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해경 해제’ 발언이후 중단된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신청사 신축사업을 해경이 재개하기로 했다.
10일 조달청과 해경에 따르면 제주지방해양경찰청은(이하 제주해경)은 지난 7일 조달청에 제주해경 신청사 발주를 요청하는 공문을 공식 접수했다.
2012년 6월 창설된 제주해경은 제주시 아라동의 옛 국정원 제주지부 건물에 첫 둥지를 틀었으나 건물 노후화로 신청사 건립을 추진해 왔다.
신청사 계획은 2013년 2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국정원 제주지부 부지 3만687㎡에 사업비 189억원을 투입해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8472㎡의 청사를 짓는 내용이다.
해경은 올해 사업비 60억원 중 실시설계와 농지전용 등으로 12억원을 이미 사용했다. 4월에는 신축 설계용역도 마무리했으나 대통령의 전격적인 해경 해체 선언이 발목을 잡았다.
정부 조직개편안이 반년 가까이 국회에 계류되면서 제주해경은 시공사 선정을 위한 조달청 입찰 요청을 미뤘다. 7월 예정이던 신청사 착공식도 무기한 연기됐다.
문제는 입찰공고 연기에 따른 예산 삭감이다. 올해 시공사 선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2014년도 사업비 60억원 중 시공비 48억원이 불용액 처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안에 시공사가 선정되면 사고이월로 예산을 2015년도로 넘겨 사업을 계속 추진할 수 있다. 제주해경도 예산 확보를 이유로 정부의 조직개편과 별도로 사업을 강행한 것으로 보인다.
조달청은 제주해경이 요청안을 토대로 기술검토 회의를 거치고 조만만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공고에 나서기로 했다. 통상 업체 선정과 계약까지는 30~40일 정도가 소요된다.
신청사 부지는 제주도청 1청사 1만9168㎡, 2청사 8896㎡를 합친 것보다 크다. 17개 정부기관이 입주한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부지에도 육박한다. 단일 공공청사로는 도내 최대 규모다.
근무중인 직원이 160여명에 불과해 1인당 부지면적도 단연 최고다. 협소한 사무공간으로 애를 태우는 국가경찰과 자치경찰, 소방안전본부와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때문에 효율성 차원에서 공공기관이 함께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일부 정치권에서는 공공청사가 아닌 시민들을 위한 공원으로 환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펴고 있다.
신청사 추진과정에서 정부조직개편안이 확정되면 청사 규모를 바꿔야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주해경은 신청사 설계를 변경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http://www.jejusori.ne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