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군과 러시아군의 교전으로 화재가 발생한 쿠르스크주 수드자 지역의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러시아의 침공에 맞서 전쟁을 이어가는 우크라이나가 M2 브래들리 장갑차 등 서방이 제공한 무기를 앞세워 러시아 본토를 급습했다. 미국 뉴스위크,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등 외신의 8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지난 6일 우크라이나군은 미국산 장갑차인 M2 브래들리를 앞세워 러시아 본토 쿠르스크 지역 공습에 나섰다. 쿠르스크는 우크라이나 북동부 수미주(州)와 맞닿은 국경지역이다. 우크라이나군 4개 여단이 넘는 병력이 이번 러시아 본토 진격 작전에 투입됐으며, 여기에는 미국과 독일 등 서방이 제공한 기갑차량, 야포, 전자전 장비 등이 활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군이 지난 8일에 공개한 영상. 러시아 드론이 쿠르스크 지역 수자 마을 외곽에서 우크라이나 장갑차를 공격하는 모습우크라이나군이 활용한 미국산 장갑차 M2 브래들리는 쿠르스크를 지키려는 러시아군의 방어 포격에 여러 대가 파괴됐지만, 결과적으로 쿠르스크의 상당한 지역을 점령하는데 성공했다. 러시아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군이 미국제 다연장 로켓 무기인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으로 러시아군 행렬을 타격했다고 주장하기도 다. 미국 싱크탱크 전쟁연구소(ISW)는 우크라이나군이 이후 8일까지 우크라이나-러시아 국경에서 21마일(약 33.8㎞) 지점까지 전진해 135 제곱마일(약 350㎢)에 이르는 러시아 본토를 점령했다고 추산했다. 러시아 전문가들과 군사 블로거들도 쿠르스크주의 소도시 수드자 일부와 20개가 넘는 국경마을이 점령됐다며 유사한 전황을 전하고 있다. 9일에는 쿠르스크 원전이 있는 쿠르차토프시 당국자가 우크라이나군이 접근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러시아 당국이 2024년 8월 9일 쿠르스크 지역 오룔의 철도역에서 주민들을 대피시키는 작업을 돕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쿠르스크의) 러시아 수비군은 병력이 부족했고 (우크라이나의 공격 동향을) 알지도 못했던 것처럼 보였다”고 분석했다. 또 미국 안보전문가 맥스 부트는 월스트리트저널에 실은 기고문에서 “러시아측이 공격을 예상하지 않고 있었기에 우크라이나는 사실상 춤을 추며 쿠르스크에 들어갈 수 있었다”면서 “우크라이나군이 전 세계와 러시아 수비군을 놀라게 했다”고 평가했다. 러시아가 본토 방어에 취약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부트는 “러시아 내부는 방어가 취약했고, 느릿느릿 움직이는 러시아군은 새로운 위협에 신속히 반응하지 못했다”면서 “이는 작년 여름 우크라이나가 후방의 러시아 본토에 ‘레프트훅’을 날리는 대신 왜 큰 대가를 치러가며 러시아 방어선에 무의미한 정면 공격을 감행했는지 모르게 한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가 쿠르스크를 점령하면 벌어질 일 앞서 러시아 국방부는 6일 우크라이나군이 전차와 장갑차를 동원해 러시아 접경지역 쿠르스크주를 공격했으나 격퇴했다고 주장했다. 이번 전투는 러시아가 2022년2월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을 시작한이후 러시아본토에서 벌어진 군사 충돌 중 최대 규모다. 우크라이나군이 쿠르스크 국경지역 점령 전황을 굳히는데 성공한다면, 이를 향후 러시아와의 협상에서 빼앗긴 영토를 돌려받기 위한 유용한 카드로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 6일 우크라이나 수미주와 국경을 맞댄 러시아 쿠르스크주 수드자에서 우크라이나군의 포격으로 파손된 주택의 모습. 뉴시스실제 미하일로 포돌랴크 우크라이나 대통령 고문은 지난 7일 러시아 본토에서의 군사행동이 종전을 위한 대러 협상에서 우크라이나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우크라이나군이 자국 영토에서 활보하는 것도 모자라 연이어 승전보를 울리자, 러시아 내부에서는 자국군이 본토로 들어온 우크라이나군을 조기에 격퇴하는데 실패했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특히 이번 사태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입지를 흔들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러시아의 친정부 분석가 세르게이 마르코프는 러시아 정보기관이 우크라이나의 공격 징후를 사전에 파악했는데도 제때 대처가 이뤄지지 못했다는 국내 일각의 지적에 대해 “이는 정보체계 전체의 실패이고 이와 관련한 책임을 지는 푸틴에게도 타격이라는 점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s://v.daum.net/v/20240810214401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