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내 고장의 어제와 오늘 |
전라남도 남해안 중앙부에 위치한 장흥군은 소백산맥의 끝자락으로서 북쪽은 비교적 고지대를 이루고 남쪽으로 점점 낮아지나 해발 800m 이하의 산들이 산재해 있는 고장이다. 영암 금정면 궁성산에서 발원한 탐진강이 흐르는 유역에는 기름진 평야가 펼쳐 있고, 득량만을 끼고 113㎞에 달하는 해안선을 따라 청정해역이 동·남쪽을 두르고 있어 해조류·어패류의 수산자원이 풍부하다. 미·맥이 주된 농업이나 온난한 기후로 최근에는 시설원예와 축산이 크게 성행하고 있다. 특히 전국 제일의 표고버섯 생산지로 유명하여 표고음료를 비롯한 표고간장과 된장, 고추장이 특산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고려 때 목은 이색이 “옛부터 낙토라 일컬어져 백성은 순박하고 일은 간편하다” 하였고 “사람들은 절의를 숭상한다” 하여 이곳 사람들이 순박하면서도 충절과 의리를 중히 여기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장흥군 연표>
시 대 |
연 대 |
주 요 사 항 |
고대 |
마한 |
건마국 |
삼국 |
백제 |
오차현, 고마미지현, 계천현, 마사량현 |
통일신라 |
757 |
경덕왕 16년, 오아현, 마읍현, 계수현, 대노현 |
고려 |
940 |
태조 23년, 정안현, 수녕현, 장택현, 회령현으로 개칭 |
1124 |
인종2년, 장흥부로 승격(4개현과 탐진현을 속현으로) |
1379 |
우왕 5년, 왜구의 침입으로 철야현으로 치소 옮김 |
조선 |
1392 |
태조 원년, 수녕현 중령성으로 치소 옮김 |
1413 |
태종 13년, 장흥도호부로 승격 |
1895 |
고종 32년, 장흥군으로 개편 |
근·현대 |
1914 |
천포, 회령, 웅치 3개면 보성군으로 이속 |
1940 |
장흥면 장흥읍으로 승격 |
1980 |
관산·대덕면 각각 읍으로 승격 |
1986 |
대덕읍에서 회진면 분면 |
 제암산 철쭉제
|
|
2. 역사문화자원 |
역사적 사건과 현장 ◈공예태후 임씨(恭睿太后 任氏)와 장흥 고려 17대 임금 인종(仁宗)은 왕위에 올랐으나 외조부인 이자겸의 세도로 왕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다가 이자겸이 척준경, 최사전에 의하여 물러나자 이자겸의 딸인 왕후도 배척했다. 새 왕비에 장흥의 임원후의 딸이 천거되었으니 그가 곧 공예태후이다. 공예태후의 첫째 아들이 의종이 되었고, 셋째 아들이 명종, 다섯째 아들이 신종이 되었다. 공예태후의 출생지를 “오래도록 번창하라”하여 장흥(長興)이라 이름하고 지부사(知府使)로 승격시켜 인근의 보성과 강진지역 일부를 포함시켰다. 이후 조선조까지 장흥부로 명맥을 유지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현재의 장흥군으로 관할구역과 명칭이 바뀌었다.
◈동학농민전쟁과 장흥 1894년 9월 13일 삼례에서 2차 기포를 단행한 전봉준 동학농민군이 공주 우금치에서 패하자 남으로 밀려 그해 12월 4일 패주한 동학농민군이 합세하여 벽사역과 12월 5일 장흥부를 점령하여 장흥부사와 수성장졸 96명이 희생당하였다. 강진현과 병영성까지 점령하였으나, 12월 15일 마침내 경군과 일본군의 신무기에 눌려 수백명의 사상자를 내고 패하였다. 이 농민항쟁의 정신은 이후 일제 침략에 대한 저항운동으로 승화되었다.
 동학농민혁명기념탑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위원개(1226∼1292) 법호 충지. 시호 원감국사. 문과급제하여 금직옥당 벼슬에 이르렀으나 불문에 귀의하여 감로사 주지. 송광사 6대조사가 되었다. 유집 『원감국사가송』.
◈백광홍(1522∼1556) 호 기봉. 문과 급제, 평안 평사 역임. 기행가사의 효시 「관서별곡」을 지음, 『기봉문집』이 전함.
◈백광훈(1537∼1582) 호 옥봉. 벼슬을 마다하고 일생을 시문에 전념, 삼당시인의 한사람 『옥봉집』이 전함.
◈정경달(1542∼1602) 호 반곡. 문과급제. 임진왜란 때 선산 부사. 『난중일기』 를 씀. 백사 이항복과 같이 접반사로 활약, 유집으로 『반곡집』이 전함.
◈위백규(1727∼1798) 호 존재. 생원복시를 끝으로 대과를 포기하고 학문에 전념. 호남실학의 대가. 정조의 피천으로 옥과현감을 지냄. 유집으로 『존재집』이 전함.
 존재 위백규 동상 ◈이방언(1838∼1895) 동학 접주. 동학농민전쟁 때 황룡강 전투에서 공을 세움. 장흥 석대전 전투에서 패하고 순절.
◈김재계(1888∼1938) 호는 성암. 천도교 중앙총부 금융관장. 장흥 3·1만세운동 주도. 독립자금 모금. 멸왜 기도 사건으로 투옥, 순사.
◈최상채(1903∼1973) 경성의전 졸업. 의학박사, 일본규슈대학 의학부·교토 대학 의학부에서 연구활동, 전남대학교 총장 역임.
◈김두헌(1903∼1981) 동경제국대학 졸업. 한국의 문학박사 1호(서울대학), 윤리학 전공. 숙명여대 총장, 전북대 총장, 건국대 대학원장 역임.
◈고영완(1914∼1991) 호는 무계. 일본전수학원 수료. 독립운동으로 옥고를 치름. 초대 장흥군수. 국회의원, 장흥중학교 설립에 사재 출연. 서예가.
◈ 체징(속성 김씨)(體澄(속성 金氏), 아호:보조선사(普照禪師), 생존시대:804 ∼ 880, 출생지:웅진(지금의 충남 공주), 유적지:보림사(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상세보기] ◈ 공예태후 임씨(恭睿太后 任氏, 본관:장흥, 생존시대:1109 ∼ 1184, 출생지:장흥군 관산읍 옥당리 당동, 유적지:장흥군 관산읍 옥당리 당동) [상세보기] ◈ 위원개(魏元凱, 본관:장흥, 아호:원감국사 충지(圓鑑國師 止), 생존시대:1226 ∼ 1292, 출생지:장흥군 장흥읍 동동리, 유적지:순천 송광사 감로암) [상세보기] ◈ 마천목(馬天牧, 본관:장흥, 아호:충정공(忠靖公), 생존시대:1358 ∼ 1431, 출생지:장흥 사자산 아래 모원촌 진천제, 유적지:장흥군 안양면 학송리) [상세보기] ◈ 김필(본관:영광, 아호:설암(雪巖), 생존시대:1426 ∼ 1470, 출생지:장흥군 부산면 흥용동, 유적지:장흥군 장흥읍 영전리 사인정) [상세보기] ◈ 백수장(白壽長, 본관:수원, 생존시대:1481 ∼ 1543, 출생지:장흥군 안양면 기산리 동촌, 유적지:장흥군 안양면 동계리) [상세보기] ◈ 김광원(金光遠, 본관:영광, 아호:월봉(月峯), 생존시대:1478 ∼ 1550, 출생지:장흥군 부산면 흥룡동, 유적지:장흥군 장흥읍 예양리 예양서원) [상세보기] ◈ 유호인(劉好仁, 본관:강릉, 아호:천방(天放) 또는 산당(山堂), 생존시대:1502 ∼ 1584, 출생지:장흥군 장동면(?), 유적지:장흥군 장흥읍 예양리 예양서원) [상세보기] ◈ 김경추(金景秋, 본관:김해, 아호:송정(松汀), 생존시대:1519 ∼ 1612, 출생지:장흥군 장동면(?), 유적지:장흥군 장동면 봉동리 양강사) [상세보기] ◈ 백광홍(白光弘, 본관:수원, 아호:기봉(岐峰), 생존시대:1522 ∼ 1556, 출생지:장흥군 안양면 기산리, 유적지:장흥군 안양면 동계리 기양사) [상세보기] ◈ 문위세(文緯世, 본관:남평, 아호:풍암(楓菴), 생존시대:1534 ∼ 1600, 출생지:장흥군 부산면 부춘리, 유적지:장흥군 유치면 늑룡리 강성서원) [상세보기] ◈ 백광훈(白光勳, 본관:수원, 아호:옥봉(玉峯), 생존시대:1537 ∼ 1582, 출생지:장흥군 안양면 기산리, 유적지:해남군 옥천면 송산리 유물관) [상세보기] ◈ 마하수(馬河秀, 본관:장흥, 아호:주촌(舟村), 생존시대:1538 ∼ 1597, 출생지:장흥군 안양면 학송리, 유적지:해남군 문래면 명량해전유적지) [상세보기] ◈ 정경달(丁景達, 본관:영광, 아호:반곡(盤谷), 생존시대:1542 ∼ 1602, 출생지:장흥군 장동면 반산리, 유적지:장흥군 장동면 반산리) [상세보기] ◈ 문기방(文紀房, 본관:남평, 아호:농재(聾齋), 생존시대:1548 ∼ 1597, 출생지:장흥군 부산면 금자리, 유적지:장흥군 부산면 금자리 의열사) [상세보기] ◈ 정명세(鄭名世, 본관:진주, 아호:독곡(獨谷), 생존시대:1550 ∼ 1593, 출생지:장흥군 장흥읍, 유적지:장흥군 용산면 계산리) [상세보기] ◈ 위덕화(魏德和, 본관:장흥, 생존시대:1551 ∼ 1598, 출생지: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유적지: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상세보기] ◈ 위대기(魏大器, 본관:장흥, 생존시대:1559년 출생(선조), 출생지:장흥군 장흥읍 행원리, 유적지:장흥군 장흥읍 행원리) [상세보기] ◈ 김헌(金憲, 본관:광산, 생존시대:1561 ∼ 1592, 출생지:장흥군 장흥읍 행원리, 유적지:장흥군 장흥읍 행원리) [상세보기] ◈ 백한남(白翰南, 본관:수원, 아호:석담(石潭), 생존시대:1567 ∼ 1639, 출생지:보성군 회천면 봉강리, 유적지:장흥군 안양면 동계리) [상세보기] ◈ 김응원(金應遠, 본관:경주, 아호:오우당(五友堂), 생존시대:1569 ∼ 1638, 출생지:장흥군 장흥읍 평장리, 유적지:장흥군 장흥읍 평장리) [상세보기] ◈ 선세강(宣世綱, 본관:보성, 아호:매곡(梅谷), 생존시대:1577 ∼ 1637, 출생지:장흥군 안양면 요곡리, 유적지:장흥군 안양면 요곡리) [상세보기] ◈ 전유추(田有秋, 본관:담양, 아호:송담(松潭), 생존시대:1594 ∼ 1674, 출생지:장흥군 장흥읍 향교동, 유적지:장흥군 장흥읍 영전리) [상세보기] ◈ 이민기(李敏琦, 본관:인천, 아호:만수재(晩守齋), 생존시대:1646 ∼ 1704, 출생지:장흥군 장동면 만년리, 유적지:장흥군 장동면 만년리) [상세보기] ◈ 이중전(李中銓, 본관:인천, 아호:우곡(愚谷), 생존시대:1825 ∼ 1893, 출생지:장흥군 부산면 금자리, 유적지:장흥군 부산면 관한마을) [상세보기] ◈ 위백규(魏伯珪, 본관:장흥, 아호:존재(存齋) 또는 계항(桂巷), 생존시대:1727 ∼ 1798, 출생지: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유적지:죽천사, 영귀서원, 옥계사) [상세보기] ◈ 정두흠(鄭斗欽, 본관:진주, 아호:운암(雲岩), 생존시대:1832 ∼ 1910, 출생지:장흥군 유치면 운월리) [상세보기] ◈ 김한섭(金漢燮, 본관:영광, 아호:오남(吾南), 생존시대:1838 ∼ 1894, 출생지:장흥군 부산면 내안리, 유적지:장흥군 부산면 내안리) [상세보기] ◈ 이방언(李芳彦, 본관:인천, 아호:일명 邦彦, 생존시대:1838 ∼ 1895, 출생지:장흥군 용산면 묵촌리, 유적지:장흥군 용산면 묵촌리) [상세보기] ◈ 김영엽(金永燁, 본관:광산, 아호:치재(痴齋), 생존시대:1869 ∼ 1910, 출생지:장흥군 관산읍 평촌리, 유적지:장흥군 관산읍 평촌리) [상세보기] ◈ 정노수(丁魯壽, 본관:영광, 아호:송포(松浦), 생존시대:1877 ∼ 1965, 출생지:장흥군 관산읍 죽교리, 유적지:장흥군 관산읍 죽교리 학교) [상세보기] ◈ 김재계(金在桂, 본관:김해, 아호:성암(聲菴), 생존시대:1888 ∼ 1938, 출생지:장흥군 회진면 신상리) [상세보기] ◈ 최상채(崔相彩, 본관:탐진, 생존시대:1903 ∼ 1973, 출생지:장흥군 장흥읍 동동리, 유적지:전남대학교) [상세보기] ◈ 김두헌(金斗憲, 생존시대:1903 ∼ 1981, 출생지:장흥군 장흥읍 원도리, 유적지:전북대학교) [상세보기] ◈ 최옥삼(崔玉三, 아호:옥산(玉山), 생존시대:1905 ∼ 1956(?), 출생지:장흥군 장흥읍 건산리 518, 유적지:한국국악협회) [상세보기] ◈ 최기현(崔埼炫, 본관:낭주, 생존시대:1913 ∼ 1995, 출생지:보성군 미력면 도계리, 유적지:장평면 용강리) [상세보기] ◈ 고영완(高永完, 본관:장흥, 아호:무계(霧溪), 생존시대:1914 ∼ 1991, 출생지:장흥군 장흥읍 평화리, 유적지:장흥군 장흥읍 평화리) [상세보기]
내 고장의 문화유산 ■ 국보 ◈보림사 3층석탑 및 석등 제44호, 유치면 봉덕리 45
◈보림사 철조비로사나불좌상 제117호, 유치면 봉덕리 45
■ 보물 ◈보림사 동부도 제155호, 유치면 봉덕리 산10-1
◈보림사 서부도 제156호, 유치면 봉덕리 산10-1
◈보림사 보조선사 창성탑 제157호, 유치면 봉덕리 45
◈보림사 보조선사 창성비 제158호, 유치면 봉덕리 45
◈월인석보 권 제25 제745-9호, 유치면 봉덕리 45
◈천관산 3층석탑 제795호, 관산읍 농안리 740
◈금강바라밀경권제일 제1251호, 유치면 봉덕리 45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제1252호, 유치면 봉덕리 45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제1254호, 유치면 봉덕리 45
■ 중요무형문화재 ◈제와장(한형준) 제91호, 안양면 모령리 314-2
■ 중요민속자료 ◈장흥 위계환 가옥 제161호, 관산읍 방촌리 476
■ 천연기념물 ◈용산면 푸조나무 제268호, 용산면 어산리 211-3
◈관산읍 효자송 제356호, 관산읍 옥당리 166-1
■ 유형문화재(이하 도지정) ◈당포앞바다 승첩도 제25호, 관산읍 옥당리 646
◈용화사약사여래좌상 제46호, 장동면 북교리 산 43
◈장흥 사인정 제55호, 장흥읍 송암리 산 359
◈장흥 장천재 제72호, 관산읍 옥당리 산 95
◈장흥 향교 제107호, 장흥읍 교촌리 4
◈천관사 석등 제134호, 관산읍 농안리 740
◈천관사 5층 석탑 제135호, 관산읍 농안리 740
■ 유형문화재 ◈고산사 석불입상 제161호, 장평면 용강리 산 29-5
◈반계사 유물일괄 제164호, 장동면 반산리 339
◈장흥전의상암지석불입상 제191호, 유치면 봉덕리 45
◈장흥 구룡리 마애여래좌상 제193호, 부산면 구룡리 산 52호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계초심학 외 12건 제194호, 유치면 봉덕리 45
◈장흥 기양사 선시 보주 제207호, 안양면 기산리 65
◈장흥연곡서원 노봉선생문집 목판 제218호, 장흥읍 원도리 46
■ 기념물 ◈연곡서원 제18호, 장흥읍 원도리 46
◈장흥조선백자도요지 제30호, 용산면 월송리 126
◈수인산성 제59호, 유치면 대리 산 225
◈부춘정원림 제67호, 부산면 부춘리 365
◈용호정원림 제68호, 부산면 용반리 545
◈장흥방촌 지석묘군 제134호, 관산읍 방촌리 588-1
◈장흥읍의 후박나무 제169호, 장흥읍 삼산리 324
■ 민속자료 ◈장흥 위성룡 가옥 제6호, 관산읍 방촌리 477
◈장흥 위성탁 가옥 제7호, 관산읍 방촌리 855
■ 문화재자료 ◈영석재 제69호, 용산면 어산리 855
◈강성서원 제70호, 유치면 늑용리 665
◈만수사 제71호 ,장동면 만년리 599
◈월산재 제73호, 용산면 모산리 122
◈장흥회령진성 제144호, 회진면 회진리 85-2
◈장흥 고영완 가옥 제161호, 장흥읍 평화리 89
◈동백정 제169호, 장동면 만년리 707
◈미륵사 석불 제171호, 안양면 기산리 632-1
◈장흥탑산사지 석등 제196호, 대덕읍 연지리 산 91
|
|
3. 생활문화자원 |
전통생활민속 ◈고싸움과 줄다리기 해마다 음력 정월 보름에 장흥읍의 동편과 서편 마을사람들이 무거운 고를 메고 우렁찬 고소리를 내면서 시가지를 돌다가 탐진강 백사장에서 만나 고를 추켜 세우고 고싸움을 벌인다. 온종일 싸움을 벌이다가 암줄인 서부줄이 이긴 것으로 끝을 낸다. 고싸움이 끝나면 두 고를 이어 붙여 줄다리기를 한다. 한줄에 150∼200여 명의 장정들이 고싸움을 하고 줄다리기를 하는 대장관을 이룬다. 고싸움과 줄다리기는 수도작 재배권에서 행해지는 민속놀이로 시화연풍을 기원 하는 놀이이다.
 장흥 고싸움 ◈버꾸농악 전라우도농악에 속하지만 장흥지방에서 행해지는 독특한 북놀음으로 북바닥과 북통을 치는 특이한 가락으로 웅장 경쾌하고 신명이 많은 농악이다. 제의와 축원, 두레, 연희 등에 행해지는데 특히 정월보름 마당밟기 때에 절정을 이룬다.
◈중노배기 바깥출입을 함부로 할 수 없었던 옛날 규수들이 박물장수를 통해 이웃마을 규수 들과 내통하여 팔월추석 달밝은 밤에 서로 만나 밤새워 즐기던 민속의 하나다. 초청한 쪽에서 동구밖까지 마중을 나가 맞아들이고 음식을 후하게 대접한 후에 강강술래와 술래잡기 기타 놀음 놀이로 밤새워 놀다가 새벽녘에 헤어진다. 이 중노배기는 출입이 자유롭지 않았던 여성들에게는 대단한 축제였다.
구전설화 ◈보림사 연기설화 보조선사가 가지산 밑에 절을 지으려 하니 매화보살(선녀)이 나타나 아홉 마리의 용때문에 살 수 없다고 하소연하자 부적을 붙이니 용이 모두 하늘로 오르는데 유독 백룡이 나가지 않고 버티자 선사가 다시 주문을 외우니 꼬리를 치며 하늘로 올랐다. 이때 꼬리를 힘차게 치는 바람에 산자락이 갈라져 용소가 되었다 한다. 또한 설화는 선사가 절을 지으려는 터가 연못이 되어 있어 이 연못을 메우려고 일부러 눈병을 퍼뜨려 눈병을 고치고자 한 사람은 돌과 숯덩이를 연못에 던지라고 하였다. 이 소문을 듣고 눈병 환자가 구름같이 몰려와 연못을 메워 이곳에 보림사를 지었다 한다.
◈억불산 며느리 바위 옛날 어느 스님이 마을로 시주를 하러 왔다. 어느 부자집에 들르니 주인은 시주는 하지 않고 오물로 덤태기를 씌워 밖으로 쫓아냈다. 마음씨 착한이 며느리가 오물을 닦아주고 시아버지 몰래 곡식을 가져다 주었다. 스님은 그 며느리의 착한 마음에 감동되어 며칠후면 이곳이 물바다가 될터이니 누가 불러도 뒤돌아보지 말고 몸을 피하라고 일러주었다. 그날이 오자 과연 맑던 날씨가 갑자기 어두워지면서 폭우가 쏟아지고 마을은 삽시간에 물에 잠기는 것이었다. 며느리는 시아버지에게 피신하자고 졸랐으나 욕심꾸러기 시아버지는 막무가내였다. 할 수 없이 며느리는 혼자 길을 떠나는데 뒤에서 시아버지가 애절하게 부르는 것이었다. 며느리는 중이 일러준 말을 깜박 잊고 뒤를 돌아본 순간 돌로 굳어져 바위가 되었다 한다. 그때 며느리가 던진 수건이 날아가 건산리 뒷산이 되었다 한다.
◈제암산 형제바위 효성이 지극한 형제가 늙고 병이드신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산나물을 캐러 갔 다가 동생이 발을 헛디뎌 그만 낭떠러지에서 떨어지고 말았다. 이를 본 형이 동생을 구하려고 손을 뻗혔으나 기진한 형도 낭떠러지에서 떨어지고 말았다. 결국 형제는 굶주리고 지친 나머지 그 자리에 부둥켜 안고 죽고 말았다. 마을 사람들이 불쌍히 여겨 장사를 지내 주었는데 그 자리에 형제를 닮은 바위가 부둥켜 안고 서 있었다. 이후로는 이곳에 나물캐러 오는 사람이 다친 일이 없다고 한다.
주민의 종교생활 ◈마을에 풍요를 가져다 주고 각종 질병과 재앙으로부터 마을을 보호해 줄 것을 기원하는 당제(동제)가 오늘날까지 행해지고 있다. ·관산읍 방촌리 별신제, 토지지신 (허수아비), 음 1월15일 ·부산면 호계리 별신제, 천지인신, 음 1월14일 ·대덕읍 옹암리 당제, 당할머니(위패), 음 1월14일 ·용산면 상발남포 당제, 당할머니(홍청황색실), 음 1월 14일 ·안양면 사촌리 당제, 당할머니 (초상화), 음 1월14일 ·안양면 수문리 당제, 당할아버지·할머니(초상화), 음 1월14일 ·장평면 청룡리 당산제, 당할머니(당산 나무), 음 1월15일 ·용산면 운주리 당산제, 당할머니(당선나무), 음 1월15일
◈군내 종교현황 불교 사찰 32개소, 개신교 교회 68개소, 천주교 성당 4개소, 천도교 1개소, 원불교 1개소, 기타종교 2개소
주민의 생활권역 ◈장흥읍 매일시장 장흥읍 예양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2·7일의 5일장과 함께 성시를 이루고 있다.
◈중앙로·건산로 상가 장흥읍 건산리에 있으며 마트 3개소를 비롯 슈퍼, 각종 도매상, 음식점, 숙박업소 등이 밀집해 있다.
지역의 별미음식 ◈바지락회 안양면 수문리 청정해역에서 채취한 바지락으로 요리한 별미음식. 살이 굵고 윤기가 있는 이곳의 바지락 살과 당근, 파, 마늘, 설탕, 참기름 등 양념을 식초와 고추장으로 버무려 맛을 내는데 새콤하고도 달콤한 그 맛은 일품이다.
◈키조개회 득량만의 청정해역에서 채취한 키조개는 맛과 영양이 좋아 국내에서는 물론 일본에서 선호하고있다. 이 키조개로 무친 회는 바지락회와 함께 별미로 알려져 있다.
 바지락회와 키조개
|
|
4. 예술문화자원 |
지역문화예술행사 ◈보림문화제 [상세정보] ·격년제로 시행되는데 홀수해에 거행한다. ·주최·주관 : 보림문화제 집행위원회 ☎ (061)860-0254 ·개최시기 : 5월 1일 ·행사종목 : 고싸움, 줄다리기, 농악, 강강술래, 가장행렬, 씨름, 그네뛰기, 널뛰기, 기타 체육행사
◈전통 가무악 전국제전 ·주최 : 사단법인 판소리 고법보존회 ·개최시기 : 매년 11월 ·대회종목 : 판소리, 고법, 기악, 무용, 외국인부, 신인부 ·특별공연 : 장흥대학 국악부
◈제암산 철쭉제 ·주최 : 장흥문화동호인회, 장흥제암산악회 ·개최시기 : 매년 5월 초순 ·행사종목 : 제암산 산신제, 선아 선발 ☎ (061)862-7762
◈전국 패러글라이딩 대회 ·주최 : 패러글라이딩 동호회 ·개최시기 : 매년 8월말
◈천관산 억새제 ·주 최 : 장흥산악회 ·개최시기 : 매년 10월 중순 ·행사종목 : 천관산 산신제, 천관녀 선발대회 ☎ (061)863-0311
지역문화예술단체 ◈장흥문화동호인회 회원수 90명, 장흥읍 기양리 153-7 ☎ (061)862-7762
◈별곡문학회 회원수 35명, 장흥읍 기양리 153-7 ☎ (061)862-7762
◈장흥군사진회 회원수 25명, 장흥읍 건산리 752-5 ☎ (061)863-6613
◈구메구메미술회 회원수 25명, 장흥읍 건산리 5구 큰솔미술학원 ☎ (061)862-2822
◈장흥국악원 회원수 5명, 장흥읍 건산 6구 노인복지회관 ☎ (061)863-9296
문화예술교육·연구기관 ◈장흥대학 국악과·도자기과 교수 4명, 학생 120명, 해외 초청공연, 중국도자대학자매결연. 장흥군 안양면 기산리 89번지 ☎ (061)860-8705 tribune@changhung.ac.kr
지역문화예술 시상제도 ◈장흥군민의 상 지역개발상, 지역봉사상, 선행상, 교육문화상, 체육상 등 부문별로 시상하는데 향토문화발전에 공이 있는 지역주민에게는 교육 문화부문 군민의상이 수여된다.·주관처 : 장흥군
지역출신 예술인 ■ 문학 ◈김준경 부산면 내안리, 1927년생. 동아일보 신춘문예 동시 「연」으로 당선, 세종아동문학상 수상. 『언덕배기 아이들』, 『토함산 노랑 제비꽃』 등 시집 다수
◈정재완 안양면 학송리, 1936년생. 현대문학에 「날개」를 발표 등단, 문학박사, 전남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전남문화상 수상, 시집 『빗발같이 햇발같이』, 『흙의 가슴』
◈송기숙 용산면 포곡리, 1935년생. 「백의민족」으로 18회 현대문학상 수상, 장편소설 「도깨비 잔치」, 「녹두장군」 등 다수. 전남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현대사 사료연구소장
◈이청준 회진면 진목리, 1939년생. 사상계 「퇴원」으로 당선, 이상문학상, 동인문학상, 한국일보창작문학상, 대한민국 문학상등 다수. 장편소설 『당신들의 천국』, 『서편제』, 『축제』 등 50여편. 서울대학교 문리대 독문과 졸업
◈한승원 회진면 신상리, 1941년생. 대한일보 신춘문예 「목선」으로 당선, 이상문학상·현대문학상·대한민국문학상·한국문학작가상 등 다수. 소설집『앞산도 첩첩하고』, 『아버지와 아들』, 『아제아제 바라아제』, 『동학제』 등 다수 서라벌예대 문예창작과 졸업
◈김석중 부산면 용반리, 1948년생. 도의문화저작상. 장편소설 「바람」 당선, 소설집 『꿈꾸는 물새』, 『푸른산 하얀강』 등 다수
◈이승우 관산읍 삼산리, 1959년생. 한국문학상 신인상 당선, 대산문학상 「생의 이면」으로 수상, 소설집 『일식에 대하여』, 『에리직톤의 초상』 등 다수. 서울 신학대학 졸업
◈백성우 안양면 동계리, 1958년생. 광주일보 신춘문예 당선, 소설집 『단식요법』, 『님 떠난후』, 『성탄전야』 외 다수. 조선대 대학원 국어국문과 졸업.
■미술 ◈이창주 장평면 우산리. 한국현대동양화대전 초대출품, 개인전 6회, 전남도전 초대작가, 심사위원장 역임. 조선대학교 미술대학장 역임.
◈장찬홍 안양면 학송리. 의제 허백련 사사, 국전 입선 5회, 전남도전초대작가, 심사위원 역임. 한국서예대전 문인화 우수상 수상, 연진회 회원, 연진회 미술원 전임강사.
◈김선두 관산읍 평촌리. 중앙대 회화과 졸업. 중앙미술대전대상, 현대 한국화 회화전, 현 중앙대학교 강사
◈조우정 장흥읍 남동리. 이화여대 졸업, 서화대전 최우수상, 국전 입선, 동아미술대전 입선.
◈이창현 대덕읍 도청리, 1925년생. 전라남도전 추천작가, 광주시전 추천작가, 국전3회 입선.
◈박경래 장평면 녹양리, 1951년생. 한국미술대전 초대작가, 백제미술대상전 초대작가, 전남도전 수 회 입상.
◈김승남 관산읍 남송리, 1949년생. 국전 3회 입선 및 특선, 한국미협회원, 전남도전 2회 특선.
◈이봉준 장동면 만년리. 동방연서원 수료, 여초 김웅현 선생에게 사사, 국제서예전 입선.
■ 음악(국악) ◈유영애 장흥읍 남외리, 1949년생. 조상현선생에게 사사, 남원춘향제 전국판소리 경연대회 대통령상 수상, 헝가리. 유고순방, 정부 수교공연 등 다수
지역소재 예술작품 ◈「자랏골의 비가」 송기숙의 장편소설, 고향 용산면 포곡리가 작품 배경
◈「녹두장군」 송기숙의 장편소설. 동학농민전쟁이 배경 (장흥의 동학농민전쟁도 포함)
◈「동학제」 한승원의 동학농민소설. 장흥의 동학농민 운동이 주무대
◈「새터말 사람들」 한승원의 장편소설. 고향 회진면 신상리가 주무대
◈「서편제」 이청준의 장편소설. 장흥지방의 서편제가 주제
◈「축제」 이청준의 장편소설. 회진면 진목리를 배경으로한 자전 소설
|
|
5. 관광, 여가문화자원 |
관광자원 ◈회진의 바다낚시 장흥군 회진면 일대의 해변과 노력도 주변의 청정해역과 풍부한 어족자원으로 바다낚시가 성행하고 있다. 돔, 농어, 갯장어 등이 유명하다.
◈남도끝의 명산 천관산 해발 723m의 산으로 기암괴석이 볼만하다. 정상부 능선 40만 평에는 억새가 물결처럼 바람에 날리면 장관이다. 10월에는 ‘억새재’ 행사가 열린다. 멀리 조망되는 다도해와 함께 가을 경치가 특히 빼어나다. ‘장천재’와 ‘천관산’, ‘탑산사’ 등이 있다. 관산읍이나 대덕읍에서 등산한다.
 장흥 천관산 ◈제암산의 철쭉 군락지 해발 807m의 산으로 보성군과 경계에 있다. 5월이면 능선일대가 철쭉이 붉게 만발하여 일대 장관을 이룬다. 해마다 5월 초순이면 이곳에서 ‘철쭉제’ 행사를 갖는다. 제암산 바로 남쪽에는 사자산이 있어 두산을 등반할 수 있다. 산의 중간 지점까지 임도가 있어 등산에는 불편함이 없다. 사자산에서는 매년 8월 패러글라이딩 대회가 열리고 있다.
◈선종의 제일가람 보림사 유치면 봉덕리에 있는 사찰로 동양 3보림 (인도, 중국, 한국)의 하나다. 신라 경덕왕 18년(759)에 개창하여 우리나라에 선종이 제일 먼저 들어온 사찰이다. 철조비로사나불좌상과 3층석탑과 석등의 국보와 보물, 지방유형문화재가 있다. 사찰주변에는 맑은 계곡이 있어 여름철 피서객이 줄을 잇는다. 보림사 뒤의 가지산은 짙은 숲을 뚫는 등산로가 있으며 주변에 식당과 숙박업소가 있다.
 보림사 전경 ◈유치자연휴양림 유치면 신월리 월암마을에 있다. 천연 원시림과 야생화가 집단으로 분포되어 있어 자연학습장으로는 최적이며 암벽과 기암을 흐르는 계곡의 물소리가 청량감을 더해준다. 콘도식 통나무집이 있어 사시 사철 휴양하기에 편리한 곳이다.
◈탐진강변의 아름다운 정자 부춘정 부산면 부춘리에 있는 정각으로 1598년 경에 세워졌다. 탐진강 푸른물을 바라보며 주변 수목들과 더불어 절경을 이룬다. 강안에 있는 바위에 옥봉 백광훈이 썼다는 ‘용호(龍虎)’라는 초서체 글씨가 돋보인다. 한여름 더위를 식히는 명소다.
 장흥 부춘정
관광시설 ◈방촌문화마을과 장천재 관산읍 방촌리는 선사유적을 비롯하여 각종 유적이 널리 분포되어 있는 곳으로 문화관광부에서 맨처음 문화마을로 지정한 곳이다. 고풍스런 보존가옥과 더불어 주변의 문화유적을 손쉽게 학습할 수 있는 마을이다. 이 마을과 멀지 않은 곳에 존재 위백규 선생이 글을 가르쳤던 장천재라는 서재가 있고 주변에는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이 연이어 있어 찾는 이가 많다. 천관산을 오르는 등산로가 있어 등산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장흥읍 건산 ·유일장 ☎ (061)862-7733 ·탐진각 ☎ (061)863-1231- 3 ·가든온천 ☎ (061)863-8626 ·청풍각모텔 ☎ (061)862-8070 ·그랜드파크모텔 ☎ (061)863-0042 ·한솔모텔 ☎ (061)862-8336
◈관산읍 옥당 ·로얄가든 ☎ (061)867-3535
◈관산읍 고마 ·한일관광모텔 ☎ (061)867-6684
◈대덕읍 연정 ·대우장 ☎ (061)867-1188
◈회진면 회진 ·해광장 ☎ (061)867-3520 ·수성장 여관 ☎ (061)867-5999
◈유치면 용문 ·모텔보림온천 ☎ (061)867-1991 ·천지파크모텔 ☎ (061)864-4336
관광코스 ◈문화·역사탐방코스 유치보림사 → 강성서원 → 수인산성 → 연곡서원 → 장흥향교 → 동학탑 → 방촌 문화마을(고인돌·존재 생가) → 장천재
◈휴양·관광코스 유치휴양림 → 부춘정 → 수문·용곡(유람선, 생선회) → 수문해수욕장 → 남포 「축제」 영화 촬영현장 → 장환도 낚시터 → 천관산(휴양림) → 회진 바다낚시터(유람선)
관광쇼핑 ◈표고와 표고음료 ☎ (061)860-0569 부산면 월만리, 표고유통공사 ※ 표고, 표고음료, 표고고추장, 표고된장
◈특산물 전시홍보판매장 장흥군청 ☎ (061)863-7071∼8 ※ 표고와 표고제품, 해산물 기타 토산품
 장흥 표고
관광안내소 ◈장흥군청 문화관광과 ☎ (061)860-0208
◈장흥문화원 ☎ (061)863-6362, 863-8078
여가시설 ◈유치자연휴양림 유치 단산리 임업협동조합 표고 재배단지를 가로질러 5㎞ 지점의 유치면 신월리에 위치. 100핵타의 면적에 리끼다, 편백, 참나무 등의 숲이 울창한 곳. 산막, 물놀이장, 놀이터 등을 갖추고 있다. ☎ (061)863-6350
 유치자연휴양림 ◈천관산 자연휴양림 관산읍 부평에 위치. 관산읍에서 강진군 칠량면으로 가는 길목에서 좌측으로 비포장도로를 타고 들어간다. 287헥타의 면적에 동백나무 군락지를 비롯하여 각종 수목들이 우거져 있어 쾌적한 삼림욕장이다. 산막, 취사장, 임간수련장 시설이 있다. ☎ (061)867-6974
◈수문해수욕장 안양면 수문리에 위치 장흥읍에서 동남쪽으로 16㎞지점 득량만 해안에 있다. 득량만의 깨끗한 바다와 백사장, 소나무 숲이 어우러져 전원같은 경관을 이루고 있다. 키조개, 피조개, 바지락 등 조개류와 각종 생선이 풍부한 곳으로 횟집이 밀집해 있으며 해안도로를 따라 장재도와 연결되어 있어 바다낚시를 즐길수 있는 곳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