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자리’의 한국언어지도
볍씨를 뿌리려고 논을 간 다음 흙을 고르고 판판하게 만든 자리를 무엇이라고 합니까?
'못자리'의 방언형은 아주 단순하여 '못자리'와 '모자리'로 압축되는 양상을 띤다. 결국 사이시옷이 들어가느냐 안 들어가느냐로 양분된다고 할 수 있다. 이 두 형태 외에 '모자리판', '모판', '왕판' 등 몇 가지가 더 있으나 앞의 어형과 병존 상태로 쓰이거나 그 세력이 매우 약하다.
① '못자리'계 : 못자리
② '모자리'계 : ㉮ 모자리, 묘자리, 모자리판, 모자리깐
㉯ 모따리, 모개자리, 모구자리
③ 기타 : 모판, 왕판
'못자리'와 '모자리'의 분포를 보면 우리나라를 동서로 구획하는 형국을 보여 준다. 즉 '못자리'는 경기, 충남, 전남북 쪽으로 분포되어 있고 '모자리'는 강원, 충북, 경남북 쪽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못자리'보다는 '모자리'의 세력이 크다. 동서로 양분한 형국이면서도 '모자리'가 말하자면 '못자리'의 영역을 침투해 들어간 곳이 많은 것이다. 경기의 <양평, 광주, 용인, 이천>, 충남의 <천원, 연기, 대덕, 금산>, 전북의 <무주> 등이 동부형인 '모자리'를 취하고 있고 더욱이 전남은 <구례, 광양, 승주, 화순, 고흥, 장흥, 강진> 등 광범위한 지역이 동부형의 침식을 받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표준어가 비표준어의 세력에 밀린다는 점에서 흥미를 일으키며 사이시옷 현상에 대해서도 일깨움을 준다. 특히 사이시옷의 출현 조건에 대해서 어떤 규칙이 명확히 찾아지지 않아 애쓰는데 '못자리'와 '모자리'의 병존(倂存) 및 세력 다툼은 그 규칙이 방언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일깨워 준다고 하겠다. 제주도는 이에 해당하는 단어가 없다. 논이 없고 벼농사를 짓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당연한 현상일 것이다.(I-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