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58329
1월 국내은행 가계·기업대출 연체율 일제 상승
지난해 하반기부터 대출금리가 급등한 영향으로 가계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은행 대출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특히 신용대출 연체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대기업 대출 연체율도 상승세로 돌아섰다.
1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1월말 국내은행의 가계신용대출 연체율은 전년 말 대비 0.09%포인트(p) 오른 0.55%를 기록했다.
직전 최고치였던 2016년 9월 말(0.46%) 이후 6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작년 12월에도 전월대비0.17% 오른데 두 달 만에 연체율이 0.26%p나 뛰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18%로 전월말 보다 0.03%p 상승했다.
주담대와 신용대출을 더한 가계대출 연체율은 0.28%로 전월말 대비 0.04%p 상승했다.
기업대출 연체율도 전월말 대비 0.07%p 올라 0.34%를 나타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전월말 대비 0.04%p 상승한 0.09%,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한 달 전보다 0.07%p 상승한 0.39%였다.
중소법인 연체율은 0.44%로 0.08%p,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0.33%로 0.07%p 상승했다.
작년 하반기부터 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은행채와 코픽스 등의 금리가 오르면서
가계는 물론 기업까지 전반적으로 신규 연체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1월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31%로
전월말(0.25%) 대비 0.06%p 상승했다.
1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은 1조9천억원이었고, 신규연체율은 0.09%로 전월대비 0.02%p 상승했다.
은행권은 매 분기 말에 채무 조정, 채권 상각 등을 통해 연채 채권을 정리해 연체율을 낮추는데,
연체 채권 정리 속도보다 신규 연체 발생이 뚜렷해지면서 연체율이 추가로 올랐다.
은행, 대출 연체율 20개월 만에 0.3%대 진입… 부실 경고등
https://biz.chosun.com/stock/finance/2023/03/16/27Z7PDDDE5H25BO7ZFB2ZHTOFE/
저축은행 부동산PF 대출 70% 급증… 연체율 2배 증가
https://biz.chosun.com/stock/finance/2023/03/16/M7SFKOBWLNDQNFIMJBGRX76VKE/
저축은행 부동산 PF 대출 10조7000억원
연체 잔액 3000억원, 연체율 2.4% 2배 증가
부동산 침체 길어지면 건전성 악화할 우려
‘뱅크런’을 막기 위해서는 금융환경에 따른 취약 투자 부문에 대한 위험 관리가 필요한데, 최근 한국은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는 만큼 저축은행의 부동산 PF대출 위험 관리가 필요한 것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채권이든 부동산이든 금융환경에 따른 취약 투자 부문에 대한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며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인 만큼 저축은행은 PF대출로 인한 손실률을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축은행의 유동성 전망 역시 좋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해 고금리 예금 유치로 저축은행의 조달비용이 증가했지만, 대출금리는 법정최고금리(20%)에 막힌 탓에 저축은행 수익성이 악화했다. 이날 기준 79개 저축은행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3.74%로 올해 초 5.37%에서 약 3개월 만에 1.63%포인트 하락했다.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 예금금리가 3% 초중반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큰 차이가 없다.
예금금리 하락으로 수신 잔액이 빠지게 되면 SVB 사태처럼 대규모 예금인출 상황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정 연구원은 “2018년 이후 급증한 5000만원 초과 거액예금, 은행권과의 금리 격차 축소 등에 기인해 저축은행 수신 이탈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며 “저축은행이나 업권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될 경우 예금 이탈 가능성이 커지며 유동성 지표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저축은행 업계는 SVB 사태에 따른 유동성 충격 우려에 선을 긋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지난 14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저축은행 업권 전체의 유동성 비율은 177.1%다”라고 밝혔다. 저축은행 감독규정에 따라 저축은행은 3개월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자산과 부채를 기준으로 유동성 비율을 100% 이상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