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 1달여간 헬기와 싸움끝에 겨우 엔딩이 보일려고 하니.. 무사히 호버링을 끝내면 이번주나
다음주중으로 덕소에 함 놀러갈 예정입니다..
초기에 받은 피닉스 25변속기.... 불량입니다.. 어느순간부터 수신기쪽으로 보내는 전압이 일정치가 않아 덜덜 떨다가 하드랜딩.... 스키드 박살... 테일 스핀들 휨 난곰하더군요..
부품 주문하고 구입처에 사정이야기를 하고 국산제품중 좋은 제품이 있다고 하여 S&T 사의 Quake 33A 변속기로 변경하였습니다.
5분만에 Cut-off 되어 뚝뚝 떨어지는 헬기;; 하드랜딩 스키드 박살..
에공... 스키드를 이번에 4셋트 정도 주문한거 같습니다.
열이 높아 Cut-OFF 되는듯 하여 통풍(?)이 잘되는 로터 밑에다가 장착 로터도 카본으로 변경 테일서보를 품대쪽으로 설치하면서 라다서보 810G로 변경하니.. 손꾸락도 안되는넘이 드디어 장비에만 투자하게 되는 난곰한 현상이 일어나는군요..
테일꼬리 잡고 살짝 뛰으면서 스로틀 셋팅(전동헬기만이 가능한 셋팅 +_+)
간단하게 서보 움직이는것 체크하고 안테나 접고 20M 정도 밖에서 서보 움직이나 확인하고... 날씨가 시원하더군요... 새벽이라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호버링... 벌어지는 트래킹... 오른쪽으로 쏠리는 헬기...
트래킹 잡아주고 트림 살짝 건들어주고.. 다시 호버링~ 오오~ 호버링이 됩니다...
ㅠㅠ 감격의 순간.. 조종기에서 시간 체크후~
간단하게 8자 플라잉.. 스톨턴;;(이게 전부 입니다.. 제가 할수 있는것은..)
4분정도 비행하다가 다시 측면호버링하다가 Cut-OFF .....
좌절 입니다... 날씨가 더워서 그런것인지.. 원래 전동헬기가 여름에는 잘 못날리는건지
아쉬움이 많이 남는 부분입니다.. 해결을좀 봐야 될것 같은데;; 전동보이저 날리시는분들중
다른분들은 어떻게 셋팅을 하는지 의견을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장황하게 글을 썼는데;; 결과론적으로는 좌절모드 입니다..ㅠㅠ
현재 기자재는..
전동보이저 EP,하이맥스 2825-3600,Quake33A,폴리배터리 11.1V 3100mah (12C)
811서보 3개 자이로는 JR G410T(테일락) 810G(라다서보) , 조종기는 PCM-9X II 입니다.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담입니다만...
엔진헬기는 랩터50v2로 결정하였습니다.
덕소에서는 많이 날리시는것 같아 많은 도움을 받을수 있을듯 하여 선택하였습니다.
첫댓글컷오프가 된다는 것은 베터리로 부터 나오는 전압이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질때 생기는데, 순간적으로 모터에 부하가 많이 걸려서 베터리의 전력소모가 많아져 순간적인 베터리전압강하현상이 생길 때와, 또 베터리를 다 소진하여 베터리의 전압이 떨어졌을때 두가지 경우로 볼수 있겠는데요. 후자면 아무 문제가 아니겠죠.
음... 일단 스로틀커브를 좀 더 올려주고 피치커브를 좀더 내려줘서 모터의 최고 효율 RPM대찾아서 사용하면 전력소모도 줄어들어 컷오프를 감소 할수 있을것 같고요.(잘 모르지만 제생각에 스로틀 수치가 대체로 좀 낮은거 같습니다.) 저알피엠 고피치로 비행하면 모터에 부하가 많이 걸려 낮은 스로틀이라도 전력소모
는 더 커질 수 있습니다.^^ 모터의 최적 효율을 내는 충분한 알피엠을 낼수 있도록 세팅을 일단 해주셔야 하는 것이 우선일것 같습니다. 그리고 컷이 된다는 건 일단 베터리의 방전력과 직결되는 문제이기때문에 베터리의 방전 능력이 약한게 아닌가도 생각해보게 됩니다. 스펙상으로는 괜찮은거 같아 보이긴 한데...
그래도 좀더 안정적인 비행을 생각하신다면 좀더 방전율이 좋은 베터리나 용량이 큰 베터리를 고려해 봄직하구요. 또 한가지 수신기 전원을 모터 전원과 같이 쓰고 있다면 수신기 전원을 따로 공급해주도록 해주면 베터리에서 수신기와 서보에 할당하는 전력을 모터로 돌릴수 있어 도움이 될것 같네요.^^
첫댓글 컷오프가 된다는 것은 베터리로 부터 나오는 전압이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질때 생기는데, 순간적으로 모터에 부하가 많이 걸려서 베터리의 전력소모가 많아져 순간적인 베터리전압강하현상이 생길 때와, 또 베터리를 다 소진하여 베터리의 전압이 떨어졌을때 두가지 경우로 볼수 있겠는데요. 후자면 아무 문제가 아니겠죠.
음... 일단 스로틀커브를 좀 더 올려주고 피치커브를 좀더 내려줘서 모터의 최고 효율 RPM대찾아서 사용하면 전력소모도 줄어들어 컷오프를 감소 할수 있을것 같고요.(잘 모르지만 제생각에 스로틀 수치가 대체로 좀 낮은거 같습니다.) 저알피엠 고피치로 비행하면 모터에 부하가 많이 걸려 낮은 스로틀이라도 전력소모
는 더 커질 수 있습니다.^^ 모터의 최적 효율을 내는 충분한 알피엠을 낼수 있도록 세팅을 일단 해주셔야 하는 것이 우선일것 같습니다. 그리고 컷이 된다는 건 일단 베터리의 방전력과 직결되는 문제이기때문에 베터리의 방전 능력이 약한게 아닌가도 생각해보게 됩니다. 스펙상으로는 괜찮은거 같아 보이긴 한데...
그래도 좀더 안정적인 비행을 생각하신다면 좀더 방전율이 좋은 베터리나 용량이 큰 베터리를 고려해 봄직하구요. 또 한가지 수신기 전원을 모터 전원과 같이 쓰고 있다면 수신기 전원을 따로 공급해주도록 해주면 베터리에서 수신기와 서보에 할당하는 전력을 모터로 돌릴수 있어 도움이 될것 같네요.^^
제가아시는분은 하이멕스를 쓰다가 해커로 바꾸고 열도 적게 나고 밧데리 도 11.1볼트에 3200짜리쓰는데 런타임이 13분나오더군요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RPM 부분을 셋팅을 다시해봐야 될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