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루엔자(독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매년 크고 작은 유행을 일으켜 보건상의 문제와 사회·경제적인 피해를 가져온다. 국내 유행은 주로 겨울철에 발생해 수주간 지속되는데 단기간에 많은 환자가 발생하며 발열, 기침, 권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젊은 성인에서는 대부분 후유증이 없이 회복하지만,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높은 군에서는 기저질환의 악화나 폐렴 등의 중증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항원변이를 통해 유행을 초래하는데, 일반적인 계절 인플루엔자는 항원 소변이로 매년 겨울 독감에 걸리게 한다. 2009년 4월 이후 전 세계적으로 유행했던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pandemic influenza H1N1 2009)는 유전자 재조합으로 항원 대변이가 일어나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만들어진 것이었다. 그리고 10년후 전세계적으로 COVID19 이 발병하게 됐다.
여기에서는 인플루엔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Ⅰ. 인플루엔자
1. 정의 및 특징
① Influenza virus에 의해서 발병되는 급성 호흡기 질환
② 매년 10월~이듬해 4월 유행
2. 감염경로
재채기, 기침 등을 통해 분비되는 비말을 매개로 사람 간 전파됨
3. 임상 양상
(1) 잠복기 보통 2일(1~4일)
(2) 증상 시작 1일전부터 5일까지 기침, 재채기 중 분비되는 비말을 통해 사람-사람 전파
(3) 증상: 38°C 이상의 갑작스런 발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등의 전신증상과 기침, 객담 등의 호흡기 증상, 드물게 복통, 구토, 경련 등
인플루엔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백신 접종뿐만 아니라 항바이러스제를 이용하여 인플루엔자를 치료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풀루엔자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는 인플루엔자의 치료와 예방에 모두 효과적이며 병으로 인한 이환기간, 입원률, 합병증 발생을 줄이고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며 유행초기 질병의 확산을 지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인플루엔자는 대부분의 경우 수 일간 앓고 회복되나 노약자나 만성 질환자들에게는 폐렴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 B, C형으로 분류된다. 매년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표면형인 Hemaglutinine (H1~H6)과 Neuraminase (N1~N9)에 의해서 아형이 결정된다.
항원 대변이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서만 일어나고 이로 인해 새로운 아형의 바이러스가 유행하게 되면 일반인구에서 면역이 없으므로 전세계에 걸친 대유행(pandemic)이 일어나며 이러한 대유행은 약 10~40년 주기로 발생한다. 항원 소변이는 인플루엔자 A, B형에서 거의 매년 일어나며 계절 인플루엔자 유행(seasonal epidemic)이 원인이 된다.
4. 진단
인플루엔자는 지역사회에 얼마나 유행하는지에 따라서 독감 유사 증상 (influenza-like illness, 발열+기침 또는 인후통) 이 있으면 임상적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인후 도말 검체에서 신속 항원 검사, RT-PCR 검사, 바이러스 배영 검사를 통해 확진한다.
5. 치료
충분한 휴식과 수면 등 안정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큰 고위험군 환자는 가능한 빨리 항바이러스제인 oseltamivir, zanamivir 등을 투여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러나 증상발생 48시간 안에 사용해야 효과가 있다.
고위험군이 아니더라도 합병증이 생겼거나 심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조기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한다. 18세 이하 소아는 아스피린과 라이증후군과의 관련성 때문에 아스피린 투여를 금지한다.
6. 예방수칙
인플루엔자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분비되는 호흡기 비말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된다.
(1) 개인 위생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므로, 비누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손을 30초 이상 깨끗하게 씻는다. 깨끗하지 않는 손으로 눈, 코, 입 등을 만지거나 문지르지 않는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휴지, 손수건, 옷소매 등으로 입을 가리고 한다. 열이 나거나 기침, 콧물 등 호흡기 감염 증상이 있을 경우 또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시설을 이용할 경우에는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한다.
(2) 독감 예방주사
매년 그해에 유행할 것으로 예측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예방을 접종한다. <다음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