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지 트리의 학명은 Chionanthus virginicus입니다.
프린지는 목도리 끝에 붙여서 폼내는 "술달린 장식" 뭐 그런 뜻이지요.
성상은 소교목 또는 관목입니다.
자생지는 미국의 남동부에서 오클라호마와 텍사스의 서쪽에 이르는 지역이구요.
한햇동안 기껏 자라봐야 6인치정도입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뿌리와 나무 껍질을 말려서 약으로 썼다네요.
이 나무의 별명이
Grancy 회색 수염, 독성이 있는 재, snowdrop 나무, snowflower ,노인의 턱수염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월동 온도로는 US Hardiness Zones 3-7지역에서 견딥니다.
월동 최저 온도는 -35 ° 화씨 (-37.2 ° 섭씨)입니다.
이 나무는 반그늘을 좋아하는데요. 꽃을 보려면 땡볕에 심어야 나무 한가득이랍니다.
배수가 잘되고 촉촉한 산성 토양을 매우 좋아하지만 가뭄이 심한 건조 토양에서도 잘 견디지요.
프린지 트리는 다간형으로 자라며 높이와 너비 모두 3.7-6 m 정도입니다.
5 월부터 6월에 걸쳐 프린지 같은 꽃잎과 향기, 새하얀 꽃을 보여주지요.
꽃은 10-25cm길이로 panicles(원추화서), 또는 clusters(군집)으로 핍니다.
foliage( 잎과 줄기를 합한 부위)는 길이는 7.5-20 cm 이며 폭은 2.5-10 cm입니다.
가을이 오면 잎은 노랗게 물들고 dark blue의 열매가 달려 새들을 부르지요.
번식에 물푸레 나무에 접하는 방법도 있지만 성공률이 낮은 편이라 대부부분 파종을 하게 됩니다. 단 2년 발아됩니다. 성장이 되기 전에는 주변에 빨리 크는 나무는 심지 마세요.
stem canker(지고병)-곰팡이의 공격에 의해 가지가 말라 죽는 병
scale(껍질병?) 과 mites(진드기)를 제외하고는 해충에 대해서는 강건합니다.
leaf spot(잎 점무늬병), stem canker(지고병), or powdery mildew diseases(흰 가루병)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때에는 만들어 놓은 정원용 해충비누로 제거가 가능합니다.
흰가루병에 걸린 가지는 잘라서 폐기해야 합니다.
관수는 아침에 하셔야 합니다. 하루가 지나는 동안 몸체가 바싹 마를 수 있도록.
또한, 곰팡이의 번성이 억제되도록 바람이 잘통하는 양지에서 기르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www.wisegeek.com
첫댓글 자료 감사합니다.
이팝나무와는 접목친화력이 강할듯합니다. 나무의 성상이 거의 이팝나무와 흡사하네요. 키자람이 적은것도 좋은점인듯합니다. 이나무가 종묘상에서 유통되면서 정원수로 전락했는데 제가 이나무를 조경수화하는데 이슈를 만들어볼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