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의 끝자락, 맑은 햇살때문에 조금은 더운듯한 날씨지만 시원한 봄바람이 불어 상쾌한 기분으로
덜 알려진 숨은 역사유적을 찾아서 경북 고령으로 마이크로 Go Go!!
고령공용버스터미널에서 2Km남짓한 거리에 숨은 역사유적이라 할수 있는 고아리벽화고분, 고분모형관,
고령상무사기념관이 나란히 위치하고 있어서 도보하이킹으로 탐방할수 있습니다.
대가야생활촌 가는 방향으로 대로를 따라 2Km정도 걸어가면 고령고아리벽화고분 이정표가 나타나는데
대로안쪽길로 좀 걸어가면 삼거리가 나오고 여기서 왼쪽(고아2리회관방향)으로 300m정도 가면 왼편으로 주차장,오른편에 상무사기념관, 고아리벽화고분모형관, 고아리벽화고분이 차례대로 나옵니다^^
(기행코스)
고아리벽화고분~고아리벽화고분모형관~고령상무사기념관
1.고아리벽화고분(경북 고령군 대가야읍 고아리 산 13-1)
사적제165호(1968.12.19)로서 1963년 해방후 남한에서 처음 발견된 벽화고분으로 6세기중엽 대가야 말기에 만들어진 유일한 가야시대 벽화고분이며그 가치가 매우 높아서 대부분의 대가야무덤과 달리 사람이 드나들수 있는 방
으로 만들어진 이른바 굴식 돌방무덤으로서, 돌방의 벽면에는 진흙과 조개를 이겨서 바르고 천장에는 분홍색,녹색,흑색,갈색을 사용하여 그린 연꽃그림이 그대로 남아 있는데 널방천장돌에 2개, 널길천장돌에 11개의 문양이 지그재그식으로 남아 있으며 최초에는 널방과 널길 전체에 벽화가 그려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1)고아리벽화고분 안내표지석
2)고아리벽화고분군이 있는 언덕배기로 올라가는 계단
3)고아리벽화고분군 주변유적 안내도
4)고아리벽화고분앞에 위치한 표지석
5)고아리벽화고분군일대 전경
6)고아리벽화고분과 입구모습
2.고아리벽화고분 모형관(고아리벽화고분군 바로옆에 위치)
1)모형관 외부
(전경/입구/관람안내판)
2)모형관 자료실
(고아리벽화고분 해설문)
(가야/고구려/백제의 연화문양 비교)
(고아리벽화고분의 실제모습 안내도)
3)고아리벽화고분 모형
(안내팜플릿에 꾸며진 고아리벽화고분 모형)
(입구모습)
(널길 천장과 벽면)
(널실의 바닥/천장/벽면)
4)고아리벽화고분관련 역사영상물 일부
3.고령상무사기념관(高靈商務社記念館) : 고아리벽화고분 모형관옆에 위치
조선시대 지방의 상업을 담당해온 부보상단(負褓商團)의 업적을 기리기위해 건립한 것으로, 고령상무사란 이들중 고령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해 오던 상인단체를 가리키며 조선시대 전국의 시장을 돌아다니며 장사하던 부보
상단은 자신들만의 독특한 의식과 조직체계, 윤리규정 등을 만들어 운영하면서 각 지역의 상업을 장악했고 부보
상단은 특히 생선,소금,목기,토기,수철(水鐵) 등 5가지 물품의 판매를 독점하였으나 일제의 침략이 시작되면서
이들의 영향력은 점차 쇠락했고 지금은 이지역을 비롯한 경상남북도와 충청남도 몇곳에서만 그 존재를 착을수
잇을 정도입니다. 고령상무사는 부상단인 좌사계가 1866년, 보상단인 우사계가 1899년부터 조직되어 활동하기
시작했고 지금까지도 매년 봄과 가을 우두머리인 반수와 접장의 덕을 기리는 제사(公文祭)를 지내며 조선부보
상단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고령상무사 좌사계에는 "선생안" "계안" "규약" "고령군좌사절목" "물금장" "인장" "나팔" 등 전적과 유물17점이 전해져 오고있으며 1992년 국가민속문화재 제30-5호로 지정되어 지금은 대가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1)고령상무사 표지석
2)고령상무사 자료들
3)기념관 정문과 외삼문
4)기념관 전경(모든 방들이 자물쇠로 잠겨있어 내부구경은 못함! 안에 뭐가 있지? ㅋ)
5)각종 기념비들
(전경)
(기념비모습과 설명)
첫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