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임지용] 해외기업분석
■ Airbnb(ABNB.US) - 시장은 여행 수요 유지에 대한 불확실성을 걱정
▶️공급 측면에서의 탄력적인 비즈니스 모델 강점 재확인, 주가 상승을 위해서는 수요에 대한 확신 필요
- 높은 성장성과 수익성을 보여줬던 3분기 성수기 실적. 이러한 부분은 주가와 실적 컨센서스에 어느 정도 선반영, 주가는 미래 여행 수요 유지 가능성을 우려. 주가 상승 위해서는 2023년 여행 수요 회복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다고 판단. 밸류에이션은 2023년 PER 39배로 매력적인 수준은 아님
▶️3분기 호실적과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4분기 가이던스
- FY2022 3분기 매출액은 29억달러(+29% 이하 y-y, 환율효과 제외 시 +36%), EPS(GAAP) 1.79달러로 모두 컨센서스 상회. 4분기 가이던스는 매출액 18억~18.8억달러로 컨센서스(18.5억달러)에 부합. 무난한 3분기 실적과 양호한 4분기 가이던스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시간외 5% 하락. 경기침체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성수기 효과가 선반영됐고 여행 수요 유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으로 해석
- GBV(Gross Booking Value, 총예약금액)는 156억달러(+31%, 환율효과 제외 시 +40%). 매출의 55%가 USD가 아닌 통화로 표기되기 때문에 강달러 부정적 영향이 9%p로 발생. 조정 EBITDA는 15억달러(EBITDA 이익률 50.5%, vs 3Q21 49.2%), 9.6억달러의 잉여현금흐름 기록. ADR(숙박가격) 강세와 비용 절감 효과가 나타나면서 수익성 극대화 성공. 3분기 Take rate(수수료율, GBV에서 매출액을 나눈 개념) 18.5% 기록하며 성수기 효과 시현
- 경기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3분기 국제 여행 수요 회복세 지속. 국경을 넘는 숙박 예약은 전년동기 대비 58% 증가. 도심 숙박 예약은 27% 증가. 도심 여행 수요가 단기에 증가하면서 도시 내 호스트 공급 역시 빠르게 증가. 동사는 다른 숙박업체(호텔)와는 다르게 수요 급증에 따른 공급 증가가 가능한 탄력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강점을 재확인. 장기 체류 수요 증가세 역시 긍정적. 장기 체류 비중은 총 숙박의 20% 차지
■ 링크: https://bit.ly/3DTCM8W
■ [NH/임지용(글로벌IT) 02-768-7350]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