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https://pann.nate.com/talk/350741653?page=2#replyArea
너무 유명한 바다의 최고 포식자 범고래
정식 학술 명칭은
흰줄박이물돼지(흰줄박이돌고래)이지만,
보통은 항목명인 범고래라는
이름으로 유명하다.

최대 시속 56 km의 속도로 헤엄칠 수 있어
달리는 보트를 따라오는것도 가능하고

3~6 t에 달하는 체급에 힘도 좋고

지능이 상당히 높아서
미러 테스트쯤은 간단히 통과하며,
먹이로 배급 받은 물고기로
낚시를 하기도 한다.


다른 몇몇 종의 돌고래들과 함께
결속력 강한 복잡한 사회를 이루는
동물이기도 하다.
범고래 한 마리만도 현재 바다에선
천적이 없을 정도로 커다란 동물인데,
이런 큰 동물들이
항상 뭉쳐다니기 때문에
현대의 해양 생태계에선
대적할 생물이 거의 없는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할 수
있는 것이다.
말 그대로 바다의 조폭되시겠다.

윗 문단에서 쭉 설명한 것 처럼
바다의 최상위 포식자임에도 불구하고,
야생 상태에서 인간으로 인지한 상대는
잡아먹기는커녕
살상 목적으로 공격조차 하지 않으며
오히려 애완동물 마냥
친근하게 굴기까지 하는
이상한 특성이 있다.


이는 다른 동물과 비교해봐도
굉장히 이상한 경우이다.
보통 대형 육식 동물에게는
인간도 어차피 먹이의 한 종류이기
때문에 사냥하고,
초식 동물인 야생의 말이나 소 종류도
인간을 보면 걷어차거나 들이받는다.


그런데 인간과는 비교도 안 되는 체급에
기회만 되면 중형 육상 포유류도
사냥하는 야생 대형 육식동물이
인간을 공격은 커녕 경계조차 않고
오히려 친구나 동료처럼 여기는 것은
굉장히 신기한 일이다.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린 경우가 아닌
자연 상태의 범고래가 인간임을 확실히
인지한 상태에서 인간을 공격해 잡아먹은 사례는
'빈도가 매우 희소하다' 정도가 아니라
학계에 보고된 적도 없다.


게다가 범고래는 먹이로서만이 아니라,
단순히 '재미로' 물개를 사냥하기도 하는데
역시 인간은 예외이다.
범고래가 인간을 물개나 바다사자로 보고
추적한 사례는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지만,
범고래가 가까이 접근해
목표물이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
즉시 그 추적을 그만두었다.
범고래가 사람을 공격하지 않는 이유에
관해서는 여러 가설들이 나오고 있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범고래가
인간들이 자신들과 같은 고등생물이라서
해치기 꺼린다는 고등생물 인정설이 있다.
범고래가 포악한 킬러본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만 건드리지 않는다는 것은
결국 범고래들이 사회적, 문화적인 이유로
사람을 먹지 않기로 한 것이라는 가설이다.
즉 현재의 과학 수준으로는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없지만,
범고래들이 인간을 다른 동물과
다르게 보는 사회문화적인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범고래는 부모에게 배운 먹잇감만
먹기 때문에 인간을 공격하지
않는다는 가설도 있다.
물개를 먹는 범고래와
그렇지 않은 범고래가 있어서 나온 말인데,
문제는 범고래의 사체 속 위장과
다른 정황을 분석해 본 결과는
이 가설이 틀릴 가능성이 높다고 나왔다.
범고래는 개는 물론, 수달, 사슴, 무스같은
범고래에게 생소한 생물들도 먹이로 삼았다.
또 다른 가설로는 인간을 건드릴 경우
멸종에 가까울 정도의
대규모 학살이 되돌아 온다는
선행 학습의 효과라는 가설이 있지만,
우선 근대 이전에
인간이 범(凡)지구적인 수준의
대규모 범고래 사냥을 했을
가능성은 거의 없고,
역사에서는 근대에 들어서나
대규모 범고래 포경이 시작되었다.

농담 삼아 인간에게 범고래 고기가
끔찍하게 맛이 없듯,
인간도 범고래에게는 정말 맛이 없는 것
아니냐는 가설과,
범고래 기준으로 인간은 안 먹어도
맛을 알 수 있을 만큼
끔찍한 냄새가 나는 것 아니냐는
가설도 있는데, 일단 다른 동물들이
인간을 사냥한 사례를 보면
인간이 그런 냄새가 난다고
가정하긴 어렵고 무엇보다도
고래는 후각 자체가 없다.
코가 분기공이 되면서
후각을 감지할 기관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위에서 언급된 "두려움" 가정과
마찬가지로 그렇게 지독한 냄새가 나면
슬슬 피하지 저렇게 먼저 다가와서
말걸고 애교떨고 하진 않는다.
즉, "왜 공격을 안하냐"에 대한 답은 되어도
"왜 친근한가"에 대한 답은 전혀 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말해
범고래가 인간을 공격하지 않는 이유를
확실하게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아직 없다.
결국 일반적인 포식자로서의 본능만으로는,
범고래가 왜 사람은 먹지 않는지는
확실히 설명이 되지 않는다.
이유는 뭔지 모르지만
범고래는 인간을 뭔가 다른 동물과는
다르게 보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첫댓글 신기하다 잼따
아님 이미 먹힌사람은 말이없어서..?
고등생물웅앵웅 이거같음...사람 잡아먹기엔 너무 똑똑한거아녀?
신기하다
나는 범고래 싫어 ㅜㅜ 너무 소름끼쳐 뭔가
고래라는 생물 .. 정말 신비로워
ㅜㅜ범고래 저 인사하는 움짤 갖고싶다 너무귀여워 ㅠㅠㅠㅠ 고래야
혹등고래 머시따.... 혹등고래 영업 아닌가요..?
야 너 물개한테 왜그래ㅠㅠㅠㅠㅠㅠㅠ
삭제된 댓글 입니다.
22복어가지고 마약하잖아
헐 세상에 걍 야생동물계의 한남 수준인디 성폭행이라니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진짜 흥미돋이다 왜 그럴까
야 난 그래도 느그 싫어 맨날 존나 다른 고래들 성폭행하고 바다표범 자위기구로 쓰고 너네 너무 한남같아;;
수컷 돌고래들 하는짓 보면 암컷 돌고래들 진즉 메갈 되었을 것 같은데 연대하고싶당
@[키+고추=200] 범고래는 진즉에 모계 중심의 사회야
우두머리 범고래는 그 무리에서 가장 나이 많은 할머니 범고래임
그래서 그런 짓하는 수컷 범고래는 이미 무리에서 낙오된 루저나 무리 없는 개체일 가능성이 높음
@oïo 오 너무 좋구만,,,,인간만 조팔,,,오늘도 인류애 재기,,,,
학술 명칭이 흰줄박이물돼지 라는 것도 흥미돋이다..
돌고래도 최악이라니 다시봤네.. 오며가며 사람보고 못이기겠다 생각한건가..아님 코끼리처럼 사람을 호의적으로 보나 뭘까
이름 졸라 귀엽다 물돼지라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무슨 실험 한거중에 인간한테 당신들이 대체 뭔지 정체를 모르겠다고 말한 것도 있지않어?
범고래 어업 방해하고 양아치였는데
대학살 사건 두번정도 있고 그뒤로 인간 안건든다고함..... 똑똑하기도 똑똑해서 그런거임
혹시 생긴게이상해서 근거아냐..?쟤네 눈엔 우리가 바퀴벌레처럼보인다거낭..
그러기엔 너무나 친근한것.. 우리가 바퀴벌레에게 친근하진않잖아ㅎㅎ
느그범 우리혹등..
저렇게 똑똑한 생물을 돈벌이로 수조관에 가두고 유희거리로 삼는 인간이 제일 끔찍함
범고래는 인간이 느끼는것보다 더 많은 감정을 느낀다고 말하는 연구자들도 있어
그리고 댓글로 오해하는 여시들이 있어서 말하는데 나 저 가오리 치는 다큐 봐서 아는데 사냥하는거임;
22 인간이 젤 끔찍하지 범고래가 아무리 깡패짓해봤자 인간만 한가 ㅋㅋㅋㅋ
인간이 문제임 학습능력있는 애들이라 인간이 최상위포식자인거 알고 공격안하는거임...
넷플릭스에 72데인져러스 애니멀 이었나 다큐멘터리 시리즈 보니까 범고래 무섭더라ㅠ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