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언을 멀리하면
중국에서는 천하의 명의로 편작(扁鵲)을 꼽는다. 천하의 명의였던 편작에게서는 의사인 형이 두 명 있었다고 전한다.
위(魏)나라 왕이 편작에게 물었다. “삼 형제 중에 누가 가장 실력이 좋은가?” 편작은 맏형의 의술이 가장 뛰어나며 둘째 형님이 그 다음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위나라 왕은 의아해하면서 편작이 명의로 소문난 이유를 물었다. 그러자 편작은 조용히 말했다. “맏형은 증상을 느끼기도 전에 얼굴만 보고 앞으로 병이 나타날 것을 압니다. 병이 생기기 전에 미리 치료해 주지요. 그러다 보니 아무리 잘 해 주어도 형이 낫게 해 준 줄 모릅니다. 둘째형은 병세가 미약할 때 병을 알아내어 치료해 줍니다. 그러다 보니 환자들은 둘째형이 큰 병을 치료해 주었다고 전혀 생각지 않습니다.” 위나라 왕은 더욱 궁금해 편작이 유명하게 된 이유를 물었다. “저는 병이 커져서 심한 고통을 느낄 때 비로소 알아봅니다. 중한 병이기에 맥을 짚어야 했고, 또 처방하고 아픈 곳을 도려내는 수술을 해야 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그런 나를 보곤 큰 병을 치료해 주었다고 믿고 존경합니다. 이것이 가장 실력이 모자라는 제가 명의로 소문난 이유입니다.”
인간의 심리를 잘 묘사하는 이야기이다. 인간은 일반적으로 병주고 약주는 존재를 제일 의존하고 존경하는 어리석은 존재라는 말이다. 하나님이 사전에 은혜로 건강을 주시면, 그 은혜를 모른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전 경고를 무시하고 지내다 죽을 병에 걸려 살려주어야 비로소 감사가 나온다. 지혜는 사전 경고의 직언(直言)에 감사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세상이 혼탁해지면서 양심은 무뎌지고 직언하는 경우가 점점 줄어들었다. 사람들은 성숙해졌다느니, 부드러워졌다느니라고 말한다. 과연 그런가? 오히려 변질되고 타협하는 것이 아닌가? 악과의 타협의 결과는 결국 파멸일 뿐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의 명운을 좌우할 최대의 과제는 심각한 부정선거를 몰아내는 일이고 과반수이상의 국민들이 이를 알고 있다. 사정이 이러하니 국내외에서 부정선거를 수사해서 밝히라고 대통령실에 수도 없이 직언을 해왔다. 그러나 대통령은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애국 국민들 속이 시커멓게 타고 있으니 참으로 딱한 일이다. 역사를 살펴보면 정의와 민심을 무시한 권력자의 최후는 비참한 것이다. 대통령은 애국국민들의 직언에 민감해야 살길이 열린다.
숙종9년(1683년) 1월1일 소재 이이명(李頤命) 선생 등이 상소한 ‘하늘과 합하는 덕(德)’이 지금의 대통령에게 절실하게 요청된다.
“청컨대 큰 뜻을 분발(奮發)하고 실지의 덕(德)을 잘 닦으시어, 학문에 종사함으로써 적절한 시기에 힘쓰는 공(功)을 쌓도록 노력하고, 간(諫)하는 말을 받아들임으로써 허심탄회하게 받아들이는 도량(度量)을 넓히도록 하소서. 어진 이를 대접하는 예(禮)는 허문(虛文)을 일삼지 마시고, 백성을 구휼(救恤)하는 정사(政事)는 처음과 끝이 달라지지 않도록 하소서. 기강(紀綱)이 진작(振作)되지 아니하면 먼저 공평(公平)하고 정대(正大)한 마음으로 위에서 조림(照臨)하시고, 사치스러운 풍속이 고쳐지기 어려우면 궁금(宮禁)의 귀근(貴近)한 곳으로부터 시작하시어 몸소 검소한 것으로써 솔선수범하도록 하소서. 형벌과 상(賞)의 혹시 어긋난 것과 쓰고 버림의 혹시 잘못된 것과 명령의 발표와 시비(是非)의 분변도 또한 일마다 새롭게 하고 생각마다 새롭게 하지 아니함이 없게 하여 마침내 하늘과 더불어 덕(德)이 합하는 데 이르도록 하소서.”(출처: ‘조선왕조실록’).
2024. 1.10. 素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