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며느리배꼽(강판귀)
혈액순환촉진 해열 해독 이수에 효험
▶ 혈액순환촉진작용, 해독작용, 해열작용, 이수(利水)작용, 전신이 붓고 소변을 잘 못보는 데, 전염성황달형간염, 설사, 이질, 황달, 수종, 학질(말라리아), 임탁, 단독, 나력, 급성편도선염, 종기, 화농성유선염, 좌판창, 천포창, 황수창, 농포창, 대구창, 만성습진, 백일해, 피부가 벌겋게 되면서 화끈 달아오르고 열이 날 때, 습진, 해열, 옴, 버짐, 다리의 관절이 붓고 아플 때, 나병과 비슷한 탈절라, 치루, 부골저, 독사에 물린데, 대상포진을 다스리는 며느리배꼽
며느리배꼽은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성 식물이다. 식물전체에 털이 없다. 줄기에 모서리가 있으며 모서리위에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거꾸로 나와 있으며 분지가 많고 녹색이며 어떤 때에는 적색을 띤다. 길이는 1~2mm이다. 잎은 어긋나고 삼각형 모양에 가까우며 길이와 너비는 2~5cm이고 연한 녹색이며 뒷면의 잎맥(脈)에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성글게 있으며 간혹 가장자리에도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드문드문 있는 때도 있다. 잎자루는 방패 모양으로 붙어 있으며 서너개의 잎몸과 길이가 같고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아래쪽으로 나와 있다. 턱잎과 엽초는 잎 모양이고 둥글거나 난형이며 줄기를 감싸고 있고 지름이 2~3cm이다. 짧은 수상(穗狀) 꽃차례가 줄기 끝에 나거나 윗부분에 있는 잎겨드랑이에서 난다. 꽃은 작고 여러 송이이며 꽃떡잎이 있다. 매 꽃떡잎에는 2~4개의 꽃이 있으며 꽃덮이에 5개의 열(裂)이 있고 백색 또는 연한 자홍색이며 열편(裂片)은 난형이다. 그리 넓지 않고 열매의 커짐에 따라 크게 되며 점차 육질로 변한다. 수술은 8개이다. 암술은 1개이고 씨방은 둥근 난형이며 암술대는 3가닥으로 갈라졌다. 수과(瘦果)는 둥글며 지름이 약 3mm이고 암갈색이며 광택이 있고 청색의 꽃덮이에 둘러쌓여 있다. 개화기는 6~8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도랑이나 강가의 황무지에서 자란다.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되어 있다.
본식물의 뿌리를 강판귀근[扛板歸根: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이라고 하여 함께 약용한다.
며느리배꼽의 다른 이름은 강판귀[扛板歸: 만병회춘(萬病回春)], 이두자등[犁頭刺藤: 물리소식(物理小識)], 노호리[老虎利: 생초약성비요(生草藥性備要)], 뇌공등[雷公藤: 구생고해(救生苦海)], 하백초[河白草, 벽력목:霹靂木, 방승판:方勝板, 도금구:倒金鉤, 낙철초:烙鐵草, 도괘자금구:倒掛紫金鉤, 이첨초:犁尖草, 괄파초:括耙草, 용선초:龍仙草, 어미화:魚尾花, 삼목면:三木棉: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자이두[刺犁頭, 사불과:蛇不過, 급개색:急改索, 퇴혈초:退血草: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호설초[虎舌草: 천보본초(天寶本草)], 유륵이우초[有竻犁牛草: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자산장[刺酸漿: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계안정초[鷄眼睛草, 유자구반초:有刺鳩飯草: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난사풍[攔蛇風: 민간상용초약회편(民間常用草藥滙編)], 백륵[白竻: 육천본초(陸川本草)], 유자분기독[有刺糞箕篤: 남영시약물지(南寧市藥物誌)], 이두등[犁頭藤, 삼각등:三角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사도퇴[蛇倒退, 지포도:地葡萄: 귀양민간초약(貴陽民間草藥)], 유륵화탄등[有竻火炭藤, 화탄등:火炭藤, 대맹각:大蜢脚, 오독초:五毒草, 화륜전:火輪箭: 광서중약지(廣西中藥誌)], 묘조자[貓爪刺, 사아초:蛇牙草, 어아초:魚牙草, 남사풍:南蛇風: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노호자[老虎刺, 백대노아산:白大老鴉酸, 묘공자:貓公刺, 월반구:月斑鳩: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이두초[犁頭草, 이두첨:犁頭尖: 민동본초(閩東本草)], 수마령[水馬鈴: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유자삼각연산[有刺三角延酸, 삼각산:三角酸, 유자고자반:有刺鴣鶿飯, 난로호:攔路虎: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두건초[豆乾草, 강판귀:杠板歸: 강서초약(江西草藥)], 관엽료[貫葉蓼: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며느리배꼽, 며누리배꼽, 사광이풀, 참가시덩굴여뀌 등으로 부른다.
[채취]
가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리거나 신선한 것을 사용한다.
[성분]
전초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glucoside, anthraglucoside, cardiac glucoside, phenols, amino acids, 유기산, tannin과 당류(sucrose 약 7.48%, reducing sugar 약 3.4%, starch 2.884%)가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fat 3.3%가 함유되어 있으며 열매에도 fat 12.47%가 함유되어 있다. [중약대사전]
[성분]
맛은 시큼하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약효와 주치]
이수(利水)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열을 내리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수종, 황달, 설사, 학질, 이질, 백일해, 임탁(淋濁), 단독(丹毒), 나력, 습진, 옴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11~19g(신선한 것은 26~56g)을 물로 달여서 복욯나다.
외용: 짓찧어서 바르거나 가루내서 개어서 바른다. 혹은 달인 물로 찜질하고 씻는다.
[배합과 금기(주의사항)]
체질이 허약한 사람은 복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
며느리배꼽에 대해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강판귀(扛板歸)
[기원]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며느리배꼽(Persicaria perfoliata H. Gross.)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시고 쓰며, 약성은 평범하다.
[효능주치] 이수소종(利水消腫), 청열활혈(淸熱活血), 해독(解毒)한다.
[임상응용] 이수(利水)작용이 있어 전신이 붓고 소변을 잘 못보는 데에 효력을 얻고, 전염성황달형간염, 설사, 이질에도 쓰이며, 백일해, 피부가 벌겋게 되면서 화끈 달아오르고 열이 날 때, 습진, 옴이나 버짐에 효과가 있다.
[임상연구] 백일해에 40g을 달여서 설탕을 넣어 복용시키고, 습진에 약침제제로 일정한 효력을 나타낸다.
[화학성분] 전초에는 flavonoid glucoside, anthraglucoside, cardiac glucoside, phenols, amino acids, organic acids, tannin, sucrose, starch 등을 함유하고 있고, 종자와 열매에는 주로 fat을 함유하고 있다.]
며느리배꼽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204면에서는 이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참가시덩굴여뀌(Polygonum perfoliatum L.(Persicaria perfoliata Gross.)
다른 이름: 사광이풀
식물: 높이 약 2m 되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붉은색을 띠고 아래로 내려드리운 가시가 있다. 잎은 삼각형 모양이다. 꽃은 가지 끝에 이삭처럼 모여 피는데 연붉은 가지색이고 작다.
각지의 들판, 길가에서 흔히 자란다.
성분: 많은 유기산과 인디칸이 있다. 안트라퀴논, 강심 배당체, 탄닌질 반응이 있다.
응용: 민간에서 뿌리를 이질, 베인 상처, 치질 등에 피멎이약, 설사약으로 쓴다. 중국의학에서는 하백초라 하여 오줌내기, 독풀이약으로 콩팥염, 부기, 장염과 설사, 급성 편도염, 백날기침, 피부염에 15~40g을 쓴다.]
◆ 며느리배꼽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수종창(水腫脹)
평지목(平地木) 11.1g, 며느리배꼽 18.5g, 질경이 14.8g, 천청지백초(天靑地白草) 11.1g, 노노통(路路通) 5개를 함께 짓찧어 달여서 복용한다. [구생고해(救生苦海)]
2, 급성 편도선염
석두난(石豆蘭: 난초과의 맥곡:麥斛) 37.5g, 며느리배꼽 92.5g, 일지황화(一枝黃花) 18.5g을 물로 달여서 하루 한 제(劑)를 2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복건(福建), 중초약신의료법자료선편(中草藥新醫療法資料選編)]
3, 전요화단(纏腰火丹: 대상포진:帶狀疱疹)
신선한 며느리배꼽을 짓찧은 즙에 웅황(雄黃)가루 적당량을 고루 섞어 하루에 여러 번 아픈 곳에 바른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4, 나력
며느리배꼽 30g, 야남과근(野南瓜根) 111g과 돼지살코기 148g을 함께 백비탕으로 달여서 복용한다. 임신부는 복용하여서는 안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5, 조그마한 종기
신선한 며느리배꼽의 전초 75~111g을 물로 달여서 황주(黃酒)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6, 화농성 유선염으로 딴딴하고 아플 때
신선한 며느리배꼽의 잎을 잘 찟어, 짓찧어서 위중혈(委中穴)에 붙인다. 혹은 엽하홍(葉下紅)과 함께 짓찧어서 아픈 쪽과 반대되는 발바닥의 용천혈(涌泉穴)에 붙인다. [민동본초(閩東本草)]
7, 좌판창(坐板瘡)
오적골(烏賊骨) 18.5g, 며느리배꼽 11.1g을 함께 보드랍게 가루내어 바른다. 아픈 곳이 건조한 경우에는 유채기름에 개애서 바른다. [왕추천가비(王秋泉家秘)]
8, 습진, 천포창, 농포창(膿疱瘡)
신선한 며느리배꼽의 전초 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9, 만성 습진
신선한 며느리배꼽 148g을 달인 물로 하루 한번씩 씻는다. [단방험방조사자료선편(單方驗方調査資料選編)]
10, 황수창
보드랍게 가루낸 며느리배꼽 37.5g을 빙편(氷片) 1.85g과 고루 섞어 참기름으로 개어서 바른다. [귀양민간초약(貴陽民間草藥)]
11, 다리의 관절이 붓고 아플 때
신선한 며느리배꼽의 전초 75~111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2, 문둥병과 흡사한 탈절라(脫節癩)
빨간 며느리배꼽을 달인물로 씻는다. 별도로, 진사초(辰砂草), 한련초(旱蓮草), 신선한 질경이 각 55.5g을 달인 물을 복용한다. [귀양민간초약(貴陽民間草藥)]
13, 치루
며느리배꼽 26~37.5g과 돼지의 대장(大腸: 양에 관계 없이)을 함께 약한 불에 장시간 달인 물을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14, 부골저(附骨疽)
며느리배꼽 26~37.5g에 술과 물 각 절반을 넣고 두 번 달여서 나누어 복용하고 찌꺼기를 짓찧어서 아픈 곳에 바른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15, 독사에 물린 상처
며느리배꼽의 잎 적당량을 짓찧은 즙을 술로 복용하고 찌꺼기를 상처에 바른다. [만병회춘(萬病回春)]
16, 대구창
신선한 며느리배꼽의 뿌리 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고 신선한 잎을 따서 짓찧어 아픈 곳에 바른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7, 치질로 생긴 누관(瘻管)
신선한 며느리배꼽 30~45g(건조한 것은 22~30g)을 눌게 볶아서 식힌 후 홍서소주(紅薯燒酒) 370~500g과 함께 약한 불에 한시간가량 달여서 하루에 한 번씩 식전에 복용한다. 또는 뿌리를 돼지 살코기 148~222g, 홍서소주 370~444g과 함께 약한 불에 2시간 가량 삶아 하루에 한 번식 식전에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8, 백일해(임상보고)
며느리배꼽 1냥(영아는 적절히 감량함)을 백주(白酒)로 약간 볶으면서 빙당(氷糖)과 물을 넣어 달여서 1일 두 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혹은 어성초 1냥, 일지황화(一支黃花) 3돈을 더넣어 달여서 복용한다.
전자에 의한 치료 26례에서는 현저한 효과 19례, 유효 5례, 무효 2례였다. 후자에 의한 치료 2례는 모두 치료되었다. 또 며느리배꼽 1냥을 약간 볶아 첨주(甜酒: 식혜)와 빙당(氷糖)을 넣고 약한 불에 천천히 달여 차대신에 마시게 했는데 발작기의 소아 환자를 치료한 7례에서는 2제(劑)를 복용한 후 기침이 적어져서 밤에 잠을 편히 자게 되었으며 4~6제를 복용하였을 때는 증상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중약대사전]
19, 습진(임상보고)
며느리배꼽의 주사액(1ml당 2g의 생약을 함유함)을 1회 3ml씩 1일 1~2회 근육 주사하여(소아의 경우에는 적절히 감량함) 치료한 60례에서는 모두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었다. [중약대사전]
며느리배꼽과 며느리밑씻개는 비슷한데 구별하는 방법은 며느리배꼽의 잎은 삼각모양이고 잎자루가 뒷면에 붙는 특징이 있어 며느리밑씻개와 구별할 수 있다. 며느리밑씻개는 잎이 삼각형이면서 잎자루쪽이 둥굴개 약간 들어갔으며 잎자루가 잎 뒷면에 붙는 며느리배꼽과는 달리 며느리밑씻개는 잎의 둥글 게 들어간 밑면 쪽에 붙는다. 연분홍색 꽃이 피고 열매는 둥글고 끝이 뾰족하다. 대체로 검게 익는 점 또는 며느리밑씻개와 다르다.
| | 위에 자료를 올려주신 님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이자료를 보고계시는 님께 부탁합니다 글은 인터넷에서 자신을 나타내는 유일한 모습입니다. 상대에게 상처를 주기보다 같이 즐거워 할 수 있는 코멘트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 머무시는 동안 만이라도 편히 쉬였다 가십시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