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절인연(時節因緣)
불가 용어에 시절인연(時節因緣)이란 게 있습니다. 중국 명말 항주 운서산에 기거한 승려 운서주굉(雲棲株宏: 1535~1615)이 조사법어를 모아 편찬한 『선관책진(禪關策進)』에, “시절인연이 도래(到來)하면 자연히 부딪혀 깨쳐서 소리가 나듯 척척 들어맞으며 곧장 깨어나 나가게 된다”라는 구절에 연유한다.
불교에서는 삼시업(三時業)이라 하여 업을 지어 과보를 받는 시간적 차이를 세 가지로 나누고 있다. 즉 ①순현업(順現業)은 현생에 짓고 현생에 받는 것이고, ②순생업(順生業)은 전생에 짓고 금생에 받거나 금생에 짓고 내생에 받는 것이며, ③순후업(順後業)은 여러 생에 걸쳐서 받는 것이다.
예를 들면 봄에 볍씨를 심어 가을에 수확하는 것은 현생에 짓고 업을 받는 것이기에 순현업에 해당되고, 순생업은 전생의 인연에 의해 금생에 부부가 되거나, 이번생의 연분으로 내생에 부부가 되는 것에 해당하고, 순후업은 선업이나 죄업이 커서 여러 생 동안 공덕이나 죄업을 받거나, 몇 생을 건너 받는 것을 말한다. 현대에는 기회와 때가 올 때 일이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시절인연(時節因緣)
모든 인연에는 오고 가는 시기가 있다는 뜻입니다. 굳이 애쓰지 않아도, 만나게 될 인연은 만나게 되어 있고, 무진장 애를 써도 만나지 못할 인연은 만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사람이나 일, 물건과의 만남도, 또한 어떤 깨달음과의 만남도 그 때가 있는 법입니다. 아무리 만나고 싶은 사람이 있어도, 혹은 갖고 싶은 것이 있어도, 시절 인연이 무르익지 않으면 바로 옆에 두고도 만날 수 없고, 손에 넣을 수 없는 법입니다.
만나고 싶지 않아도, 갖고 싶지 않아도, 시절의 때를 만나면 기어코 만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지요. 헤어짐도 마찬가지죠. 헤어지는 것은 인연이 딱 거기까지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이든 재물이든 내 품 안에, 내 손 안에서 영원히 머무는 것은 하나도 없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재물 때문에 속상해 하거나, 인간관계 때문에 섭섭해 할 이유가 하나도 없다는 것이지요. 삶은 순간순간 그 순간을 놓치지 않고 깨어서 살아야 합니다.
출처 : 한국문화대백과사전, 법정 스님 글 참조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