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자로서 알아야 하는 미사] 58. 미사 해설 – 성찬 전례 (22) 영성체 예식 – 주님의 기도 (1)
가톨릭 신자들에게 가장 기본이면서 많이 봉헌하는 기도, 바로 주님의 기도입니다.
이 기도를 모르시는 분들은 없으실 것입니다.
지난 편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주님의 기도는 주님께서 친히 알려주신 기도입니다.
초대 교회에서는 주님의 기도를 보물로 간주하고 있고, 특히 디다케(Didache)에서는 하루에 세 번
주님의 기도를 바치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주님의 기도를 미사 중에 공식적으로 바치기 시작한 것은 4세기부터였습니다.
그리하여 세례식과 같은 중요한 전례 안에서 이 기도를 바치도록 하였습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주님의 기도를 “가장 완전한 기도”라고 불렀습니다.
실제로 주님의 기도는 우리가 올바르게 바랄 수 있는 것을 청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거룩한 청원을
순서대로 봉헌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우리가 어떻게 기도해야 할지 모를 때 이 기도를 마음으로 봉헌한다면, 주님께 바랄 수 있는
가장 합당한 영적 자세를 취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청해야 할 것을 우리에게 가르쳐 줄 뿐 아니라 우리의 모든 정서까지도
형성시켜 준다.”고 설명합니다.
그렇다면 왜 굳이 영성체를 하기에 앞서 우리가 이 기도를 봉헌해야 할까요?
가톨릭 교회 교리서 2270항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감사 기도와 영성체 사이에 바치는 주님의 기도는 한편으로는 성령 청원 기도에 담겨 있는 청원과 전구를
요약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영성체로 미리 맛보게 될 천국 잔칫집의 문을 두드리는 것이다.”
곧, 영성체를 하기 전에 주님의 기도를 봉헌함으로써 거룩하고 합당한 영적 준비를 돕는 것입니다.
한때, 신자들이 손을 잡고 주님의 기도를 봉헌하는 경우들이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2015년 춘계 정기 총회에서는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습니다.
“전례적으로 주님의 기도 때에 손을 잡는 것이 권장 사항은 아니다.
그런데 최근에 정서적인 문제나 위생적인 문제로 손을 잡는 것에 대하여 불편을 호소하는 신자들이 늘고 있다.
그러므로 일선 사목자들이 친교를 이유로 미사 때마다 손을 잡기를 권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다만, 본당의 날이나 큰 축제일에 예외적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주님의 기도를 할 때 몇몇 신자분께서 사제처럼 손을 벌리고 기도를 하는 경우들을 접하게 되는데,
로마 미사 예규 124항 “사제는 팔을 벌리고 교우들과 함께 기도한다.”는 내용에 따라
사제에게 요구되는 전례적 행동은 “팔벌림”이고, 신자들에게 요구되는 전례적 행동은 “서서 합장하는 것”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도 주님의 기도에 대한 설명이 계속됩니다.
[2023년 10월 1일(가해) 연중 제26주일 대전주보 4면, 윤진우 세례자요한 신부(사목국 차장)]
가톨릭사랑방 catholics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