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연만이 가족사랑 ♡ 원문보기 글쓴이: 연만이
동부란? |
강두 혹은 광저기라고도 한다. 동부는 팥과 비슷하나 종자가 약간 길고 종자의 눈도 길어서 구별된다. 열매는 긴 꼬투리이고 밑에서부터 올라가면서 익으며, 신장형이고 빛깔은 여러 가지이다. 고온을 요하므로 따뜻한 지방에 알맞은 작물이며 서리에 약하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여름의 고온시기를 이용하여 재배가 가능하다. 토양은 별로 가리지 않는다. 종자를 밥에 넣거나 떡의 소, 과자를 만드는 데 이용한다. |
[표1.] 동부 종실의 성분(시료 100g중)
열량 |
수분 |
단백질 |
지질 |
당질 |
조섬유 |
342 |
11.0 |
23.4 |
1.8 |
60.3 |
4.3 |
분류
Vigna 속에는 160여종의 식물들이 포함되는데 이들은 주로 열대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아프리카 지역에 많다. 이들 중 주요 재배작물은 6개이며 동부를 제외한 나머지 5종은 아시아지역이 원산지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동부는 학명이 Vigna unguiculata (L.) Walp.인데 식물분류학상 콩과(Leguminosae), 접형화아과(Papilionoideae), 강낭콩족(Phaseoleae)에 속하며 영명은 cowpea라 하고 한자로는 강두로 표기하며 일본어로는ササヶ' 라 불린다.
예전에는 V. sinensis, V. catjang, V.repens, Dolichos unguiculata. D.sinensis, D.catjang 등 학자에 따라 여러 가지가 혼용되어 왔으며 주로 Vigna sinensis로 명명되어 왔다. 일반명도 cowpea, black-eye pea외에 catjang, catiang, asparagus bean, yard-long bean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동부의 식물학적 분류는 많은 논란을 거듭해 왔는데 Verdcourt(1970)은 동부를 2개의 야생형을 포함하여 5개의 아종으로 나누었다. 즉 이디오피아 및 아프리카 사바나지역에 자생하는 subsp.dekindtiana 및 우림지역에 자생하며 거칠고 개협이 잘되며 휴면성이 강한 subsp. mensensis 등의 야생형과, 일반동부인 subsp. unguiculata, subsp. cylindrica 및 subsp. sesquipedalis등의 재배형이 포함된다.
또한 Marechal 등 (1978)은 재배형 3개 아종을 변종으로 보았으며 cv-gr. Textilis와 같이 묶어 Subsp. unguiculata로 칭하고 야생형인 Subsp. dekindtiana에 4개 변종을, 그리고 Subsp. stenophylla, Subsp. tenuis 등으로 분류하였다.
현재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재배형을 3개의 아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아직도 이들 아종을 별개의 종으로 분류하는 이들도 있다. V. unguiculata (L.) Walp. subsp. unguiculata는 cowpea 또는 common cowpea로 불리는데 세계적으로 재배면적이 가장 큰 동부의 아종이다. V. unguiculata subsp. cylindrica (L.) Verdc.는 catjang 또는 catiang으로 불리는데 일반동부에 비해 꼬투리가 짧고 소립종이다.
또한 직립성이며 유한신육형 계통들이 있어 육종학자들의 관심 대상이 되어 왔는데, 이를 이용하여 유한신육형이면서 단경, 내밀식형인 동부 품종육성에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V. unguiculata subsp. sesquipedalis (L.) Verdc.는 asparagus bean 또는 yard-long bean 등으로 불리는데 초형이 대부분 덩굴성이다. 2~4m 정도 자라고 꼬투리가 상당히 길며(30~90㎝) 다육질이다. 또한 꽃이 크고 꼬투리가 비정상적으로 성숙하는데 협실이 완전히 차지 않고 다소 쭈글쭈글한 상태에서 성숙된다. 종피색도 거의가 갈색이며 배꼽이 흰색이고 대립종이 많다. 동부의 염색체수는 2n=22이나 asparagus bean의 경우 2n=24인 것도 있다.
기원
동부의 식물학적 기원
재배종 동부의 기원식물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는 않다. subsp. dekindtiana 및 subsp. mensensis 등의 야생형 동부와 subsp. cylindrica와 subsp. sesquipedalis 등 5아종간에는 교잡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과 V. luteola, V. nilotica등의 다른 Vigna 종과는 전혀 교잡이 이루어지지 않아 야생형 선조식물을 추정하기가 어렵다. 반면에 subsp. cylindrica와 subsp. sesquipedalis는 인도와 극동에는 널리 퍼져있지만 열대 아프리카지역에서는 자생되고 있지 않아 이들이 분화되어 아프리키로부터 인도로 전래되었다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현재 아프리카 지역의 주 재배종인 subsp. unguiculata의 야생형이 아프리카지역에서 진화 및 분화과정을 거쳐 재배종 동부로 발전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
동부의 지리적 기원
나이지리아 중심의 서부아프리카를 동부의 1차적 원산지로 보고 있으며 야생종이 발견되는 동남부 아프리카도 또다른 1차 원산지로 추정하고 있다. 기원전 2,300년경 서아시아로, 기원전 1,500년 경에 인도로 전파되어 인도 중심으로 catjang과 asparagus bean의 새로운 2차 원산지가 형성 되었거나 동남아시아에서 다시 asparagus bean의 2차 원산지가 형성 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 주요 전파경로를 요약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
실제 아프리카에서는 이들 두 아종을 발견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subsp. unguiculata의 원산지는 서부아프리카, subsp. cylindrica 원산지는 인도, subsp. sesquipedalis의 원산지는 동남아 또는 인도로 추정하기도 한다. subsp. unguiculata가 아프리카에 재배되기 시작한 시기는 수수, 진주조(pearl millet)와 더불어 기원전 3000년경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아종의 원산지를 서부아프리카로 한정해야 하느냐, 아니면 적도 북쪽의 잡곡류 주재배지역 전역으로 볼 것이냐 하는 데에는 이견이 있다. |
동부의 지배역사와 전파
원산지로 추정되는 아프리카에서는 기원전 3,000년 경부터 재배되어 오랜 재배역사를 갖고 있다. Vigna unguiculata (L.) Walp. subsp. unguiculata가 아프리카로부터 제일 먼저 전파된 곳은 인도로서 기원전 1,500년 이후 수수, 진주조와 같이 무역로를 따라 전래되었다. 인도에 전래된 subsp. unguiculata로부터 subsp. cylindrica 및 subsp. sesquipedalis가 수많은 선발과정을 거치면서 분화되어 동남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초기에 subsp. cylindrica는 인도에서 사료용 작물로 선발되었으나 지금은 식량작물로 재배되고 있다. subsp. sesquipedalis는 subsp. unguiculata로부터 꼬투리가 납작하고 길며 과육이 많은 계통을 선발하여 분화, 형성된 아종이다. 지금은 동남아와 호주에 다양한 자원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전세계 열대지역 전역에 고루 재배되며 채소로 이용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그리이스에서 기원전 300년 경에 기록이 있으며, 인도 또는 중앙아프리카에서 이집트를 경유하여 직접 전파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미국으로는 유럽을 거쳐 16세기 경에 전파되었는데 1800년대에 처음으로 버어지니아주에서 재배되었다. 원래 동부의 영명은 cavalance였으나 미국으로 전래된 이후 cowpea라는 이름이 새로 만들어 졌다. 중국으로의 전파경로와 시기는 분명하지 않은데 13~14세기의 농서에 처음으로 동부에 대한 기록이 나오나 실제 재배는 9세기 이전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본에는 9세기 경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다. 동부는 서부아프리카의 가장 중요한 콩과 작물로서 나이지리아가 주 생산국이며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 등에서도 재배된다. catjang은 인도와 스리랑카에 주로 재배되고 있고 asparagus bean은 인도,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서 재배된다. |
한국의 동부재배
중국에서는 13~14세기 경의 농서에 처음으로 동부가 기재되었으며 중국으로부터 9세기 경에 일본으로 전래되었다고 하나 우리 나라에 전래된 시기나 경로는 분명치 않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동부는 건조 종실을 이용하는 보통동부가 주를 이루며, 일부 농가에서 채소용인 장협동부를 도입하여 재배하고 있다. 동부 생산통계는 1990년 이후에는 집계되지 않고 있으나 행정자료에 의하면 1989년에는 2,691ha에서 3,071톤이 생산되었다고 한다. 동부는 전국적으로 비교적 고루 재배되고 있으나 경기, 전남, 경북지역에서 다소 많이 재배된다.
동부의 특성해설
형태
종실은 신장형이 많으나, 능형, 구형 또는 타원형에 가까운 것도 있다. 종피는 대부분 광택이 있고 미끄럽다. 종실의 길이는 4~12mm이나, 보통동부는 6~9mm, 단협동부는 5~6mm, 장협동부는 8~12mm이다. 종실의 색은 백색, 홍색, 홍백색, 자색, 흑색, 흑백의 중간색인 것이 있다. 배꼽은 뚜렷하고 길이는 약 3mm이며, 장타원형 또는 원형이다. 100립중은 5~30g이다. |
뿌리 동부는 주근형 식물로 주근은 뚜렷하고 발육도 좋으며, 지면에 가까운 곳에 많은 측근이 분포한다. 주근은 80∼100cm이고, 측근은 길이가 80cm에 달하나, 측근은 주로 표토층 15∼30cm에 분포한다.
줄기 동부의 줄기는 만성형(덩굴성), 반만성형과 직립형이 있다. 줄기의 길이는 직립형은 50∼70cm이며, 만성형은 보통 3m 이상이며, 반만성형은 보통 100∼200cm이다. 채소용인 장협동부는 대부분 만성형이고, 보통 100∼200cm이다. 보통동부와 단협동부의 품종은 다수가 무한생장습성을 가지나 일부 유한생장습성을 가진 것도 있다.
잎 동부의 잎은 자엽, 단엽,복엽으로 나누어진다. 자엽절 위에는 단엽이 양쪽으로 마주 보고 나며, 단엽은 긴심장형에 가깝고 선단은 가늘고 뾰족하다. 단엽절 위에는 1장이 3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진 복엽이 나오며, 복엽은 돌려가며 나고, 잎자루가 비교적 길다. 소엽은 편능형부터 난원형까지 있으며 끝은 아주 뾰족하다. 소엽의 모양이 피침형인 것도 있다. 소엽은 비교적 크고 일반적으로 길이가 6.5∼16cm, 너비가 4∼11cm이다. 복엽의 기부와 소엽의 자루 부분에는 탁엽이 있다. 엽병은 길이가 5∼25cm이고, 보통 농록색이나 자색인 것도 있다. 엽병이 없는 것도 있으나 소엽은 있고, 탁엽이 없는 소엽도 있다. |
꽃 동부의 화서는 몇 개의 단독의 총상화서가 복총상화서를 구성한다. 엽액부위에서 15∼20cm의 긴 꽃자루가 나와 그 선단부에 여러 개의 꽃이 달린다. 꽃은 콩꽃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훨씬 크고, 색깔은 백색, 담황색, 담자색, 분홍색 등 다양하며 화기의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다.
꼬투리 꼬투리는 편형 또는 원통형으로 미숙시에는 농록, 담록, 또는 자홍색이나 성숙 후에는 황갈색, 농황갈색, 농갈색, 흑색 등으로 변한다. 단협동부는 꼬투리가 직립하거나 위로 뻗고 길이가 7.5∼12.5cm이며, 보통동부는 꼬투리가 아래로 처지고 길이가 20∼30cm이며, 장협동부는 꼬투리가 부드럽고 팽창하며 길이가 30∼90cm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100cm에 달하는 것도 있다. 한 꼬투리에는 일반적으로 8∼20립이 들어 있다. |
생리 및 생태
동부는 콩에 비하여 고온발아율이 높은 편이며, 배축의 신장도 매우 빠르나, 저온에는 매우 약하다. 발아온도는 보통 20~40℃ 범위이지만 45℃에서 발아하는 것도 있으며, 발아적온은 25~28℃이다. |
동부의 생육일수는 보통 80~160일이지만 열대지역의 극조생종은 60~70일이다. 개화일수에 비하여 결실일수가 매우 짧은 편인데, 파종 후 40~60일이면 개화가 시작되고, 한 꼬투리의 결실기간은 15~30일이다. 토양 동부는 토양적응성이 비교적 넓으나, 배수양호한 사질양토, 점질양토 및 양토가 좋다. 토양 pH는 5.0∼7.5가 적합하다. 토양수분이 많거나, 산성 또는 알칼리성이 심하면, 뿌리혹박테리아의 생장에 나쁘고, 통기가 나쁘면 뿌리의 호흡에 영향을 받는다. 뿌리혹박테리아가 질소를 고정하므로, 토양이 너무 비옥하면 줄기와 잎의 생장이 지나쳐 꼬투리와 종실의 생산량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토양비옥도는 중정도가 좋으며, 연작은 해로우므로 2∼3년 간격으로 재배하는 것이 좋다.
온도 동부는 고온에는 잘 견디나 저온에는 민감하다. 파종시 토양온도가 10℃ 이상이어야 하며, 종자발아에 요구되는 최저온도는 10∼12℃이다. 발아최적온도는 25∼28℃이며, 식물체가 생장할 수 있는 최적온도는 20∼30℃이다. 기온이 10℃ 이하로 떨어지면 생장이 느려지고 심하면 생장이 정지되는데, 4℃ 이하의 온도에서는 견딜 수가 없다.
수분 동부는 주근이 발달하는 작물로 토양 깊이 들어가고, 흡수력이 강하며, 엽면증산이 비교적 적어, 가뭄에 비교적 잘 견딜 수 있다. 보통동부는 연강수량이 600∼1,500mm인 지역에 많이 재배되며, 강수량이 중간으로 고루 분포하는 곳이 좋다.
일조 동부는 단일성작물로 일장이 짧아지면 착협부위가 낮아지고, 개화결실이 빨라진다. 그러나 동부에는 단일성, 중일성 및 장일성의 3종류가 있다. 동부의 개화에 가장 알맞는 일장은 8∼14시간이다. |
재배법 |
재래종은 작부체계상 다소 불리한 점도 있지만 조생종 또는 극조생종의 경우에는 한 두 차례 수확하는 가을 채소의 전작 또는 맥류나 담배 등의 후작으로도 재배할 수 있다. |
파종
동부는 타화수정율이 높은 편이므로 종자의 선별에 유의해야 하며, 건전하고 충실한 것을 채종해야 한다. 종자는 베노람수화제를 종자무게의 0.4% 정도 되게 분의소독하여 파종한다. 동부는 저온발아성이 약하므로 파종기가 남부지방에서는 4월 하순, 중부지방에서는 5월 상순이며, 도입직립종은 6월 하순경이다. 파종방법으로는 직립 조생종일수록 밀식하는 것이 유리하고 덩굴성 만생종일수록 소식하는 것이 유리하다. 직립형의 경우 적파(5월 5일 파종)에서는 휴폭 60cm에 주간거리 25cm 간격으로, 만파(6월 20일 파종)에서는 휴폭 60cm에 주간거리 20cm 간격으로 2립씩 점파하고(충북농업기술원, 1984-1985). 만성형의 경우 휴폭 60∼70cm에 주간거리 30∼45cm로 점파하되, 파종깊이는 3∼5cm로 한다. 토양이 너무 습하면 생육에 나쁘므로 배수가 잘되도록 해야 한다. |
시비 및 관리
동부는 질소, 인산, 가리에 대한 비료반응이 매우 커서, 종실 100kg당 질소 5kg, 인산 1.7kg, 칼리 4.8kg을 흡수한다. 동부는 뿌리혹박테리아의 질소고정 능력이 콩에 비하여 크게 떨어지므로 10a당 질소질비료를 3∼5kg을 기비로 시용하고, 인산 및 가리는 콩에 준하여 시비한다. 장협동부의 경우는 여러 번 꼬투리를 수확하므로 추비를 시용하여야 결실이 잘 되므로 매 20일 간격으로 질소 10∼15kg과 칼리를 5kg씩(중국의 예) 시용한다. |
재배관리
출아 후 초엽전개기에 솎기(1주에 1본만 남김)와 보식을 하며, 파종후 3주에 1차로 중경제초작업을 한다. 이때 너무 깊게 갈아주면 뿌리가 끊어져 나쁘다. 이후는 밭의 잡초 생육정도를 보고 제초를 한다. 만성형 품종의 경우에는 지주를 세워 준다.
동부는 제초제에 비교적 민감한데, 우리나라에서는 동부에 시용할 수 있는 제초제로 공시된 것이 없다. 외국의 경우 파종전 토양혼화제로 trifluralin이 시용되고, 파종후 출아전 처리제로 chloramben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동부의 경우 적심을 하지 않으나, 장협동부는 영양생장을 조절하고 개화결실을 촉진하기 위하여 적심을 한다. 적심을 할 때 제1화서 이하의 측지는 전부 제거한다. 주경이 2∼3m가 넘게 되면 적심을 하여 주경의 생장을 억제 시킨다.
작부체계
동부는 재래 조생종 또는 극조생종의 경우는 가을채소의 전작 또는 맥류나 담배의 후작으로 재배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재래종은 만성형으로 지주를 세워야 하는 노력이 필요하여 일반 농가에서는 흔히 울타리나 다른 작물과의 간, 혼작형태로 소규모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병해충방제
병해
잘록병(위고병;Rhizoctoniasolani)·동부모자이크바이러스병·탄저병( Choanephoracucurbitarum) 등이 |
충해
팥명나방, 진딧물, 톱다리허리노린재 등이 발생하여 꼬투리나 줄기를 가해하고 바이러스를 옮기며, 저장 중에는 바구미가 심히 발생하므로 살충제를 살포하는 등 콩이나 팥에 준하여 방제한다. |
수확탈곡조제
수확 및 조제 종실을 이용하는 보통동부는 꼬투리가 황갈색으로 변화되면 성숙한 것이므로 성숙하는 대로 3∼4회 정도 수확한 후 뽑거나 예취 건조한 후 탈곡한다. 수확이 늦어지면 병이 심하게 발생하고 종실의 품질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제때에 수확하여야 한다. 탈곡한 종실은 잘 건조시켜야 저장 중에 바구미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장협동부는 여름에는 개화 후 12∼14일이면 풋꼬투리의 수확이 가능하고, 가을에는 개화 후 20일경에 풋꼬투리의 수확이 가능하다. 장협동부의 어린 꼬투리는 8℃에서 약 8일간 저장이 가능하다. |
품종 |
우리나라에서는 동부에 관한 육종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장려품종은 없으며, 근래에 충북농업기술원에서 도입, 선발한 서원동부가 우량품종으로 일부 보급되기도 하였으나, 현재에는 보급되고 있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동부는 보통동부로 대부분이 만성종이어서 지주 재배나 울타리 또는 밭가장자리에서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는 보통동부나 장협동부의 직립형을 도입하면 동부의 재배가 용이해질 것으로 생각한다.
재래종으로는 숙기에 따라 조숙종인 유월동부, 올동부, 봄동부, 만숙종인 서리동부, 두번 파종해서 수확 할 수 있는 두번동부가 있다. 또한 모양에 따라 굼벵이동부, 기생동부, 각시동부, 어금니동부 등이 있고, 껍질 색깔에 따라 백색동부, 검은동부, 검정눈백이, 흰양대, 붉은양대, 개파리동부 등이 있다. |
출처: ♡ 연만이 가족사랑 ♡ 원문보기 글쓴이: 연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