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혈의 누>의 여주인공 ‘옥련’과 <무정>의 ‘영채’의 삶에 대해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 키워드: 영웅의 일생, 계몽주의, 근대 문학
이인직의 ‘혈의 누’는 최초의 신소설이며 여주인공 ‘옥련’은 영웅의 일생과 다소 비슷한 삶을 살았다. 개화 집안 출신이며 뛰어난 재능을 가졌으나 청일전쟁으로 풍비박산을 겪고 일본 군의관에 의해 구출이 된다.
하지만 군의관이 죽자 자살기도를 했지만 구완서에 의해 새 희망이 제시되었다. 그 후 미국 유학을 통한 신학문과 구완서와의 혼약과 아버지와의 해후로 소설이 마무리된다. 이광수의 ‘무정’은 최초의 근대문학이며 개화의 중요성과 계몽주의를 담은 소설이다. 여주인공 ‘영채’는 선각자이자 교육사업을 해 온 박진사의 딸이고 주인공 형식을 사랑한다. 그녀가 형식과의 끝난 이유는 기구한 운명의 그녀가 몸이 더럽혀졌다는 이유로 대동강 빠져 죽으려 했기 때문이다. 이 때 자신과는 반대로 반봉건적이고 진취적인 병욱에 의해 구조된다. 둘 다 한 인물에 의해 구조가 되지만, 둘의 성격은 정반대이다.
옥련은 미국 유학을 통해 계몽주의 사상과 문명 개화를 뜻하지만 영채는 유교적이고 봉건적이다. 이는 투신하려는 장면이 뒷받침한다.
2. 김동인은 “이광수가 ‘선(善)’을 추구하였다면, 자신은 ‘미(美)’를 추구하였다.”고 말한 바 있다. 이를 근거로 이광수의 문학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 키워드: 고아의식, 인형조종술, 유미주의
김동인은 무엇보다도 예술이 중요하다하며 예술지상주의인 유미주의를 선보였으며 이를 소설안에 잘 녹아 들게 하기위해 내용이 작가 뜻대로 흘러가도록 인형조종술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광수는 유년시절 두 부모를 잃고 고아 신세가 되어 망랑생활을 하여 그의 문학에는 고아의식이 나타난다. 이광수의 고아의식에는 계몽의식과 선각자적인 면모가 나타나 김동인은 이 둘을 보고 ‘선’을 추구했다고 말했을 것이다.
3. 염상섭의 <표본실의 청개구리>에 대해서 김동인이 ‘조선의 햄릿’이 등장했다고 평한 바 있다. 이렇게 말한 이유를 김동인의 작품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 키워드: 인간의 내면, 개성과 생활, 중성적 세계관
김동인이 염상섭을 ‘조선의 햄릿’이라 한 이유는 그가 인간의 내면 심리를 날카롭게 파헤친 ‘표본실의 청개구리’를 보았기 때문이다.
이 소설에도 민중들의 생활과 현실에 초점을 둔 중성적 세계관이 나와 있어서 나와 김창억이 둘 다 현실 부적응자이며 식민지 지식인의 정신적 고뇌와 방황을 잘 표현했다. 그리고 이 소설에서는 개성과 생활의 표현을 통해 우울하고 강박관념을 지닌 ‘나’와 과대망상과 광기를 지닌 ‘김창억’의 내면 심리가 날카롭게 파악된다. 해부된 개구리가 ‘나’의 삶 의미로 이어지는 것이 뒷받침된다. 이는 김동인의 작품과 비교되는데, 김동인의 ‘광화’는 유미주의 작품이다.
미인도를 그리다 장님 소녀를 죽이고 그로 인해 광인이 되었고 희생 위에 작품을 완성한다. 그리고 오직 작품만을 위해 살아가는 내용을 담았다. 인간의 내면 심리 파악 보다는 예술지상주의로 김동인은 자신의 뜻과 자존심을 주로 담았다.
4. 이인직, 이광수, 김동인 등은 친일 문인으로 비판받고 있으나, 염상섭은 그런 비난에서 자유롭다. 이러한 평가가 정당한지에 대해서 이들 작가의 삶을 근거로 하여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시오.
◈키워드: 내재적 관점, 생활, 만주 체험
이들이 염상섭에 의해 비판받는 것은 정당하다고 생각한다. 이들이
한국 현대문학에서 큰 일을 해 온 것은 분명하지만 내재적 관점으로 작품만 보았을 때도 시대 반영을 한 작품들도 있기에 이들의 친일 생활이 드러났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와 반대로 염상섭은 만주 체험을 담은 ‘만세전’과 ‘부잣집 이야기’라고
말하는 ‘삼대’를 보면 민중의 삶과 현실을 반영만 했고 그
외에 정치적인 의미부여는 위에 셋이 비에 하지 않았기에 비난에서 자유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