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6·25 전사자 유해에 경례…"73년 지났지만 조국 품 모셔 뜻깊다"
김승민별 스토리 • 1시간 전
국군 전사자에 경례하는 윤 대통령 [성남=뉴시스] 홍효식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국군 전사자 유해 봉환식에서 국군 전사자에 경례하고 있다. 2023.07.26. yesphoto@newsis.com©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은 26일 고(故) 최임락 일병 등 6·25전쟁 국군 전사자 유해 7위(位) 국내 봉환 행사를 주관하고 "73년이라는 세월이 지났지만, 고 최임락 일병을 조국의 품으로 다시 모시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미국 하와이에서 국군 전사자 유해 7위를 싣고 출발한 우리 공군 특별수송기를 서울공항에서 맞이했다. 대통령이 유해 봉환 행사를 직접 주관한 것은 역대 다섯번째, 윤 대통령은 취임 후 첫번째다.
신범철 국방부 차관이 하와이에서 미국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으로부터 유해를 인수했다. 수송기는 한국 방공식별구역(KADIZ) 진입시부터 국군 F-35A 편대 호위를 받으며 고 최임락 일병 고향인 울산 상공을 거쳐 서울공항에 착륙했다.
유해 봉환 행사에는 고 최임락 일병의 막내동생 최용(79)씨와 제수 이복순씨가 함께했다. 최용씨 아들 최호종 해군 상사는 하와이에서부터 백부 유해를 모셨다.
윤 대통령은 유해 봉환 행사에 앞서 고 최임락 일병 유족을 만나 위로하고, 유해가 서울공항에 도착하는 즉시 군 최고의 예식으로 맞이하도록 행사를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군 예포 21발 발사와 함께 거수경례를 하며 국군 전사자 유해를 맞았다. 윤 대통령은 이어 고 최임락 일병에게 참전기장을 수여한 뒤, 국립서울현충원으로 떠나는 운구 차량에 다시 경례했다.
고 최임락 일병 동생 최용씨는 형의 관 앞에서 "긴 세월이 지났지만 지금이라도 돌아오셔서 고맙습니다. 이제 나라 걱정은 마시고 우리 땅에서 편히 쉬시이소"라고 편지를 읽었다.
윤 대통령 '국군 전사자 유해 봉환식' [성남=뉴시스] 홍효식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국군 전사자 유해 봉환식에서 고 최임락 일병의 유해에 참전기장을 수여하고 있다. 2023.07.26. yesphoto@newsis.com© 뉴시스
1931년생인 고 최임락 일병은 19세에 육군에 자원입대해 인천상륙작전에 참전했고 1950년 12월 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했다. 형인 고 최상락 하사 역시 1950년 8월 영덕-포항 전투에서 전사했다.
이날 미국에서 국내로 봉환된 유해는 6·25전쟁 당시 미군이 수습해 하와이에 안장한 유해, 미군이 전후 발굴해 하와이에 보관 중이던 유해, 북한에서 미국으로 송환된 유해 중 한미 공동감식을 통해 국군으로 판단된 7위다.
정부는 고 최임락 일병을 제외한 6위에 대해 기록 분석과 정밀감식, DNA 검사 등 신원 확인을 이어간다.
대통령실은 유해 봉환 행사에 대해 "'국가와 국민을 위해 희생한 분을 존중하고 기억하는 나라'를 만들겠다는 대통령 의지로 계획됐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앞서 "나라의 안위와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던진 제복 입은 영웅들을 끝까지 기억하고 예우하는 것은 국가의 책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날 유해 봉환 행사에는 이종섭 국방부 장관, 김승겸 합참의장, 박정환 육군참모총장, 이종호 해군참모총장, 정상화 공군참모총장, 김계환 해병대사령관 등 군 지휘부가 모두 참석했다. 미국 측 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국대사, 폴 라캐머라 한미연합사령관도 자리했다.
첫댓글 예전에 미국에서나 보던 모습을 요즘은 우리 나라에서도 봅니다. 해외에서 나라를 위해 싸우다 희생되신 분들이나 독립 투사 같은 분들의 유해를 조국 땅으로 모시는 일인데.....이걸 우리가 가난할 땐 할 엄두를 못 내다가 이젠 우리도 열심히 모셔옵니다.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하는 건데도 기분이 좋습니다. 부지런히 발굴하고 찾아서 다 모셔와야 지요. 당신들의 희생으로 발전한 조국 땅에 모셔지면 호국 영령도 하늘에서 환하게 웃을 겁니다.
공지사항을 봐주십시오... 정치적인 글, 사회 뉴스는 지양해주시길 바랍니다. 메일과 쪽지를 모두 수신거부로 해놓으셔서.. 이렇게 댓글로 남깁니다. 계속해서 올릴 시에는 강제 퇴장 할 수도 있음을 말씀드립니다. 제발... 신앙적인 이야기만 해주십시오.
예~~알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