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에 효과있는 생약과 방제
대만에서 CHM(Chinese Herbal Medicine)을 고관절 골절 치료에 활용한 환자 556명과 CHM을 치료에 활용하지 않은 환자 556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전체 사망 누적 빈도, 재입원율, 재수술율, 처방패턴을 분석한 연구에서 속단이 가장 핵심적인 생약으로 밝혀졌으며 속단, 두충, 골쇄보, 소경활혈탕, 독활기생탕이 주요 처방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또한 CNKI(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의 소아골절처방 패턴을 분석한 국내 연구에 따르면 당귀, 홍화, 골쇄보, 작약, 도인, 천궁, 유향, 단삼, 삼칠로 나타났다.
약국 일반약으로 사용가능한 한방방제
1. 양혈장근건보환
양혈장근건보환의 구성본초와 효능을 보면 다음과 같다.
- 숙지황: 철분흡수를 촉진하고 적혈구가 많아지게 하며 빈혈을 치료한다.
- 당귀: 혈액성분 조정으로 덩어리진 혈액을 흩어지게 하며 피가 잘 돌게 한다.
- 백작약: 피로물질 배출을 도와 피로감을 감소시키며, 근육통을 줄인다.
- 귀판: 뼈와 대장을 튼튼히 하고 보음보혈, 심신(心腎)을 보한다.
- 우슬: 다른 약 성분들을 무릎 관절이나 하지로 잘 들어가게 유도한다.
- 두충: 근육이나 뼈의 조직 생성을 원활하고 단단하게 해준다.
- 구기자: 간신을 보하고 폐를 촉촉하게 하여 산소공급을 돕고 눈귀를 밝게 한다.
- 토사자: 간신을 보하고 신정과 골수를 채우며 눈을 밝게 한다.
- 보골지: 온명문(溫命門) 난단전(暖丹田) 납기(納氣)로 단전을 따뜻하게 하여 기운을 아래로 보낸다.
- 골쇄보: 보신(補腎), 활혈지혈(活血止血)
- 황백: 배꼽 이하의 염증이나 긴장을 완화한다.
- 창출: 몸 전체 및 배꼽 이하의 수분 대사를 촉진한다.
- 인삼: 골다공증 개선 효과
- 산약: 에스트로겐 결핍성 골다공증 억제 효과, 면역조절 효과, 항종양 효과
- 방풍: 미세 혈관을 풀어주어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땀을 조정한다.
- 오미자: 호흡기능을 돕고 체열, 염증을 가라앉힌다.
- 황기: 새살을 잘 나게하고 상처를 잘 아물게 한다. 땀이 많은 경우 땀을 줄인다. 피부의 기능을 강하게 한다.
- 강활: 골다공증, 면역강화, 거습작용
이 처방은 보비(補脾) 보신(補腎), 활혈(活血), 어혈과 담습의 제거라는 골다공증 치유의 한방원리에 충실한 방제이다. 양혈장근건보환 등의 한약방제가 장내 칼슘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논문에서 소장 상피세포주(Caco-2)에 양혈장근건보환을 적용 시 100㎍/mL의 농도에서 칼슘 섭취량이 23%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이 처방에 포함된 보골지는 활성성분인 psoralen이 연골세포의 생존능을 용량,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보였으며 Wnt/β-catenin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함으로써 연골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골관절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인 바 있다.
약국에서 활용 시에 양혈장근건보환에 삼칠과 MSM, 콘드로이친, 비타민D, 칼슘, 비타민K2 등을 병용하면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꼭 특정 처방이 아니라도 간신을 보하고 위장관계의 흡수, 재흡수 기능을 강화하며 혈액순환을 돕고 혈관의 막힘을 방지하면서 뼈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를 활용하면 골다공증에 대해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2. 온신산
온신산은 숙지황, 우슬, 육종용, 오미자, 파극천, 두충, 복령, 맥문동, 건강, 감초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숙지황, 우슬, 육종용, 파극천이 신허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온신산의 溫腎(온신)은 신이 차가워져 있는 것, 즉 무거워져 있고 굳어져 있는 것을 풀어서 에너지를 주겠다는 의미의 방제로 주로 허리가 아픈 것 허리가 무거운 것, 그리고 남성의 양사불거(발기부전)를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전통 의학에서는 腎(신)이 허하고 차가우면 무겁고 아프게 된다고 한다.
현대의학에서는 신장(kidney)의 이상에 의한 것이 아닌 허리 통증은 일반적으로 등 중앙에 영향을 미치며 한쪽 엉덩이에서 느껴지고 신경이 영향을 받은 경우 다리 아래쪽으로 퍼지는 통증으로 보며 신장의 이상에 의한 통증은 갈비뼈 아래, 척추의 오른쪽 또는 왼쪽에서 더 깊게 느껴지며 옆구리나 복부, 사타구니 부위로 펴지는 통증이라고 한다.
전통 의학에서는 신장이 허하면 허리고 무릎이고 아프게 된다고 보는데 그 때의 개념은 이러한 위치적인 개념도 있지만, 신장의 천골 부위가 튼튼하지 않으면 허리 부위가 튼튼하지 않다는 개념과 신장의 기능이 떨어지면 근본적으로 뼈나 골수가 잘 생성되지 못하고 강화되지 못한다는 개념을 토대로 치료적인 접근을 한다.
신장의 양기가 줄어들어있다는 건 근육의 수축과 이완과도 관련이 있다.
전통의학에서는 신장이 올려붙어 있으면 등어리가 아파서 잘 폈다 구부렸다 하지못하는 질환을 앓게 되고 신장이 내려붙어 있거나 한쪽으로 치우쳐 있으면 허리와 엉치가 아프게 된다고 보았다.
신양허가 있는 환자는 이 중에 등이 아파서 잘 폈다 구부렸다 하지못하는 환자이다.
신양이 일상에서 허하게 되는건 ① 무거운 것을 드는 일을 많이 한 것 ② 남녀관계를 많이 한 것 ③ 땀이 많이 난 것 ④ 그 이후 찬물을 복용한 것 ⑤ 습기가 있는 땅에 앉아 있는 것 등이 있다.
신양을 보하는 기본적인 처방은 팔미지황탕이고 온신산은 그보다 더 근골격에 좋은 처방이다.
팔미지황탕도 신양을 보하므로 허리와 무릎에 원리상 좋은 처방이고 당연히 허리가 아플 때 무릎이 아플 때 쓰는 처방이지만 온신산은 신양이 허해서 생긴 허리와 등골이 아픈 증상을 치료하는 데 직접적인 목적이 있다.
온신산은 팔미지황탕이 하는 역할인 신양을 보해서 남성의 정기를 강화하는 역할 또한 할 수 있다.
온신산이 남성에게 좋은 이유는 이른바 정이라고 하는 호르몬 생성에 도움이 되는 생약 뿐만 아니라 구성 생약 중에 복신, 맥문동 등이 정신을 안정시켜서 남성 불능에 도움이 된다.
이는 팔미지황탕에는 부족한 역할이다.
그리고 오미자 맥문동은 폐에도 좋은 생약구성이다.
온신산의 파극천과 육종용은 발기부전에 좋은 생약으로 테스토스테론 레벨, NO, cAMP 등을 활성화하고 TGF-β1/Smad2 경로를 억제하여 담습을 제거한다.
담습이라는 건 체액 중의 찌꺼기 노폐체액이라고 할 수 있는데 TGF-β1/Smad2 경로가 억제되면 체액의 섬유증 등이 억제된다.
담습이 쌓이는 체질이 남성 기능이 좋지 않다고 보는게 전통의학의 이론인데, 물살이 찌는 것, 노폐수액이 빠져나가지 않고 몸에 달라 붙어 있는 것 등은 전통의학의 이론상 [기허] 환자이고 나중에 [양허]가 되는 환자이다.
기허라는 건 단순히 힘이 없고 이런 것을 뜻하는게 아니다. 전통의학의 기허는 지금의 개념으로 보면 대사가 잘 안되는 것을 포함한다.
TGF-β1/Smad2 경로가 억제되면 발기부전 또한 개선되는데 UDCA 가 그러한 역할을 한다.
생약 중에 담즙 분비가 잘 되게 하는 것, 간기능에 도움되는 생약 역시 유사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이 된다.
그리고 앞서 기술한 것처럼 [파극천과 육종용은 테스토스테론 레벨, NO, cAMP 등을 활성화하고 TGF-β1/Smad2 경로를 억제하는 생약 조합] 이다.
숙지황, 두충, 우슬은 보음 역할을 하는데 [글루코사민, 콘드로이친과 유사한 기능에 골수 생성 그리고 관절 강화가 되는 물질] 이라고 이미지를 떠올리면 적합하다.
정리하면 온신산은 특히 허리와 등의 통증 및 근육강화에 도움이 되고 무릎 관절 강화에 도움이 되고 남성 기능에 도움이 되는 구성의 방제이다.
MSM, 미네랄, 항산화제 등과 사용하기 좋다.
환자 상담과 치유 과정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