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국에 생산 공장 없어 대부분의 수요를 수입에 의존 -
- 정부 주도 메가 프로젝트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세 보일 것-
□ 시장동향
ㅇ 시장규모 및 수요
- 이집트는 현지 건설기계 생산이 없어 수입규모가 곧 수요를 나타낼 정도로 수입 건설장비에 의존하고 있음.
- 이에 건설기계 시장규모는 연간 20억~30억 달러로 잠정 추산됨.
ㅇ 시장동향
- Plant & Equipment Magazine에 따르면, 이집트는 최근 4년간 건설업의 호황으로 중장비 시장이 성장해 옴. 건설업과 운송업은 최근 이집트 경제 성장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신규 주택사업, 대학, 쇼핑몰 등의 광고들이 성행하는 등 건설부문에서 큰 호황을 누리고 있음.
- 이런 건설 개발의 영향으로 카이로, 알렉산드리아, 포트사이드 등과 같은 이집트 주요 도시들에서 건설기계와 장비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함.
- 부동산 건설, 도로 건설 및 기타 건설 프로젝트에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건설장비의 상당한 수요로 이어지며 수요 증가의 요인이 되고 있음.
ㅇ 현지진출 동향
- 이집트 건설업체들은 대부분 장비 매입이 아닌 임대에 의존함. 소비자들의 구매력 약화로 인해 업체들은 새로운 건설장비 구입을 피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업체가 프로젝트 기반으로 일하는 상황임.
- 프로젝트 할당 시 기업은 프로젝트 소유자가 계약자 또는 건설 회사에 지불해야 하는 요금에 장비 임대료를 추가하는 시스템
ㅇ 시장전망
- 이집트의 건설장비 임대시장은 외국인투자의 증가와 국내 부동산 및 주택 사업의 증가로 2022년까지 약 8억2천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됨. (Market Research의 ‘Egypt Construction Equipment Rental Market By Equipment Type, Competition Forecast & Opportunities, 2022’)
- 석유와 가스, 광업, 관광업 등의 산업은 2022년까지 이집트 건설장비 임대시장을 계속 활성화 시킬 것으로 보임.
ㅇ 건설기계 및 부품 수입액의 가파른 상승은 정부의 대규모 인프라 공사에 사용되는 건설중장비와 해당 부품(유압그래플, 망치, 펌프, 엑스커베이터 부품, 진동 버켓 등)의 수요 상승에 기인함.
ㅇ 정부 주도의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Mega Projects)로 인해 건설기계 수입액은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보임.
ㅇ 최근 3년간 기계류(HS Code :84)및 주요 건설기계(HS Code : 8429, 8431) 수입 동향은 아래와 같음.
- 2018년 기계류 (HS code: 84) 수입 총액은 27억 달러로 전년 대비 12.58% 증가함. 수입액 기준 2018년 주요 수입 국가는 중국(21.25%), 독일(15.46%), 이탈리아(14.43%)임.
* 2017년 대비 2018년도 수입이 12.6% 증가했으며, 상위 수입 10개국 중 8개국에서 수입 증가 추세가 관찰됨. 이 같은 상승세는 정부주도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로 인한 건설기계 수요 증가에 기인함. 이집트의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는 현재 건설업, 시멘트 및 철강 산업분야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
<최근 3년간 HS Code 84 (기계 및 기계 장치, 해당 부품) 수입동향>
(단위 : 천 달러, %)
순위 | 국가 | 수입액 | 점유율 | 증감율 (17~18) |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
1 | 중국 | 696,572 | 508,033 | 589,000 | 21.4 | 20.6 | 21.3 | 15.9 |
2 | 독일 | 650,603 | 409,755 | 428,596 | 20.0 | 16.6 | 15.5 | 4.6 |
3 | 이탈리아 | 462,409 | 476,747 | 399,948 | 14.2 | 19.4 | 14.4 | -16.1 |
4 | 미국 | 283,258 | 200,349 | 195,286 | 8.7 | 8.1 | 7.0 | -2.5 |
5 | 터키 | 89,457 | 92,595 | 116,769 | 2.8 | 3.8 | 4.2 | 26.1 |
6 | 일본 | 99,898 | 55,426 | 107,740 | 3.1 | 2.3 | 3.9 | 94.4 |
7 | 대한민국 | 118,724 | 72,179 | 97,554 | 3.6 | 2.9 | 3.5 | 35.2 |
8 | 영국 | 52,051 | 56,720 | 86,879 | 1.6 | 2.3 | 3.1 | 53.2 |
9 | 벨기에 | 60,350 | 44,125 | 74,946 | 1.9 | 1.8 | 2.7 | 69.8 |
10 | 프랑스 | 86,168 | 48,797 | 73,770 | 2.6 | 2.0 | 2.7 | 51.2 |
총합 | 3,258,733 | 2,462,198 | 2,771,997 | 100.0 | 100.0 | 100.0 | 12.6 |
자료 : Global Trade Atlas
- 불도저, 앵글 도저류 (HS code: 8429)의 경우 2018년 약 7천만 달러를 수입했으며, 한국으로부터 약 3백만 달러를 수입함. 미국, 벨기에, 일본, 독일에 이어 한국은 수입국 중 5위를 차지함.
* 2017년 대비 2018년도 수입은 83.5%로 대폭 증가했으며, 수입 상위 10개국 중 이탈리아를 제외한 9개 국가 모두 증가세로 평균 154% 증가함. 반면 수입 한국의 증가율은 23.3%에 그침.
<최근 3년간 HS Code 8429 (자주식 불도저, 앵글도저 등) 수입동향>
(단위 : 천 달러, %)
순위 | 국가명 | 수입액 | 점유율 | 증감율 (17~18) |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
1 | 미국 | 24,161 | 11,290 | 22,693 | 23.4 | 29.0 | 31.7 | 101.0 |
2 | 벨기에 | 23,529 | 8,589 | 15,421 | 22.8 | 22.0 | 21.5 | 79.5 |
3 | 일본 | 13,464 | 4,464 | 8,558 | 13.0 | 11.5 | 12.0 | 91.7 |
4 | 독일 | 8,093 | 1,133 | 5,018 | 7.8 | 2.9 | 7.0 | 343.0 |
5 | 대한민국 | 3,983 | 2,401 | 2,960 | 3.9 | 6.2 | 4.1 | 23.3 |
6 | 브라질 | 6,175 | 932 | 2,881 | 6.0 | 2.4 | 4.0 | 209.1 |
7 | 이탈리아 | 6,712 | 3,626 | 2,777 | 6.5 | 9.3 | 3.9 | -23.4 |
8 | 중국 | 3,663 | 921 | 2,569 | 3.5 | 2.4 | 3.6 | 179.1 |
9 | 영국 | 3,263 | 1,496 | 2,210 | 3.2 | 3.8 | 3.1 | 47.7 |
10 | 스페인 | 1,190 | 175 | 762 | 1.2 | 0.5 | 1.1 | 334.6 |
총합 | 103,425 | 38,975 | 71,530 | 100 | 100.0 | 100.0 | 83.5 |
- 2018년 건설기계 부품 (HS code: 8431)의 경우 2018년 약 2천 6백만 달러를 수입했으며, 한국으로부터 약 2백만 달러를 수입함. 중국, 이탈리아에 이어 한국은 수입국 중 3위를 차지함.
* 전반적인 상승세를 이어나가고 있는 부품 수입액은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의 높은 잠재력과 수요에 기인하며, 그중에서도 특히 부동산 건설, 도로 건설 등 기타 건설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건설 중장비와 해당 부품(유압그래플, 망치, 펌프, 엑스커베이터 부품, 진동 버켓 등)의 수요가 높음.
<최근 3년간 HS Code 8431 (건설 기계 부품) 수입동향>
(단위 : 천 달러, %)
순위 | 국가 | 수입액 | 점유율 | 증감율 (17~18) |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
1 | 중국 | 6,911 | 5,482 | 7,923 | 20.4 | 23.8 | 29.9 | 44.5 |
2 | 이탈리아 | 5,276 | 3,739 | 4,809 | 15.6 | 16.2 | 18.1 | 28.6 |
3 | 대한민국 | 4,200 | 1,066 | 2,476 | 12.4 | 4.6 | 9.3 | 132.2 |
4 | 미국 | 2,655 | 3,513 | 2,066 | 7.8 | 15.3 | 7.8 | -41.2 |
5 | 독일 | 3,137 | 1,976 | 1,889 | 9.3 | 8.6 | 7.1 | -4.4 |
6 | 터키 | 1,665 | 2,177 | 1,784 | 4.9 | 9.5 | 6.7 | -18.1 |
7 | 벨기에 | 580 | 597 | 787 | 1.7 | 2.6 | 3.0 | 31.8 |
8 | 네덜란드 | 782 | 636 | 675 | 2.3 | 2.8 | 2.6 | 6.1 |
9 | 영국 | 301 | 643 | 634 | 0.9 | 2.8 | 2.4 | -1.4 |
10 | 스페인 | 518 | 416 | 538 | 1.5 | 1.8 | 2.0 | 29.6 |
총합 | 33,877 | 23,024 | 26,505 | 100.0 | 100.0 | 100.0 | 15.1 |
자료 : Global Trade Atlas
□ 경쟁동향
ㅇ 주요 경쟁기업
- 두산과 현대의 현지 대리업체 Otrac 및 Egypco 외에도 Big Rental, Adrighem & Al Dibiki., Magic-Rent, Flash Cranes & Equipment, CRANES Co., Denyo Egypt Co., Mantrac Egypt 등이 있음.
ㅇ 눈여겨 볼만한 경쟁기업 전략
- 자주식 불도저, 앵글도저 등 수입액 3위를 달리는 일본 기업 토요타는 이집트 현지 지사를 설립, 글로벌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해 소비자들의 호응을 받았다고 함.
- 현지 구매자들이 직접 방문해보고 눈으로 볼 수 있는 서비스 센터 설립 등은 해당 건설기계업체에 대한 신뢰성 제고 및 고객만족도 향상으로 이어짐.( 현지 건설기계업계 관계자 Hamdy Gamal El Din 인터뷰)
ㅇ 가격이 경쟁 및 판매의 핵심요소
- 가격이 이집트 시장 경쟁에서의 주요 경쟁력 요인이며, 이집트 시장의 주요 특징임.
- 혁명이후 달러 대비 이집트 파운드화 평가절하로 인해 건설 기계 구매자들이 가장 눈여겨보는 것은 가격경쟁력이며 낮은 가격에 믿을만한 품질을 가진 제품 선호함.
- 이집트 바이어들의 구매력 약화로 일부는 신규 건설장비 구입을 피하고 있으며, 대다수의 기업이 매입대신 임대에 의존하고 있음.
ㅇ 가격 다음으로 이집트 시장의 주요 경쟁요인은 납기시간, 애프터 및 유지보수 서비스임.
ㅇ 한국산 건설기계,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 가지고 있어
- 현지 대리업체 Otrac 및 Egypco 관계자에 따르면 현대 및 두산과 같은 한국기업들이 이집트 고객들에게 경쟁력 있는 가격뿐만 아니라 편리한 서비스 제공, 다양한 부품 종류 등을 공급하고 있어 현지에서 높은 브랜드 가치를 구가하고 있다고 함.
- 특히 새 제품 구매를 꺼리는 이집트 고객들에게 기계 유지에 필요한 부품이나 추가 탑재가 가능한 부품 등 애프터 시장을 공략함으로서 현지 맞춤식 성공 전략으로 평가받음.
□ 유통구조
ㅇ 건설기계유통 경로
- 가장 흔한 유통경로로서 장비를 수출하는 제조업체에서 공식대리점인 이집트 수입업자에게 수출, 그 후 임대업업체에게 매입함.
- 임대업체가 비용 절감을 위해 외국 제조업체에서 직접 장비를 수입하기도 함.
자료 : 카이로 코트라 무역관
ㅇ 주요 현지 에이전트 목록
에이전트명 | 개황 |
Apex Egypt | - 1999년 부터 육 해상 가스 및 석유전 탐사, 굴착, 생산, 정제, 석유화학 처리 분야에 사용되는 다양한 장비 부분품 공급업체를 선도하고 있음. - 고객들에게 소싱, 구매, 컨설팅, 서류 처리, 원료 공급, 포장, 선적 등 필요한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일괄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El Didi Group | - El Didi Group (Solimec Misr)는 Eldidi for Trading and International Agencies하에 Eng. A.F. Eldidi가 대표를 맡아 1984년에 설립됨. TREVI GROUP의 자회사인 Soilmec S.p.A-Italy와 Drillmec S.p.A의 유일한 중동 및 아프리카 시장 에이전트임. - El Didi Group은 2011년 Attaka Suez 자유지대에 7,000sq.m 부지의 Egymec 석유 공장을 설립해 석유 및 수원 굴착기, 시추대, 장비 액세서리, 부분품 등의 제품으로 전 세계의 수요를 충족시키며 큰 성공을 거둠. |
Ema for Trading & Hydraulic Services | - 드릴러, 중장비, 공장 기계, 오일실, 레버, 화물 크레인, 차량 크레인, 맨리프트, 티퍼, 유압 전력기, 유압 압착기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압 & 공기식 실린더를 취급하는 업체임. - 모든 유압 기기와 유압 & 공기식 실린더를 유지 보수해주는 애프터 서비스를 실시 중임. |
Market Leaders (ML) | - 아메리칸 트럭 부속품 공급업체로서 1989년 1월에 설립되었으며, 소규모의 건설 장비 또한 취급함. - 건설, 측정, 품질관리, 콘크리트 굴착 4가지 영역으로 나뉨. |
- 상기 업체들뿐만 아니라 많은 업체들이 이집트 건설기계 시장에서 제품을 유통 및 수입하고 있음. 상기 업체들은 그 중에서도 이집트 시장에서 오랫동안 제품을 취급했거나 다양한 경력들을 보유한 업체들임.
□ 수입정보
- 자주식 불도저, 앵글도저 등 (HS Code 8429)의 관세는 탬핑머신(tamping machine)과 로드롤러(road roller) (2%)를 제외한 나머지 모두 5%이며 부가가치세는 14%임.
- 건설 기계 부품 (HS Code 8431)의 관세는 리프트ㆍ스킵호이스트(skip hoist)ㆍ에스컬레이터 부품 (5%)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 2%이며 부가가치세는 14%임.
-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해 특정 품목의 관세를 면제받는 국가들을 제외한 모든 국가들은 관세를 지불해야 함. 이집트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들은 하기 내용과 같음.
- 이집트-터키 자유무역협정: 건설기계 품목 (HS Code: 84) 관세 100% 면제
- 이집트-유럽자유무역연합(EFTA) 자유무역협정: 건설기계 품목 (HS Code: 84) 관세 100% 면제(대상국: 아일랜드,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스위스)
- 이집트-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 건설기계 품목 (HS Code: 84) 관세 100% 면제(대상국: 벨기에, 덴마크, 독일, 그리스, 스페인, 프랑스, 아일랜드,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포르투갈, 핀란드, 스웨덴, 영국, 북아일랜드)
ㅇ 수입규제
- 현재 이집트 수출입법 상 4대 검사 기준(수입 중단 상품, 중고 및 임대 품목, 조건부 특수 수입 품목, 수입품질관리 대상 등)에 건설기계류는 포함되지 않아 원활하게 세관 통과 가능
ㅇ 인증절차
- 상기 언급과 같이 이집트 수출입청의 관련법을 참조했을 때 건설기계류 수입에 적용되는 수입규제는 없음. 하지만 천공 및 굴착기 장비 한정 수입업체가 도로교량교통관할청(The General Authority for Roads, Bridges, & Land Transport - GARBLT)의 수입 승인을 받지 않으면 관세 당국이 수입을 제한할 수 있음.
HS Code | 제품 설명 | 수입 관세 (%) | 유망 품목 선정 근거 |
8426190000 | 교량 이동 크레인 14 | 5 | ㅇ 현지 생산 능력 전무 ㅇ 이집트 건설시장에서 원자재 취급, 근로자 간 수송 자동화에 중요
|
8426200000 | 타워 크래인, 지브 크래인 | 5 | ㅇ 현지 생산 능력 전무 ㅇ 철, 콘크리트, 아세틸렌 용접기 및 발전기 등 다양한 건축 자재 운반에 중요.이집트 고층 빌딩 건설 현장에 필수적인 장비. |
8426300000 | 이동식 크레인 | 5 | ㅇ 해당 품목 최근 정부 주도하에 늘어난 교량 건설 프로젝트의 핵심적인 장비 |
8429110000 | 무한 궤도식 불도저, 앵글도저 | 5 | ㅇ '20년 1월 이집트 정부 불법 건축물 철거법 발표에 따라 불도저 수요 증가 예상 |
8429190000 | 기타 불도저 및 앵글도저 | 5 | |
8429510000 | 기계 삽, 프론트엔드 셔블로더 | 5 | ㅇ 현지 생산 능력 부족 ㅇ 이집트 현지 건물 기초 및 구조물 공사에 필수적인 장비 |
8430410000 | 자주식 굴착, 천공용 기계 | 5 | |
8430490000 | 비 자주식 굴착, 천공용 기계 | 5 | |
8431430000 | 천공용 및 시굴용 기계 부품 | 2 | ㅇ 기계 유지보수에 필수 ㅇ 기존 장비 개조를 위해 수입하는 경우 또한 다수. |
8474200000 | 분쇄기, 반죽기 | 5 | ㅇ 바위 및 자갈 등이 많은 이집트 비 개발지역 공사에 핵심적인 장비. |
8479899000 | 기타 특수 기능 기계 및 장비 | 5 | - |
□ 바이어 인터뷰
ㅇ The Egyptian Company for Engineering Consultations & Supplies 오너, Hamdy Gamal El Din
- 기계의 유지보수를 위해 건설기계 부품 수입은 필수적이라고 함. 이집트는 주로 두산과 현대 건설기계 부품을 수입하고 다른 기업과는 거래가 거의 없어 대한민국이 3위에 머무르고 있음.
- 현지 사무실이나 지점을 설립하고 글로벌 영업 네트워크를 통해 업체들에게 기술 지원과 뛰어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언급함.
ㅇ El Didi Group(Solimec Misr) 매니저, Gamal Ahmed Abdel Gawad
- 한국 기업이 이집트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고자 한다면, 직영서비스 센터가 아닌 이집트 현지 에이전트를 통해서라도 판매와 유지보수 부품을 이집트 내 서비스 센터에서 지원해야함. 많은 기업들이 유지보수 서비스와 부품을 지원하지 않아 실패했는데, 이집트 바이어들은 기계 고장 시 유지보수와 부품을 제공하지 않아 많은 비용이 드는 것을 부담스러워 함.
- 판매, 유지보수, 예비부품 지원 등을 현지에서 발 빠르게 처리해줄 수 있는 현지 에이전트를 찾는 것이 관건임. 또한 이집트에서는 현지 대리점과의 파트너십이 공공 입찰 참여 선결 조건이므로 좋은 에이전트를 찾는 것이 현지시장 성공과 직결됨.
ㅇ Egymec Engineering Co. 영업부장, Khaled Abou Zeid
- 불도저, 크레인 등 기타 건설 기계들과 부품은 기술력 부족으로 인해 현지 생산이 없음.
- 이집트는 전적으로 건설기계를 수입에 의존하며, 다양한 정부 및 민간 프로젝트가 진행 중으로 한국 기업들이 이집트 시장에서 많은 기회를 찾을 수 있음.
□ 관련 전시회 정보
행사명 | The Big 5 Construct Egypt |
개최기간 | 2020년 9월 22~24일 (총 3일) |
개최장소 | 이집트 카이로 Egypt International Exhibition Center, Cairo (EIEC) |
웹사이트 | |
전시품목 | 건축 자재, 건설 기계, 건설 도구, 건축 인테리어 및 마감, 혁신 건설 기술, 기계 및 차량(PMV), 기계 전기 및 배관(MEP) 엔지니어링 서비스 시범 등 |
□ 시사점
ㅇ 이집트 건설기계시장은 수입에 의존하며, 최근 4년간 정부주도의 메가프로젝트 등 건설업의 호황으로 건설기계 수입규모도 가파르게 증가함.
ㅇ 이집트 건설 기계 시장은 가격이 결정적인 요인이며, 그 외 납기기한, 유지보수 및 애프터 서비스가 구매 및 경쟁의 주요 요인임.
ㅇ 이집트 건설기계 시장, 잠재력 풍부
- 1억에 육박하는 인구 대국인 이집트는 정부 주도하에 신행정 수도 건설 등 다수의 메가프로젝트를 진행 중임.
- 이에 맞물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건설기계 수요를 자국 내 제조역량 부족으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임.
- 건설 기계 판매뿐만 아니라 부품 사업, 임대 사업 등 관련 애프터 마켓 사업을 선점해야함.
ㅇ 신뢰가능한 현지 에이전트와의 파트너쉽이 성공의 관건
- 공공입찰참여 요건 충족 및 복잡한 통관 절차로 인해 대리업체 선정이 필수임.
-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구매 전 현지 대리점 존재 여부를 질문 할 정도로 고장 시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또는 부품을 손쉽게 구매 할 수 있는지 등등 소비자들의 걱정을 덜어줄수 있는 현지 서비스 제공 업체 중요
ㅇ 현지 박람회 방문 등 얼굴 맞대며 신뢰 구축할 수 있는 기회 이용해야
- 매년 9월에 열리는 ‘The Big 5 Construct’와 같은 박람회에는 건설기계 관련 고도의 전문성과 높은 구매의욕을 가진 바이어들이 다수 참가함. 따라서 박람회 참석은 단기간에 많은 바이어들에게 자사의 제품 홍보 및 네트워크를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임.
- 특히나 이집트는 아프리카 및 아랍권 기업들이 모이는 만남의 장으로서 한 번에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정보 교류의 요충지임.
자료: Atlas Machines, 이집트 통계청(CAPMAS), Global Trade Atlas,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