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코로나 시대 재테크…글로벌 미래산업 ETF가 답이다
남자천사
2021.08.30. 07:18조회 0
댓글 0URL 복사
코로나 시대 재테크…글로벌 ETF가 답이다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클린뷰
칼럼
한상춘 기자
입력 2021.08.29 17:16 수정 2021.08.30 06:30 지면 A20
경제 불확실성 커지자
ETF에 투자자들 발길
빅테크·엔터·전기차 등
핫한 우량주 한번에 '픽'
미래산업 분야 위주
포트폴리오 구성
대형 운용사 선택해
안정적으로 투자해야
“2030세대의 해외주식 거래액이 100조원이 넘었다.” 지난주 금요일 한국경제신문 1면에 실린 기사를 보고 깜짝 놀랐다. ‘해외종목투자’라는 의미의 GBK(Global BroKerage)가 도입된 지 불과 4년이란 짧은 기간 안에 그것도 젊은 세대가 주축이 돼 이룬 것이어서 우리 자본시장 앞날에 커다란 의미가 있다.
GBK가 급신장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있다. 하나는 ‘하나의 세계·하나의 시장·하나의 경제’라는 표현이 나올 만큼 기업 활동과 투자 범위가 이제는 평평한 운동장이 됐기 때문이다. 코로나 사태 이후 진전되고 있는 디지털 콘택트 시대에서는 더 그렇다. 지금은 국내와 해외를 구별하는 것이 오히려 어색할 정도다.
다른 하나는 각국이 추진하는 산업정책의 대전환 때문이다. 금융위기 이전까지 각국의 산업정책은 임금 등 비용 여건이 낮은 입지를 찾아 밖으로 나가는 ‘글로벌 화전민식 전략’을 추진했다. 하지만 10년간의 과도기를 거쳐 코로나 사태 이후에는 ‘리쇼어링’ 정책으로 바뀌면서 밖으로 나간 자국 기업을 불러들이고 있다.
관련기사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패닉에 빠진 韓 증시…'퍼펙트 스톰' 오나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외국인, 언제쯤 다시 삼성전자 살까?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고액권 폐지' 화폐개혁 바람…한국 5만원권은?
광고
주식은 가치가 높은 기업을 찾고 쫓아가야 한다. 금융위기 이전처럼 선진국에 속한 우량기업이 밖으로 나갔던 때는 신흥국 투자가 유리했다. 하지만 코로나 사태 이후처럼 본국으로 환류될 때에는 선진국에 투자해야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 세계 100대 기업에 속하는 초우량 기업은 미국이 압도적으로 많다.
자본주의 시대에 주식을 공급하는 주체인 우량과 비우량기업뿐만 아니라 주식을 사는 주체인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격차가 갈수록 확대되는 추세다. 코로나 사태를 거치면서 더 심해지고 있는 ‘K자형’ 양극화 여건에서 최상의 GBK 시나리오는 고소득층이 선호하는 우량기업 주식을 사들이는 방안이다.
GBK를 통해 2030세대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을 자세하게 뜯어보면 이 같은 흐름이 그대로 나타난다. 초기에는 미국과 중국에 속한 우량기업 주식을 비슷한 비율로 보유하다가 코로나 사태를 거치면서 미국의 우량기업 주식 보유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아졌다. FAANG(페이스북·애플·아마존·넷플릭스·구글)에 속한 종목이 대표적이다.
2030세대가 주도하는 GBK가 한국 자본시장 앞날에 의미가 크다는 것은 금융지식(FQ: financial quotient)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우리는 금융지식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2030세대는 다르다. 금융지식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수익도 상대적으로 높다.
주목해야 할 것은 GBK가 최근 들어서는 또 한 차례 진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점이다. 미국 중앙은행(Fed)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변화와 경기 등에 ‘정점론’이 거론되는 전환기를 맞아 개별 종목투자가 점점 어려워지자 글로벌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 ETF는 코로나 사태 이후 핵심산업으로 부상하는 빅테크, 방탄소년단(BTS)의 빌보드 차트 1위 등극에 따라 관심이 높아진 엔터테인먼트,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전기차 등 요즘 테마별로 ‘핫(hot)하다’는 우량 종목을 한꺼번에 투자할 수 있어 종목 투자자들의 고충을 덜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으로 닥칠 투자환경을 감안해 ‘적정 글로벌 ETF 포트폴리오’를 짜본다면 기본 골격은 빅테크 ETF, 전기차 ETF, 배터리&리튬 ETF로 구성하되, 비중은 투자자 성향에 따라 5%포인트 범위 내에서 조절하면 무난해 보인다. 최근처럼 전환기에 레버리지형 ETF는 종목 투자자의 고민을 풀어주기보다 증폭시킬 가능성이 높다.
글로벌 ETF의 수익률은 역사와 경험, 전문인력, 축적된 데이터 등에 좌우되는 만큼 대형 운용사와 증권사를 선택해 거래해야 한다. 투자자도 글로벌 추세와 초불확실성이 함께 상승 작용을 일으키는 시대에는 재산 증식과 노후 준비를 한꺼번에 준비하는 수단으로 ‘1가구=1계좌’ 글로벌 ETF를 가져가는 방안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