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설 연휴 때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이라는 영화를 보았다.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감동적인 영화라고 해서 가족과 함께 보기로 했다. 처음에는 청소년이 볼만한 영화가 없을까? 기웃거리다가 별로 내키지 않았지만 가족과 함께 보는 데 의미를 두고 보게 되었다. 막상 보니까 아주 재미있었다. 스포츠를 소재로 해서 그런지 순간순간 스릴이 있고 힘이 느껴졌다.
영화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을 배경으로 만들어졌다. 핸드볼 선수인 미숙(문소리)은 남편이 진 빚 때문에 빚쟁이들로부터 도망 다닌다. 선수로 뛰기에는 나이도 많고 어린 자녀도 있어 핸드볼을 그만 두었다. 그런데 올림픽을 앞둔 국가대표팀이 너무 약해서 한미숙 선수를 설득해 데려오려고 한다. 미숙은 결국 국가대표팀에 합류하고 고된 훈련을 시작한다.
한편 새로 부임한 감독 대행 혜경(김정은)의 강압적인 훈련방법으로인해 내부에 분열이 생기고, 결국 혜경은 팀내 분열과 이혼녀라는 이유로 경질된다. 이후 새로운 감독 안승필(엄태웅)이 팀을 맡고, 초기엔 마찰도 빚지만 결국 아테네올림픽 결승까지 올라가게 된다. 하지만 2번의 연장전 끝에 승부 던지기에서 1점 차이로 지게 된다. 심판의 오심도 있었고 운도 없는 것 같아 정말 아쉬웠다. 금메달은 따지 못하고 은메달에 그쳤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때도 이렇게 덴마크에 졌다고 한다.
주인공 한미숙의 실제 모델은 오성옥 선수라고 들었다. 영화에서는 남편이 빚을 지고 빚쟁이들로부터 도망 다니는 신세이고, 부부사이가 좋지 않지만 실제로는 사이가 아주 좋다는 내용을 신문에서 보았다. 그는 영화 속 캐릭터와 자신의 실제 모습이 다른데도 자꾸 주인공의 삶과 일치시키는 시선이 불편하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이 “최고의 승부수를 던졌던 박진감 넘치는 선수로만 기억되면 더 바랄 것이 없다”고 했다.
영화를 보며 나는 한미숙 선수의 남편이 참 못마땅했다. 부인이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 선수촌에 데려가 감독한테 모욕을 당하는데 ‘아이라도 돌봐주지’라는 생각을 했다.
김정은이 연기한 영화 속 실제모델은 임오경 선수로 알고 있다. 배우 김정은은 임오경역을 제대로 소화하려고 8kg이나 찌웠다고 했다. 그래서인지 건강한 운동선수의 모습이었다. 배역을 위해 그 정도의 살을 찌울 수 있다니 정말 대단하다. 좋은 연기를 위해 살을 빼는 경우는 많이 봐왔지만 살을 찌우는 일은 드문 것 같다.
임오경 선수는 오는 6월 창단되는 서울시청 핸드볼팀 사령탑을 맞는다고 한다. 일본실업팀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활동하다 14년 만에 한국으로 돌아온단다. 영화 속에서 보여주었던 그 투혼이라면 정말 잘 할 것 같다. 그동안의 경험을 유감없이 발휘해 우리나라의 핸드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영화 속 감독(엄태웅)은 초반에는 나이 많은 아줌마 선수들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보았다. 세대교체가 안 되느니 집안 일로 연습을 소홀히 한다고 나무랐다. 그러나 경험 많은 아줌마들의 저력에 서서히 태도가 바뀌기 시작했다. 특히 결승전에서 그가 선수들에게 한 “결승전에서 비록 지더라도 낙담하지 말라. 여러분은 지금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을 맞았다”는 말은 참 인상적이었다.
체력이 바닥나 코트에 쓰러질 것 같았던 선수들. 의지 하나로 꿋꿋하게 일어나 달렸지만 마지막 승부 던지기에서 아깝게 골을 놓친 우리 팀이었다. ‘그 한 골만 넣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내내 든다. 한 골이 그렇게 소중할 줄이야. 단 한 골로 금메달과 은메달이 결정되는 순간을 보며 작은 것의 소중함을 실감했다.
이 영화를 만든 사람은 임순례 감독이다. 그는 한국 영화계의 6번째 여성 감독이다. 여성감독이 만든 멋진 여성들의 이야기를 보며 여성들의 힘이 정말 대단하다는 것을 느낀다. 핸드볼이 한국에서는 비인기 종목이지만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이라는 영화를 통해서 핸드볼에 관심이 간다. 나 말고 다른 많은 사람들도 이 영화를 보고 핸드볼에 관심이 갈 것이다. 나와 같은 청소년들에게도 이 영화를 꼭 권해주고 싶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매진하는 모습을 본받고 싶다.
아테네 올림픽 때 나는 핸드볼에 별로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핸드볼 선수들을 열심히 응원할 것이다. 이 영화를 통해 핸드볼 선수들의 애환과 투지를 보았기에 더욱 관심이 간다. 일본을 이기고 베이징올림픽 진출권을 따낸 우리나라 핸드볼 대표팀이 금메달을 목에 걸 수 있도록 열심히 응원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