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 ON / OFF
<육군>
김홍일 장군
1898.09.23~1980.08.08
- 독립운동가, 군인, 정치인 -
평안북도 용천 출생, 오산학교에서 남강 이승훈, 고당 조만식 선생의 문하에서 수학
오산학교 교사로 근무하던 중, 일제의 감시와 탄압을 피해 중화민국으로 망명
1920년 구이저우의 육군군관학교를 졸업후 중국 국민혁명군 소위로 임관
이후 중국 관내의 항일단체 활동을 지휘(북만주 군비단, 대한의용군 사령관 등)
1932년 한인애국단원 이봉창, 윤봉길 의사의 거사에 필요한 폭탄을 제작하여 지원
※ 『백범일지』 에서 한인애국단의 거사를 지원했다는 중국인 '왕웅' 이 바로 이 분
1939년 국민혁명군 육군 소장(★)으로 진급, 제 19 집단군(야전군) 참모처 처장으로 제수
1941년 제 19 집단군 19사단장 대리로 일본군(33사단, 34사단)과의 샹가오회전(上高會戰) 승리
1945년 5월 중국 중앙군 중장(★★)으로 진급, 6월 한국광복군사령부 참모장 역임
광복후 3년이 지난 1948년 귀국, 12월 국군 입대후 육군 준장(★)으로 임관
1949년 1월 육군사관학교 교장, 3월 육군 소장(★★) 진급(대한민국 육군 최초)
1950년 6월 10일 육군참모학교장 부임
1950년 6.25 한국전쟁 발발, 시흥지구 전투사령관으로 부임(한강선 방어전투 지휘)
▶ 국군의 한강 방어선이 무너지자 한강선에서 밀려오는 북한군을 '1주일간' 방어
※ 당시 미국은 '3일간' 의 지연작전만을 요구
1950년 7월 5일 육군 제 1군단장으로 임명
▶ 수도사단, 1사단, 2사단을 지휘, 미군과의 협조로 진천-음성-청주 전선에서 성공적인 지연전을 수행
▶ 낙동강 방어선에서 포항 기계(杞溪)전투를 승리로 이끌며 국군과 유엔군의 반격작전 기틀을 마련함
1950년 7월 24일 육군종합학교 교장
1951년 3월 2일 육군 중장(★★★) 진급
1951년 3월 20일 육군 중장 예편
1961년 5월 외무부 장관
1963년 한국독립당 창당
1967년 제 7대 국회의원(신민당) 당선
1971년 신민당 당수
1977년 광복회 회장
중국 국민당군으로서 단 별 '2개' 와 국군으로서 단 별 '3개' 를 합쳐서 '오성장군' 으로 불렸던 인물
<해군>
손원일 제독
1909.06.22~1980.02.15
- 독립운동가, 군인, 외교관, 사업가 -
평안남도 강서 출생, 독립운동가 손정도 목사의 아들
1924년 남경 중앙대학을 졸업 후 항해사로 임관
1927년 중국 국민당 해군 국비유학생으로 독일에 3년간 유학하며 상선 항해사로 근무
1930년 상해 독립운동 단체의 비밀연락원 임무로 입국하였다는 혐의로 체포, 이듬해 출옥
출옥 이후로 매부인 윤지창과 개인사업을 개시, 큰 이윤을 남김(남계양행, 동화양행-상해지점)
▶ 이때 모은 자금은 훗날 조선해양경비대의 창설 자금이 됨
광복후 귀국, 1945년 8월 21일 매부인 윤지창과 해사대 결성, 11월 해방병단 창설
1946년 1월 해방병단 총사령관, 해군병학교(현 '해군사관학교') 초대 교장
1946년 6월 기존의 해방병단을 '조선해양경비대' 로 개칭, 조선해안경비대 총사령관으로 취임
1948년 9월 5일 조선해안경비대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해군 창설, 초대 해군참모총장 부임
1949년 4월 15일 아시아 국가 최초의 해병대 창설(대한민국 해병대)
1949년 10월 미국으로부터 PC-701 백두산함, PC-702 금강산함, PC-703 삼각산함, PC-704 지리산함을 구입
1950년 6.25 한국전쟁 발발 당일 대한해협 해전 승리, 9월 인천상륙작전 성공
▶ 부산 앞바다로 침투를 시도한 약 600명의 북한 해군 특수부대 '육전대' 를 태운 무장 수송선을 포격-격침
▶ 인천 상륙작전 당시 함대의 지휘권은 없었지만, 직접 소총을 들고 대한민국 해병대의 상륙 현장을 지휘...
1953년 6월 23일 해군 중장(★★★)으로 예편
1953년~1956년 제 5대 국방부 장관
1958년 주서독 한국대사
누구나 인정할 수밖에 없는 '대한민국 해군의 아버지'
<공군>
최용덕 장군
1898.09.19~1969.08.15
- 독립운동가, 군인 -
한성부 성복동 출생, 서울 봉명중 졸업 후 중국 망명
1916년 중국 보정 육군군관학교 졸업, 중국 육군에서 소대-중대장직을 역임
1919년 중국군을 사직하고 독립운동에 투신, 일본 경찰에게 체포 이후 투옥
▶ 중국군 헌병사령관의 도움으로 풀려남
1920년 서왈보의 도움으로 중국 보정비행학교에 입교, 졸업 후 비행학교 교관 역임
1922년 중국 수상 비행대 부대장, 의열단의 김원봉을 만나 항일활동 지원
1923년 중국 공군 지휘부 참모장 겸 공군기지사령관(북양 군벌계)
1926년 중국 국민당에 합류후 국민혁명군항공대 창설 멤버로 참가, 이후 국민당의 북벌에 공헌
1938년 중앙훈련위원회 육공연락훈련반 부주임
1940년 중국 육군대학 특별반 제5기 입교, 공군 상교(현 대령)
1942년 중국 육군대학 특별반 5기 졸업,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총무처장
1945년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참모처장, 광복군북평잠편지대장
광복후 1946년 중국에서 귀국, 항공건설협회 회장
1948년 조선경비대 육군항공대 창설 : 참위(현 소위)로 임관
※ 당시 미 군정은 중화민국 상교이자 광복군 참장(현 소장)인 그의 군 경력을 인정하지 않음
초대 항공기지사령관 부임, 초대 국방부 차관 임명
이후 육군항공대는 육군항공사령부로 개칭
※ 당시 L-4 연락기 10대를 미국으로부터 인수하는 데에도 최용덕 장군이 큰 공헌
1949년 10월 1일, 육군항공사령부가 육군으로부터 '공군' 으로 독립
※ 당시의 공군 전력 : 1,600여 명의 병력과 20대의 L-형 연락기
1950년 공군 준장(★)으로 진급, 공군사관학교 교장
6.25 한국전쟁 발발후 김포지구 전투사령부 사령관, 공군 후방사령관 역임
1952년 공군 소장(★★) 진급, 공군기술학교 창설, 제 2대 공군참모총장으로 취임
1953년 공군 중장(★★★) 진급
▶ 항공창 설치, 한국 최초의 경비행기 '부활호' 탄생
1954년 참모총장 퇴임, 참모총장 고문
1956년 퇴역
1961년 주 중화민국 대사
1962년 외교부 고문 보직
'공군의 전통', '공군가' 등을 제정하여 공군의 지표를 명시한 '대한민국 공군의 아버지'
첫댓글
임요환으로 단일화
좋은 글 잘읽었습니다
미국인들이 캡틴 아메리카 보는 기분인가
백선엽같은 민족반역자 빨지 말고 이런 분들 좀 더 적극적으로 띄워라 국방부야
참...애매한게 백선엽 장군도 공이 없는 건 아니라 참...하
이게 정말 복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