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 산업 특성
□ 정책 및 규제
ㅇ 러시아는 2017년 ‘농업 엔지니어링 발전 전략 2030’ 수립
- 러시아 농업기계 산업은 ‘식품 안전 독트린’이라는 러시아 기본법에서 근거하기 때문에 국가 중추 산업 중 하나이며, 농업기계의 첨단화 및 수입대체화(현지화) 정책의 근간이 되는 전략임.
- 한편, 러시아 농업기계 산업은 러시아 폐차세(Utilization fee)가 부과됨으로써 중요한 정부 수입원이기도 함.
- 발전전략의 추진 배경으로 러시아의 농업기계 당 농업 효율성이 매우 낮다는 점과 노후화가 심각하기 때문임.
· 캐나다의 경우 1000헥타르 기준 16개의 트랙터가 작업 중인 반면 러시아는 2019년 기준 2.9대에 불과하며, 1990년-2015년간 트랙터와 수확기 가동률이 6배 감소
· RosSpetsMash(러시아 농업기계 협회)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농업 기계 중 70%가 사용연수 10년 이상임.
ㅇ 러시아 ‘농업 및 건설업 기계 수출 확대전략 2025’ 추진
- 2017년 8월에 수립된 전략으로 수출 중심 발전 중장기 프로그램임.
- 전략 프로그램 추진 예산은 2030 전략보다 기한이 짧음에도 불구하고 규모(127억 루블: 약 2억 달러)가 큼.
- 예산지급 계획이 연단위로 수립돼 있으며, 단계적인 수출 대상 지역 확대와 단위 수행 사항이 세부적으로 제시됨.
- 2025년 수출 확대 목표는 연 152억 루블(약 2억5000만 달러) 수출규모 및 50개국 수출 달성과 55개 수출기업 창출임.
러시아 ‘농업 엔지니어링 발전전략 2030’과 ‘농업 및 건설업 기계 수출 확대전략 2025’
2030 전략 | 2025 수출 전략 |
기간: 2018-2030년 | 기간: 2018-2025년 |
ㅇ 예산: 674억 루블 다음을 포함: - 2018-2021: 450억 루블 - 2022-2025: 224억 루블 - 2026-2030: 2번째 단계 종료 후 추후 결정 | ㅇ 예산(기본 시나리오): 127억4450만 루블 다음을 포함:
|
ㅇ 단계: - 2018-2021년(운영 중인 농기계의 품질 향상, 가정용 기계에 대한 수요 증가, 제조업체의 재무 안정성 향상 및 대규모 투자를 위한 재정 지원) - 2022-2025년(금융 및 기타 수단을 이용해 수출을 촉진하는 연방 및 지역 기관의 조정된 움직임) - 2026-2030년(행정적 및 비재정적 규제) | ㅇ 단계: - 2018-2022년(EU, CIS, 북미 및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입지 및 공급 확대) - 2023-2025년(중국, 남미, 남아프리카·나이지리아·수단·이집트·알제리· 튀니지 등 아프리카와 같은 진입 고비용 시장에서 안정적 포지셔닝) |
ㅇ 주요 추진사항: 높은 가동률과 새로운 생산능력 국내 농업분야의 기술적인 독립 농기계 건설 및 노동 훈련 등으로 일자리 창출 수출업자를 위한 개선된 재정적 환경 및 기타 환경과 농기계 수출 관련 고부가가치품 증가 국내 및 해외 제조사들의 동등한 경쟁 R&D 투자 증가 및 R&D 결과물에 대한 마케팅 개선 농기계 건설을 위한 부품 생산의 발전 | ㅇ 주요 업무 활동: - 전통적인 러시아 수출 시장에 대한 러시아 농기계 공급량 및 가치 확대 - 신규 수출시장 개척 - 수출 납품 관련 러시아 기업 증가 - 해외 품질 준수, 제품 운송, 해외시장에 대한 첨단 및 혁신 제품 마케팅, 보증기간 연장 등에 대한 지원 보조금(연방예산 포함) |
ㅇ 2030 목표 지표: - 국내 농기계 생산액 2800억 루블 - 러시아 농기계 수출액 930억 루블 - 80~90%의 가동률(생성할 생산 능력 포함) - 트랙터 생산량: 14,598units - 자체 동력 추진 농기계: 15,220 - 국내 제품 시장 점유율: 70% - 국내 생산 수출 비중: 50% - 해당 산업 관련 고용된 디자이너 수: 2000명 - 완제품 원가 중 해외 부품 및 재료 비중: 10% | ㅇ 2025 목표 지표: - 수출액: 152억4600만 루블(2018년: 99억5400만 루블) 혹은 2억4200만 달러(2018년: 1억5800만 달러) - 러시아 농기계 수입국 수: 50개국(2018년: 33개국) - 수출 기업 수: 55개사(2018년: 46개사) |
자료: ‘농업 엔지니어링 발전전략 2030’, ‘농업 및 건설업 기계 수출 발전전략 2025’ 보고서(2030 National Strategy of Developing Agrarian Machinery Engineering, Strategy of Export Development for Agrarian Machine-Building for the Period up to 2025)
□ 최신 기술 동향
ㅇ 러시아의 농업기계는 생산성 대비 가동률이 40%~70%로 첨단화를 통한 가동률 확대 추진
- 러시아 정부는 2018년 2월 10일 정부령 제145호 제정(2020년 4월 9일 최종 개정)해 고성능 농업용 자율주행·견인 기계의 제조, 보증 의무에 대한 일부 환불 및 보조금 지급을 실시 중
- 2018년 기준 곡물 수확기는 생산성 대비 37.22%에 불과하며, 농업용 트랙터는 15-31%에 그침.
- 쟁기류 기계만이 유일하게 가동률이 50% 이상임.
러시아 농업기계 별 생산성 대비 가동률
(단위: %)
지표 | 2015 | 2016 | 2017 | 2018 |
곡물 수확기 | 40.44 | 47.82 | 62.34 | 37.22 |
농업용 트랙터 | 10.48 | 11.76 | 16.2 | 15.18 |
일반 쟁기 | 44.3 | 44.32 | 59.04 | 55.08 |
트레일식 파종기 트랙터 | 55.12 | 25.6 | 32.91 | 31.48 |
자료: 러시아 고등경제대학교, 러시아 연방 통계국 참고
□ 주요 이슈: 러시아 농업기계 분야 수입대체화
ㅇ 러시아의 주요 수입대체화 대상 산업 중 농업기계 부문이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내고 있음.
- RosSpetsMach(러시아 농업 기계 협회)에 따르면, 2020년 1분기 기준 러시아 농업 기계 부문 수입의존도가 40% 이내로 수입대체화 대상 산업 중 가장 양호한 결과임.
- 코로나19로 인한 산업 전반의 생산성 저하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농업 기계 현지 생산성은 2019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
· 콤바인 수확기 48%, 파종기 20%, 풀깎기 16%, 4륜 트랙터 15%, 살포기 10% 증가
- 2019년 산업 가치 기준으로 현지산 비중은 58%이며, 현지산 기계 부품의 수입 부품 비중은 20% 이내임.
□ 2017~2019년 러시아 농업 기계 산업의 가치 기준 현지화 비중
ㅇ 러시아 농업기계(임업 포함) 대상 수입대체화 정책은 2015년 3월부터 60개 과제로 추진
- 파종기, 세척기, 세정기 등 100% 수입에 의존하는 품목들은 2020년까지 75%까지 낮추겠다는 계획
- 트랙터, 드럼식 관개 설비는 2020년까지 수입 의존도를 20% 이내로 낮추고 트레일러, 첨단 설비 라인, 금속제품 공구 등은 50% 이내로 낮추겠다는 것이 목표
러시아 농업 및 임업 기계 수입대체화 계획
(단위: %)
프로젝트(상품, 기술) | 프로젝트 수행기간 | 프로젝트 수행 전 수입비중 추정치 | 2020년 수입 비중 (목표) |
파종기(장비 묶음) | 2018-2020 | 100 | 15 |
고정기 | 2018-2020 | 100 | 15 |
다용도 세척기 | 2018-2020 | 100 | 15 |
1차 세정기 | 2018-2020 | 100 | 15 |
기술 운영을 위한 자동 제어 시스템을 갖춘 새 고성능사료 작물 수확기(200t/h) 개발 및 제조 | 2020 | 72 | 50 |
트랙 및 바퀴 달린 차량을 기반으로 한 임업 장비 개발 및 제조 | 2015-2020 | 90 | 75 |
기술적 운영을 위한 자동 제어 시스템을 갖춘 다목적 농업용 트랙터(카테고리 3, 4) 개발 및 제조 | 2014-2020 | 97 | 80 |
기술적 운영을 위한 자동 제어 시스템을 갖춘 경첩식(기계식) 농업용 기본 트랙터 모듈(카테고리 3, 4) 개발 및 제조 | 2014-2017 | 100 | 20 |
바이오매스 재활용을 위한 다목적 자동화 생산라인 구축 | 2015-2017 | 100 | 20 |
기술적 운영을 위한 자동 제어 시스템을 갖춘 고성능 농업용 트랙터(추적 카테고리 3-8) 신규 라인 개발 | 2015-2017 | 80 | 20 |
사용 가능한 생산부지를 이용한 송전 제작소 개설(전문화된 대량 엔지니어링 생산) | 2015-2020 | 60 | 40 |
농업 및 임업 장비용 디젤엔진 및 천연가스 작동 동력 장치 개발 및 제조 | 2015-2018 | 45 | 20 |
드럼식 관개 설비 제조 | 2015-2020 | 99 | 80 |
가스 엔진 연료(메탄) 작동식 내연기관 및 이들에 기반한 조립 장치 라인 개발과 제조 | 2015-2020 | 80 | 30 |
자동변속기 탑재 첨단 트랙 임업 기계 개발 및 제조 | 2015-2017 | 91 | 35 |
고성능 곡물용 콤바인 생산 | 2015 | 67 | 36 |
농경 트랙터 라인 제조(카테고리 3-6) | 2015-2020 | 98 | 53 |
농업용 가스 엔진 트랙터 제조(카테고리 1, 4와 2) | 2015-2020 | 100 | 50 |
바퀴 달린 농업용 트랙터 제조(카테고리1, 4) | 2015-2020 | 96 | 70 |
바퀴 달린 농업용 트랙터 제조(카테고리 2) | 2015-2020 | 98 | 85 |
바퀴 달린 농업용 트랙터 제조(카테고리 2 와 3) | 2015-2020 | 100 | 85 |
바퀴 달린 농업용 트랙터 제조(카테고리 5) | 2015-2020 | 100 | 90 |
사료 가공용 기계 생산(옥수수 탈곡기) | 2015-2018 | 61 | 12 |
사료 가공용 기계 생산(사료 수확기능 선별 탑재) | 2015-2018 | 50 | 20 |
파종기 생산 | 2015 | 50 | 40 |
토양정지작업용 기계 생산(오프셋 디스크 쇄토기 ) | 2015-2017 | 10 | 15 |
토양정지작업용 기계 생산(종렬형 디스크 쇄토기) | 2015-2017 | 100 | 10 |
최대 직경 40mm 인 손잡이 및 파이프가 장착된 수확기의 냉각 굽힘 | 2016 | 100 | 10 |
사료수확용 기계 생산 (회전 헤더 탑재) | 2015-2018 | 100 | 10 |
사료수확용 기계 생산 | 2015 | 50 | 20 |
사료 생산용 기계 제조(대형 압축 및 리프팅 결속기) | 2015-2019 | 97 | 10 |
구형베어링용 농기계 덮개 가공 | 2016 | 100 | 10 |
절단 공작 작업을 통한 농기계의 휠 허브 및 디스크 처리(전원 구동 공구가 장착된 회전 선반) | 2016 | 100 | 10 |
컴퓨터 수치 제어(CNC) 기계를 이용한 농기계 장축의 수평화(직선화) 및 가공(기계화) | 2016 | 100 | 15 |
농기계용 합금강재 가공 | 2015 | 100 | 20 |
농기계용 화학 경화 혼합물 주조 | 2016 | 90 | 20 |
농기계용 파이프 제조 | 2016 | 100 | 20 |
농업용 트랙터 구동장치 및 전송장치의 기계적 부품 개발 및 제조 | 2020 | 50 | 30 |
디스크(9~42인치) 및 유로 트레일러(운반 용량 4.5~10톤) 제조 | 2015-2019 | 80 | 10 |
오이 및 다른 채소의 심기, 제초, 수확 기계 제조(최대 크기 20~25cm) | 2015-2017 | 100 | 10 |
바퀴형 농업용 트랙터 제조 (카테고리 0.9-3) | 2015-2020 | 45 | 30 |
점적 테이프 생산 착수 | 2017 | 100 | 20 |
트레일식 농기계 생산(다이렉트식 및 덮개식 파종기, 고성능 분무기, 디스크 쇄토기) | 2015-2018 | 71 | 60 |
농업용 트랙터 생산(카테고리5-8) | 2015-2017 | 42 | 15 |
농업용, 도로 건설용, 시립 기계용 자동 전송기 생산 | 2015-2017 | 100 | 20 |
대형 박벽형 특수 구형 축받이(베어링) | 2015-2020 | 100 | 0 |
고하중 축받이 | 2015-2018 | 93 | 0 |
휠 허브용 롤러 축받이 | 2015-2017 | - | 0 |
휠 허브용 축받이 암호기 | 2015-2020 | 100 | 0 |
액슬 축받이(베어링) | 2015-2020 | 70 | 0% |
다양한 마찰 축받이 라인 | 2015-2018 | 88 | 58 |
신세대 무한궤도식 바퀴(Arctic 설계를 포함한 폴리머 복합 재료) 개발 및 제조(연속 생산) | 2015-2017 | 80 | 25 |
"3세대" 신(新) 복렬 휠 허브 지지대 개발 및 제조(혁신 기술 및 재료, 수입 대체) | 2015-2017 | 100 | 50-60 |
농업용 고정 장치 및 금속 세공품, 운송 엔지니어링 관련 개발 및 제조(연속 생산) | 2015-2016 | 90 | 50 |
다양한 산업 영역을 위한 새 유형의 정밀 베어링 설계 및 제조(혁신적인 부품 및 기술을 통한 수입 대체) | 2015-2017 | 100 | 50 |
복잡한 작동 환경을 위한 하이브리드 동력 장치 및 전자기계 전송기가 장착된 모듈식 추적 플랫폼 개발 | 2015-2017 | 100 | 25 |
신세대 착유로봇 개발 및 제조(연속 생산) | 2015-2017 | 100 | 40 |
자료: 2015년 3월 31일 러시아 연방 산업통상부 명령 제659호(2017년 9월 21일 최종 개정)
□ 주요기업 현황
ㅇ 러시아 농업 엔지니어링 기업수는 2018년 기준 400여 개이며 노동자수는 1만 8100명임.
- 러시아 농업기계 생산업은 일부 기업에 집중되어 있다는 게 특징임.
· 콤바인 수확기 제조업은 1개사가 전체 생산의 89.9%(3개사가 100% 차지)를 차지하고 있고 농업용 트랙터는 1개사가 전체 생산의 81.2%(6개사가 99.9% 차지) 차지
ㅇ 러시아의 주요 농업기계 제조사는 상위 10개사 중 7개사가 외국계 기업임.
- 100% 러시아 현지 지분구조인 농업기계 제조사는 Rostselmash, Saint-Petersburg 트랙터, Klever임.
- 러시아 농업기계 제조사 상위10개사 중 4개가 독일계로 CLAAS, Eurotechnica, Ropa Rus(러시아 법인), Crimme-Rus(러시아 법인)임.
- 그 밖에 미국(John Deere), 네덜란드(CNH 공업), 벨라루스(Bryanskselmash) 등도 상위 10위에 포함됨.
러시아 농업기계 상위10 제조사
2018년 기준 러시아 농기계 제조사 상위 10곳 | - Rostselmach Harvester Maker (러시아, 100%) - John Deere Rus. (미국, 100%) - CNH Industrial Russia (네덜란드, 100%) - Saint-Petersburg Tractor Maker (러시아, 100%) - CLAAS (독일, 99%) - Klever (러시아, 100%) - Eurotechnica (독일, 58%) - Ropa Rus (독일, 90%) - Bryanskselmach JV (벨라루스, 51%) - Grimme-Rus (독일, 100%) |
ㅇ 러시아의 주요 농업기계 제조사는 대부분 농지가 발달된 남쪽 지역으로 로스토프 나도누, 타간로그, 크라스노다르에 분포돼 있음.
- Rostselmach는 로스토프 나도누에 생산공장을 두고 있으며, CLAAS는 크라스토다르에 본사를 두고 있음.
- 한편 노보시비르스크, 크라드노다르 등 시베리아 평지가 펼쳐져 있는 곳에도 농업기계 제조사들이 진출해져 있음.
- Agromechanica사(펜자 지역), Bezetskselmach(트베르), Agramak 공업(모스크바), Agromaster(타타르스탄), Agropromtechnika(키로프 지역), Belgorod Plant Ritm(벨고로드) 등은 제조 기계 종류가 매우 다양한 편임.
러시아 현지 농업기계 제조사 상세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