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원전 수출을 위한 LOI 체결, 13년 만의 원전 수출이 눈 앞
-메리츠증권, 문경원 연구원 리포트
☑️관련 언론 보도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자면 하기와 같음
1)수주 가능성: 폴란드 부총리는 본계약 체결 가능성이 100% 라고 발언. 우리
나라 산업부 2차관은‘추가적으로 다른 업체와 경쟁입찰 가능성도 없다는 점에
서 사실상 수주를 확정’했다고 강조. 일각에서는 웨스팅하우스의 APR1400
에 대한 수출 제한 소송을 변수로 지목.
2)규모: 15조원 이상(메리츠 추정, 한 기당 50억 달러 가정). 4기까지 지어질
경우 산업부 제2차관은 엘다바 원전(4기, 42.6조원)보다 클 것이라고 설명
3)타임라인: 2022년말 프로젝트 규모 설정. 2024년 본계약. 2026년 착공 예상
☑️확실한 수혜 한전기술, 두산에너빌리티, 시공사 선정은 확인 필요
APR1400을 기반으로 수출하므로 한전기술의 설계 용역, 두산에너빌리티의 기
자재 공급 가능성은 매우 높음. 특히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수
주한 폴란드 1단계 프로젝트(6~8기, 2026년 착공)에도 일부 주기기(원자로,
증기발생기 등) 공급 가능성이 높아 2024년 원전 관련 수주 기대감 대폭 확대
다만 시공사 선정은 아직 불확실. 폴란드 1단계(루비아토브-코팔리노) 프로젝
트 추진 당시 대우건설, 두산에너빌리티가 컨소시엄에 참여한 바 있으나, 2단계
(퐁트누프)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어떤 건설사가 참여하게 될지 추후 확인 필요.
☑️현재로서는 현대건설, 대우건설, 삼성물산 등이 잠재적 후보자. 한편, 현대건설
은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지난 5월 EPC 우선 참여 협상권을 포함한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어 1단계 프로젝트에 따른 수혜도 기대 가능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