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사구체신염
정의
사구체신염은 신장의 사구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사구체는 신장에서 혈액 속 노폐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급성 사구체신염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사구체 염증으로, 주로 감염 후에 발생합니다.
원인
급성 사구체신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연쇄상구균 감염입니다. A군 연쇄상구균 감염 후 1~4주 후에 급성 사구체신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쇄상구균 외에도 다른 세균, 바이러스 감염도 급성 사구체신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증상
급성 사구체신염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혈뇨: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옵니다.
- 단백뇨: 소변에 단백질이 섞여 나옵니다.
- 부종: 얼굴, 발목, 다리 등이 붓습니다.
- 고혈압: 혈압이 높아집니다.
- 핍뇨: 소변량이 줄어듭니다.
- 피로감: 몸이 쉽게 지칩니다.
- 식욕부진: 입맛이 없습니다.
- 오심, 구토: 속이 메스껍고 토할 수 있습니다.
진단
급성 사구체신염은 다음과 같은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소변 검사: 혈뇨, 단백뇨 등을 확인합니다.
- 혈액 검사: 신장 기능, 전해질 등을 확인합니다.
- 신장 기능 검사: 신장의 여과 기능을 평가합니다.
- 신장 생검: 신장 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검사합니다.
치료
급성 사구체신염의 치료는 원인 질환을 치료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항생제 치료: 연쇄상구균 감염이 원인인 경우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 스테로이드 치료: 염증을 줄이기 위해 스테로이드를 투여할 수 있습니다.
- 이뇨제: 부종을 줄이기 위해 이뇨제를 사용합니다.
- 혈압 조절제: 고혈압을 조절합니다.
- 식이 요법: 염분 섭취를 제한하고, 단백질 섭취를 조절합니다.
- 수분 제한: 부종이 심한 경우 수분 섭취를 제한합니다.
- 투석: 신장 기능이 심하게 저하된 경우 투석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예방
급성 사구체신염을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개인 위생 관리: 손을 자주 씻고,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합니다.
- 감염 예방: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감염 질환에 걸렸을 경우 적절한 치료를 받습니다.
- 정기적인 건강 검진: 신장 건강을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건강 검진을 받습니다.
주의 사항
급성 사구체신염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의심되는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