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랜드 | 제품 사진 | 비고 |
화웨이 X 포르쉐 |
| - ‘18년 포르쉐 시그니처 디자인과 화웨이 기술 결합된 Mate20RS 출시 - 가격은 모델별로 799유로-2095유로 - 프리미엄 소비자층 관심 끔 |
OPPO X 람보르기니 | |
- ‘18년 람보르기니의 황소로고를 결합해 FindX 출시 -브랜드의 럭셔리함을 블랙&오렌지컬러와 람보르기니의 황소로고로 표현하여 디자인 - FindX는 35분간 배터리를 최대 50와트까지 충전할 수 있는 빠른 속도의 SuperVOOC 시스템 갖춤 |
VIVO x NBA | | - VIVO는 스마트폰 Xpla부터 그 이후의 시리즈 핸드폰을 NBA 농구선수 모델로 광고마케팅 함 - 핸드폰에 대한 소비자 관심도 증가, 특히 농구 팬들의 이목을 사로잡음 |
샤오미(小米) x 대영박물관, 돈황, 자금성 | |
- 최근 샤오미는 다양한 중국 명소들을 주제로 한 핸드폰을 출시 - 샤오미 MIX 2S는 대영 박물관과 협력, MIX 3는 자금성 박물관과의 협력 모델 - 중국의 전통예술을 이차원적 형태로 표현 및 예술성 강조 - 또한, 한정판 보조배터리 제품을 출시해 젊은 층 소비욕구 자극 |
메이투(美图) x 이화원 | |
- ‘18년 메이투는 "메이투T9이화원 한정판" 휴대폰 출시 - 외관은 중국의 전통색인 검푸른 빛의 초록색이며, 한 폭의 산수 묵화와 같이 표현해 예술성이 돋보임 |
자료: '브랜드 라이선싱(品牌授权)' 잡지(‘19년 1분기), 베이징무역관 정리
ㅇ 브랜드 라이선싱을 활용한 화장품
브랜드 | 제품 사진 | 비고 |
챠챠 해바라기씨 (恰恰香瓜子) X 춘지 (春纪) | |
- 챠챠 해바라기씨와 중국 화장품 브랜드 춘지는 여성의 날에 콜라보 제품인 ‘해바라기씨 팩’을 출시함 - ‘해바라기씨 팩’은 중국의 전통 미의 기준인 "해바라기 얼굴(V라인)" (瓜子脸)을 모티브로 만든 팩임 - 제품은 119위안으로 판매되었으며 올해 여성의 날 당일 약 3,000개의 제품이 판매됨 |
왕저롱야오(王者荣耀) X MAC | | - 올해 1월, 중국 유명 오락회사 MOBA의 왕저룽야오(王者荣耀)와 국제적인 뷰티 브랜드 MAC 콜라보 립스틱 출시됨 - ‘총탄알 형’으로 총 5가지 색이 출시되었으며 이는 각각 왕저룽야오 속의 다섯 여성캐릭터를 나타냄 - 판매 시작 24시간 만에 MAC 공식홈페이지와 티몰에서 콜라보 한정판 색조화장품은 매진, 1.4만 건 예약 접수 |
저우헤이야(周黑鸭) X 미샤(MISSHA) | |
- 중국 유명 식품 브랜드 저우헤이야와 미샤는 여성의 날 음식과 화장품의 콜라보 제품 선보임 - 저우헤이야의 주 소비층은 20-30대 여성으로 먹는 것과 꾸미는 것을 좋아하는 연령층임 - 색조화장품이 출시되자 소비자들은 다양한 소셜 플랫폼을 통해 제품에 대한 관심을 보임 |
자료: '브랜드 라이선싱(品牌授权)' 잡지(‘19년 1분기)
전망 및 시사점
ㅇ 상하이 국제 라이선싱 박람회, 굿즈 박람회 등 현지 박람회 참가를 통한 중국 시장 진출 기회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아시아 최대 규모인 상하이 국제 라이선싱 박람회는 매년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국내외 유명 기업들이 대거 참가해 협력 파트너를 물색하고 있음.
박람회 개요
박람회명 | 2019 중국 국제 라이선싱 박람회(2019 China Licensing Expo) |
개최 기간 | 2019.10.16(수)~18(금) |
개최장소 | 상하이 신국제 박람센터(Shanghai International Expo Centre |
박람회 연혁 | 2007년 최초 개최, 올해 13회째 |
개최 규모 | E1~E4 40,000㎡, 400개사, 1300개 IP참가 |
전시 품목 | 식품음료, 영유아용품, 오락, 문화예술, 스포츠, 패션 등 |
주최 | 중국 완구 및 영유아·아동용품협회 |
홈페이지 |
자료: 박람회 홈페이지
ㅇ 온·오프라인을 활용한 비즈니스 전략 필요
- 중국 소비자가 브랜드 라이선싱 제품을 구매하는 주요 유통경로는 온라인(36%), 오프라인(64%)으로 현재는 오프라인 비중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주요 오프라인 유통경로는 전문점(29%), 대형 백화점(22%), 마트(19%), 도매시장(15%), 일반 편의점(10%) 등 임
- 주요 온라인 유통경로는 타오바오(26%), 티몰(25%), 징둥(23%), 위챗(8%), 아마존(7%), VIP.com(5%) 등임
ㅇ 중국 브랜드 라이선싱 업계 관계자는 "중국 브랜드 라이선싱 시장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중국 현지 인지도와 노하우가 있는 기업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조언(KOTRA 베이징무역관 인터뷰)
- 중국 현지 기업의 경우, 해외 유명 기업과의 라이선싱 계약 후 해외 기업의 인지도와 이미지 평판을 활용하여 제품 판매량을 늘리는 마케팅 전략 활용
- 향후 라이선싱 제품 매니아 층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가성비와 품질을 모두 갖춘 제품이 인기 있을 것으로 예상
자료: 2018 중국 브랜드 라이선싱산업 발전백서, '브랜드 라이선싱' 잡지, 바이두,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