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엔니오: 더 마에스트로
엔니오 모리코네의 작업실엔 피아노가 없다. 그는 음반과 책, 악보들로 가득 찬 방의 책상에서
오선지에 곡을 쓴다. 음표 몇 개를 그려 넣고 형형히 쳐다본다. 말 그대로 눈빛이 종이 뒷면을
뚫을 기세다. 그의 음악은 악기 속에 있지 않고 머릿속에 있었다. 머릿속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그의 전두엽을 자극해 손을 조종했다. 그의 음악은 뇌를 가득 채우고 흘러넘쳤다. 퍼 올리거나
짜내지 않았다.
'엔니오: 더 마에스트로(7월 5일 개봉)'는 20세기 위대한 영화음악가 엔니오 모리코네의 일대기를
다룬 다큐멘터리다. '미션'과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시네마 천국' 등의 아름다운 메인
테마곡을 떠올리는 사람들은 모리코네를 뛰어난 멜로디 작곡가로 기억하겠지만 이 영화는 말한다.
모리코네는 주세페 베르디가 존 케이지를 만난 경우였다고.
'시네마 천국'의 주세페 토르나토레 감독이 연출한 이 영화는 2020년 92세로 숨지기 얼마 전
정정했던 모리코네와 한 인터뷰를 뼈대로 한다. 의사가 되고 싶었던 모리코네는 아버지 때문에
어려서 트럼펫을 배웠다. 아버지는 중고 트럼펫을 사주면서 "이걸로 가족을 부양하라"고 했다.
모리코네는 "돈을 벌려고 음악을 하는 건 끔찍하게 굴욕적이었다"고 말했다.
귀에 쏙 박히는 멜로디를 써내는 건 그에게 작곡이 아니었다. 모리코네는 존 케이지의 기괴한
공연을 보고 정반대의 길로 갔다. 그가 1964년부터 활동했던 전위음악 그룹 '일 그루포
(Il Gruppo)'는 악기가 낼 수 있는 가장 괴이쩍은 소리를 합주하는 팀이었다(존 케이지의 명언
'우리가 내는 모든 소리가 음악이다'를 실천했다).
그는 서부영화에 휘파람(황야의 무법자)을 처음 넣었고 코요테 울음소리에서 '석양의 무법자'
테마곡을 떠올렸다. 빈 깡통과 타자기 두들기는 소리도 악보로 그렸다. 세르조 레오네 감독과
함께 만든 스파게티 웨스턴 영화들이 할리우드에 충격을 줄 때 모리코네의 음악이 흘렀다.
그는 20세기 이탈리아 영화가 왜 강한지 설명해 주는 인물이기도 하다. 수많은 영화의 명장면이
모리코네 음악과 함께 쉴 새 없이 스크린에 펼쳐진다.
모리코네의 멜로디에는 끌과 망치, 쇳물과 불꽃 같은 대장장이의 기운이 있다. 남들이 간 길과
내가 한번 갔던 길은 절대로 다시 가지 않겠다는 고집불통이 서려 있다. 완성된 용 그림에 눈알
그려 넣는 데만 석 달씩 걸린 듯한 음악이다. 그것이 평생 숲과 강만 쳐다보며 멜로디 만든다는
B급 발라드 작곡가들과 그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칸초네 편곡으로 밥벌이하던 젊은 시절부터 베토벤과 바흐를 차용했던 모리코네는 오랫동안
자존심에 상처를 입었다. 정통 클래식계에서는 그를 '딴따라' 취급했고 미국 아카데미는 다섯 번
연속 그를 후보에 올렸다가 물먹였다. 그러나 이 영화는 모리코네의 음악이 200년 뒤 또 다른
클래식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은 영화에서 말했다.
"엔니오의 음악은 또 한 편의 영화 같았습니다."
정확하다. 때론 모리코네 음악에 영화를 입힌 것 같았다고 했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https://youtu.be/JlQh4PeB8PE?si=ptEgx_dSWPguBpb-
- 한현우 문화전문기자, ‘카톡방’이야기’에서 받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