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촌호에서 / 물고기의 상징성
석촌호반을 걷다가 멈춰서서 물속에 헤엄치는 물고기를 본다. 바쁜지 한가한지 모르게 움직이는 모습이 신기하기만 하다. 도대체 어디를 향하는지 무엇을 찾는지, 잠자는 일 쉬는 일도 없이 한없이 지느러미를 흔들어대지만 눈망울은 초롱초롱하기만 하니 말이다. 저들이 보내는 신호는 무엇일까?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의 선종이 5세기 경 달마에 의해 중국에 전해졌다. 이어서 우리나라에도 전해와 오늘날 선종의 맥을 이어가고 있다. 당나라의 어느 불자가 조주스님에게 달마가 서쪽에서 온 까닭이 무어냐고 물었다.(祖師西來意) 이때 조주가 답하기를 뜰 앞의 잣나무라 했다고 한다.(庭前柏樹子) 이것이 화두가 되어 오래 전해 내려오지만 스스로 깨우치라는 뜻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사찰에 들려면 일주문을 지나 사천왕상을 만나야 한다. 그다음엔 불문사물인 목어, 운 판, 범종, 법고를 지나야 불당에 이르게 되는데, 그중 나무로 만든 목어(木魚)는 쉼 없이 깨우치라는 상징성도 갖는다고 한다.
김해의 수로왕릉엔 쌍어(雙魚) 무늬가 있다. 그 부인 허 황후가 아유타국에서 가져왔다는 설이 있지만 그에 관한 역사적 기록이나 그 뜻이 무언지는 확실치 않다. 하지만 허 황후가 남방에 도착한 것으로 보아 배를 타고 왔는지 비행기를 타고 왔는지 그건 모를 일이지만 물을 건너온 것만은 확실하다 하겠다.
기원 1100여년 전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신화에 엔키 신(神)이 나타난다. 엔키는 대지의 신이자 물을 관장했는데, 지구에 대홍수가 났을 때 인간들에게 살아남을 방법을 알려주어 인류문명이 이어지게 했다. 이런 엔키 신은 수메르에서 앗시리아에서 바빌로니아의 문화로 이어지면서 물고기 복장의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그 물고기 모양이 현재 교황이 쓰는 주교관으로 이어졌다고도 한다.
바빌로니아의 신화가 인도로 전해져 인도 대홍수 때에도 물고기가 인류를 구한 것으로 나타난다. 신성한 것으로 숭배받던 이런 물고기의 모양과 그 의미가 허 황후에 의해 아유타국에서 가야국으로 이어진 것으로 비정한다면 한 마리의 물고기는 기원전 2천 년의 길가메시 서사시에까지 닿게 되니 아득하기만 하다.
다시 석촌호 속에 자맥질하는 물고기를 본다. 수평으로 움직이는 건 지느러미를 흔들면 된다지만 위로 오르고 아래로 가라앉으려면 부레(공기주머니)를 작동해야 한단다. 부레에 바람을 넣으면 부풀려져 부력이 커지니 위로 오르게 되고, 바람을 빼면 부력이 작아지니 아래로 가라앉게 된다는 거다.
홍자성의 <채근담>에 이런 글이 있다.
心不可不虛 虛則義理內居(심불가불허 허즉의리내거) 心 不可不實 實則物慾不入(심불가불실 실즉물욕불입)
마음은 불가불 비워야 한다. 그래야 가슴속에 정의와 진리가 들어앉게 된다. 반대로 마음은 불가불 채워야 한다. 그래야 가슴속이 허하지 않아 물질적 욕망이 들어오지 않게 된다. 서로 상반되는 말 같지만 물고기가 부레에 바람을 넣고 빼듯 때로는 마음을 비우고 또 때로는 마음을 채워 물고기처럼 오르고 내린다면 제약된 환경 속에서도 자유자재할 수 있지 않을까 싶은 것이다. |
첫댓글 마음의 부레를
채우고 비우는 삶이
삶의 질을 높여주리라 믿습니다!
빈주머니 채우려 발버둥치느니 그게 마음 편하지요.
비우고 채우는 일이
말은 쉽지만 그게 참 어렵습니다.
사진이 잉어 같은데 저는 검은색 잉어는 처음 보는 듯 합니다..
맞아요.
그러니까 강조하고 또 강조하겠지요.
양자강의 잉어들이 등용문을 거슬러 올라 용이 되려고....
남성방의 동서고금을 꿰뚫고 현실을 은유 표현하시는
님의 필력은 항상 부럽습니다. 계속 건승하시기를 바랍니다.^^
네에,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