속 털)는 길이가 짧고 부드러운 털이 촘촘하게 자란다.
모색은 크림색, 옅은 황색, 적색, 회색 또는 검은색에 가까운 색 등으로 분류가 된다. 이러한 모색이 바탕이 된 얼룩무늬(브린들)도 인정을 해 준다. 검은색이나 흰색이 단색으로 형성되거나 황갈색이 섞인 검은색은 허용되지 않으며, 귀, 주둥이와 같은 신체 말단은 대부분 짙은 색을 보인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는 매우 자연스러우며, 앞다리를 멀리 내디디고 뒷다리가 강한 추진력을 제공한다. 걸을 때는 양쪽 비절의 간격이 너무 가깝거나 멀지 않아야 한다. 움직임은 원활하고 쉽고 느긋하게 이끌 수 있어야 한다. 다룰 때에 움츠러들면 안 되며, 곧바로 서서 테리어종의 특징을 분명히 보여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