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의 유통단계를 줄여 소비자와 생산자를 동시에 보호하는 등 채란산업의 선진화를 위해선 일본의 유통 시스템을 서둘러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농협에 따르면 국내에서 생산되는 달걀은 연간 100억개가 넘지만 이 가운데 8%가량만 농협을 통해 유통되고 있으며, 나머지는 대부분 상인들에 의해 문전거래 방식으로 수집돼 판매되고 있다. 유통단계도 농가→수집·반출상→중간도매상→소매상→소비자 등으로 복잡하게 이어져 달걀은 다른 축산물과 달리 위생 문제가 자주 도마에 오르고 있고, 가격도 유통상인들에 의해 결정되면서 소비자와 생산농가에게 공공연히 피해를 입히는 실정이다.
반면 일본은 농협(전농)이 달걀 판매 전문회사인 ‘JA전농계란㈜’을 설립해 전체 생산 달걀의 상당량을 취급, 유통단계를 최소화하는 등 유통흐름을 주도하고 있으며 매일 달걀의 고시값을 발표, 달걀의 거래 기준도 제시하고 있다. 달걀은 다른 농산물과 달리 경매에 부칠 경우 물류비용이 오히려 많이 들어 생산자단체가 그날 그날 가격을 발표하는 것이다.
이 회사는 특히 전체 유통달걀의 90%를 세척해 냉장상태에서 유통하는 시스템을 갖춘데다 품질에 따라 가격을 차별화할 수 있는 등급제까지 도입한 것은 물론 달걀을 이용한 각종 식품과 화장품까지 만드는 가공사업까지 진출, 달걀의 부가가치를 크게 높이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일본에서는 달걀을 원료로 사용하는 가공회사는 물론 도매업자·대형식당 등도 달걀을 공급받기 위해선 ‘JA전농계란’을 통해야 하는 등 생산자단체가 달걀 유통을 주도하는 시스템이 잘 갖춰졌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채란산업의 선진화와 국민건강 증진을 위해 우리나라도 일본처럼 생산자단체인 농협을 달걀 유통의 핵심주체로 적극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달걀 유통단계 축소와 농가 거래교섭력 증대, 수요와 공급에 따른 합리적인 가격결정, 위생달걀 유통 등을 통해 채란산업을 발전시키려면 농협이 달걀 유통의 주도권을 가져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삼수 농협중앙회 양계·특수가축팀장은 “우리나라는 전체 산란계 사육농가가 1,700여가구인데, 달걀 유통 상인이 2,000명이나 되는 등 달걀 유통구조가 아주 낙후돼 있다”며 “정부·농협·농가 등이 참여하는 한국형 ‘농협달걀판매 주식회사’를 설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광동 기자 kimgd@nongmin.com
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