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를 지난 옛길은 경북 상주시 낙동면으로 들어선다. 낙동은 조선시대 낙동역이 있었던 곳이다.
영남과 호남지역의
세곡이 이 곳을 거쳐 한양으로 올라갔다. 지금은 낙동강변에 몇몇 여관과 술집만이 남아 있다. 낙동은 상주의 동쪽을 뜻한다.
따라서
낙동강도 상주의 동쪽을 흐르는 강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
부치당고개 아래의 주막 백두점낙동마을에서
8㎞쯤 올라가면 부치당고개에 다다른다. 낙동강을 건너 이곳까지 온 길손이 힘이 들어 쉬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부치당은
불현이라는 한자에서 나온 말로 절이나 암자가 있어 붙여졌다는 의견을 제시하는 상주 향토사학자들도 있다. 그러나 지금은 절이나 암자는 보이지 않고
고개 휴게소라는 쉼터만 남아 오가는 운전자들을 맞고 있다.
부치당고개를 지나면 백두점 마을이 나온다. 조희열(58) 상주
청리초등학교 교장은 “백두점은 옛날 주막 주인중 한 명이 백발이었던 데서 유래되었다고 하나 이는 한자의 뜻을 그대로 풀이해 놓은 말장난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부티가 부치, 백두로 변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따라서 백두점은 부치당고개 아래에 있는 주막이라는 뜻이다.”라고
주장했다.
●
견훤의 아버지 아자개가 있었던 병풍산성옛길은 이곳에서 쉼터 휴게소를 지나 성골고개로 들어선다.
이 고개는 지금 25번 국도와
중부내륙고속도로가 만나는 지점이다. 고개라는 생각이 들지 않을 정도로 평평하다. 동쪽으로는 병풍산성이 있는 병풍산이
있고 서쪽으로는 식산과 갑장산을 지나
백두대간으로 이어진다.
조선
광해군때 부제학을 지낸 이준이 쓴 ‘상산지’에는 병풍산성에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의 아버지 아자개가 있었다고 적혀 있다.
성골고개를 넘은 옛길은 병풍산 자락 서쪽을
휘감으며 헌신동 ‘서울 나드리길´로 접어든다. 이곳은 말 그대로 조선시대 서울로 가는 나들이길이다.
조 교장은 “지금은 주막도 없고
길도 없어 상주 사람들에겐 이 길이 잊혀진 이름이다. 하지만 구한말 지도(1895년 측량)에는 ‘서울 나드리길’이라고 기록되어 있다.”고
말했다.
중부내륙고속도로 상주IC와 임진왜란때 활약한 매헌 정기룡 장군의 유물이 있는 충의사를 지나면 상주시 낙상동에 위치한
나원마을에 다다른다. 이 마을에서 평생을 살았다는 김정동(72)씨는 “옛날에는 낙원이나 나은으로 불렸다. 그러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낙상동으로 마을 이름이 바뀐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곳은 조선시대 낙원역이 있었다. 조선후기에 만들어진
‘상주목읍지’에는 이 역에 중마 2필, 짐 싣는 말 2필, 역리 111명, 남종 16명, 여종 6명이 있었던 것으로 적혀 있다. 마을 뒤
100여m 지점 산기슭에는 제사를 지냈던 마당이 남아 있었으나 중부내륙고속도로가 지나면서 없어졌다.
●
조형물이 없는 원흥리
솟대낙상동 뒷산 기슭을 돌아 경북선 백원역 방향으로 가다 보면 중간지점에 넓은 평야지대가 나타난다. 새릿들 즉 원흥들이다.
강경모(55) 상주향교회 사무국장은 “이곳은 삼한시대부터 매년 한두 차례 징병과 재앙을 쫓기 위해 제사를 지낸 소도 지역이다. 제사 도중에는
죄인도 처벌하지 않았다. 언제부터인지 몰라도
향나무 두 그루로 세워진 솟대가 있다.”고 말했다. 솟대의 높이는 큰 것은 4.1m, 밑둘레 66㎝이며 작은 것은
높이 3.7m, 밑둘레 48㎝이다. 솟대 앞에 제단으로 석상이 있다. 이곳의 솟대는 다른 곳과는 달리 조형물이 없다.
백원역에서
국도 3호선을 타고 올라가면 연봉정이 나온다. 길손들은 이곳에서 쉬었다가 원터마을로 접어든다.
여기에는 조선시대 행인의 편의를 위해
송원이라는 숙박시설이 있었다. 마을 뒷산에는 고려 전기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석조 관세음보살입상이 있다.
당시 관세음보살상은 대부분
좌불이지만 이 불상은 단독불로 입상이라는 특징이 있다.‘상산지’에는 원터마을 뒤에는 큰 석불이 있고 그 옆에는 샘물이 바위 구멍 사이로
용출한다. 물은 아무리 심한 가뭄에도 줄지 않고 겨울에는 더운 물 여름에는 찬 물이 솟는다고 기록돼 있다.
원터마을에서 솔티고개를
넘은 옛길은 상주시 함창읍 신덕리 용골마을 앞 넓은 들판을 가로질러
태봉산 좌측 밑으로 향한다. 강 사무국장은 “태봉은 해발 105.5m의 조그마한 산이다. 조선시대 광해군 원년에
왕자의 태를 봉안하였다.1932년 태실은 도굴을 당해 지금은 아무것도 없다.”고 설명했다.
태봉산 좌측에서 이안천을 건너 덕통1리로
들어간다. 이곳에는 조선시대 유곡도 찰방의 지휘를 받던 덕통역이 있었다. 몽골의 침공으로 안동까지 피난했던
공민왕이 전쟁이 끝난 뒤 개성으로 돌아가면서 잠시 머물렀다고 한다.
큰 말 2필, 중 말 2필, 짐 싣는
말 4필과 역리 45명, 여종 11명이 있었다. 고종 건양 원년인 1896년에 폐지되었다.
●
군사적 요지인
당교덕통리에서 옛길은 윤직리 논을 가로질러 상주시 함창읍과 문경시의 경계다리인 당교로 들어간다. 일명 땟다리 또는
때다리라고 부른다. 이곳은 군사 작전상 매우 중요한 곳으로 여겨왔다.
최근 문경시로 편입되면서 진입도로 국도변에 ‘당교 사적비’라는
표석만 세워져 있다.
곽희상(52) 상주시 문화재담당은 “신라와 함께 백제와 고구려를 함락시킨 당나라 소정방이 신라를 치려는
속셈으로 당교에 군사를 주둔시켰다. 신라의
김유신 장군이 그 꾀를 알고 당나라 병사들에게 취하도록 향연을 베풀고 당군을 모두 죽여 묻었다. 그래서 이 곳을
당교라고 부르기도 한다.”고 말했다. 조 교장은 “소정방도 이곳 전투에서 죽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교 전투 이후 소정방의 행적이 전혀 기록돼
있지 않다는 것이 그 이유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당나라 2인자인 소정방이 신라군에 의해 죽은 것이 망신스러워 당이 이를 은폐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당교를 건넌 옛길은 경북선을 가로질러 문경으로 넘어간다.
■ 공갈못의
유래‘상주 함창 공갈못에/연밥 따는 저 큰 애기/연밥 줄밥 내 따줄게/요 내 품에 잠들어라/잠들기는 늦잖아도/연밥
따기 한철일세.’
경북 상주지방에 구전돼 오는 채련요다. 이같이 상주에는 공갈못과 관련된 노래와 전설이 많다. 공갈못은 공검지라고도
알려져 있다. 삼한시대 3대 저수지 가운데 하나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공검이라는 큰 못이 있었는 데 고려 명종 25년(1195년) 상주 사록 최정빈이 축대를 쌓아
저수지를 만들었다고 기록돼 있다. 이 못을 축조할 때 공갈이라는 아이를 묻고 둑을 쌓았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상산지’에는 공갈못 둑의
길이가 860보이고 못 주위의 길이가 1만 6647척이라고 적혀 있다. 또 못에 물이 차면 수심이 다섯 길이나 되었다고
한다.
‘저승에 가도 공갈못을 구경하지 못한 사람은 이승으로 되돌려 보낸다.’는 말이 전해 내려올 정도로 공갈못의 풍광은
빼어났다.‘함창읍지’에는 이 못의 서반에는 몇 리에 걸쳐 연꽃이 피어 있으며 마치 중국의 전당호를 방불케 하는 풍취를 지녔다고 적혀 있다.
그러므로 예부터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주옥 같은 글을 남겼다. 전설에 의하면 이 못의 얼음 어느 것을 보고 흉년·풍년을 예측하였다고 한다. 또
정월 열나흗날 밤, 소들이 땀을 흘리는데 그것은 밤에 소들이 못의 얼음을 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볶은 콩 서되를 하나씩 먹으면서
말을 타고 못가를 돌아도 콩이 모자란다는 말도 있다. 하지만 지금은 이같이 아름다운 공갈못을 볼 수 없다. 못은 논으로 변했다. 이곳이
공갈못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은 외롭게 우뚝 서있는 표석과 노래비뿐이다. 이에 따라 상주시는 2010년까지 공갈못을 복원키로 하고 사업을
추진 중이다. 현재 부지매입과 발굴조사를 하고 있다.2008년까지 못을 준설할 계획이다. 이 사업에는 모두 48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