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을 잘 제어하기 위해서는 부조를 잘 사용하여야 합니다. 말이 사람의 언어를 이해할 수 없으
므로 말과 사람의 의사소통은 부조를 통하여 이루어 집니다.
부조는 각 각 다양한 강도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다른 부조를 조합하여 말에게 전달됩니다.
승마자는 손으로 고삐 부조만을 쓰는 것이 아니고 다리를 이용한 부조도 함께 씁니다. 또한
다리를 이용한 부조를 쓸 때에 승마자가 허리를 이용한 부조도 함께 씁니다. 이런 식으로,
여러가지 부조를 함께 쓰게 되며, 한 가지 부조만을 쓰는 경우는 없습니다.
재갈(bit)
재갈은 고삐(reins)에 연결된 금속성 물질로 말의 입에 넣어 말이 입에 물고 있는 것입니다.
말은 턱 앞의 부분과 뒤에 부분에 이가 나 있고 그 사이에는 이가 나 있지 않습니다. 재갈은
"이가 나있지 않은 잇몸"(bars라고 합니다) 위에 위치시킵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하세요.
말의 잇몸을 덮고 있는 점막이 Thoroghbred과 같은 hotblood의 말일 경우에는 warmblood이나
coldblood보다 얇기 때문에 재갈에 의한 자극이 더 쉽게 이루어 집니다.
재갈은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만 자세한 것은 생략합니다. 재갈의 양 끝에 달린 링에 연결된
고삐 끈을 잡아당기면 재갈은 호두까끼(nutcracker)와 같은 작용을 하여 입과 입술을 압박하게
되고 이러한 자극을 피하기 위하여 말은 승마자가 의도한 대로 움직입니다. 따라서 말이
고삐 자극에 따라 승마자의 의도에 따르면 그 보상으로 고삐 자극은 바로 중지하여야 합니다.
재갈은 그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가 있고, 재갈의 굵기도 조금씩 다릅니다. 재갈의 굵기는 가늘
수록 강한 자극을 말에게 주게 됩니다. 굵은 파이프 보다는 가는 철사줄이 사람의 피부에 강한
자극을 주는 것과 같습니다.
고삐 부조 (Rein Aids)
고삐 부조를 말이 느끼는 강도가 약한 것부터 아래와 같이 설명합니다.
1. Leading Rein (유도 고삐 쓰기? 이렇게 우리 말로 표현하면 될라나 모르겠습니다)
오른 쪽으로 회전하려고면, 위 그림처럼 고삐를 잡은 오른 손을 안쪽(회전하는 원을 상상할 때
원의 안쪽)으로 살짝 벌려줍니다. 이런 고삐 부조에 따라 말은 완만한 회전을 하게 됩니다.
이런 고삐 부조로는 날카로운 각도로 회전하지 않습니다.
이런 방식은 말이 완만하게 회전하도록 고삐로 유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아주 세세하게
말을 통제하려고 할 때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이러한 유도 고삐는 안쪽 고삐만을 사용하는
것이며 바깥 쪽 고삐를 잡은 손은 움직이지 않고 그대로 두면 됩니다.
2. Direct Rein (직접 고삐 쓰기)
간접 고삐 쓰기로 요구한 회전 보다 더 날카로운 각도로 말이 회전하기를 요구할 때에는
직접 고삐 부조를 사용합니다. 이 때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안쪽) 의 고삐를 닫습니다 (즉,
고삐를 부드럽게 조금 당깁니다.). 그리고 동시에 바깥 쪽 고삐는 같은 정도로 양보합니다.
안쪽 고삐를 쥔 손을 꽉 쥐는 것 보다는 손을 승마자의 hip 쪽으로 잡아 당기면 더 날카로운
각도로 말이 회전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 때 고삐만으로 말을 회전시키려 하면 안됩니다.
반드시 다리로도 부조를 넣습니다. 안 쪽 다리는 복대에 대고 바깥 쪽 다리는 복대에서
조금(10-15cm정도) 뒤에 대어 다리 부조를 넣습니다. 다리 부조를 고삐 부조와 동시에
사용하지 않으면 말은 고삐 부조를 정지하라는 뜻으로 받아들여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하게
됩니다.
3. Indirect Rein behind the Withers (등성마루뼈 뒤에서 간접 고삐 쓰기)
승마자가 고삐를 쥔 안쪽 손을 자신의 안쪽 hip 방향으로 당기는 것이 아니라 바깥 쪽 hip
방향으로 당기는 것입니다. 이 때 말의 등성마루 뼈 뒷쪽으로 손이 위치하는데, 손이
등성마루 뼈의 중심을 넘어서 바깥쪽(회전하는 원의 바깥쪽) 으로 까지 이동해서는 안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말의 목이 지나치게 구부러지게 됩니다.
회전을 위해 고삐를 쓸 때 바깥 쪽 고삐를 열어 주어서는 안됩니다. 열어준다는 것은 위 그림
에서 왼쪽 손을 바깥 쪽 (왼쪽)으로 움직여 말의 목에서 고삐가 떨어지게 하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말은 안쪽으로 회전하지 않고 바깥 쪽으로 몸이 흘러가게 됩니다.
4. Indirect Rein in front of the Withers (등성마루뼈 앞에서 간접 고삐 쓰기)
그림에서 처럼 승마자가 안쪽 손을 말의 바깥 쪽 어깨 뼈를 향해서 등성마루 뼈 앞으로 이동
시키면 (바깥 쪽 손은 고삐를 열지 않고), 말의 재갈이 강하게 말의 입에 작용하므로 매우
날카로운 각도로 회전할 때 이런 고삐 부조가 필요합니다. 빠르게 달리며 점프를 계속한다
던지 외승을 할 때 빠른 속도로 달리면서 날카로운 회전을 할 때 사용합니다.
5. Pulley Rein
말이 놀라거나 아니면 다른 이유로 냅따 달리기 시작해서 왠만한 방법으로 통제가 되지
않을 때는 아래 그림과 같이 하여 말을 정지시킵니다. 이처럼 고삐를 사용하는 것을
Pulley Rein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Pulley Rain은 매우 긴급한 경우에만 쓰는 말에게
매우 높은 강도의 자극을 주는 고삐 사용법입니다.
말이 무작정 빠르게 뛰기 시작할 때는, 바로 말을 통제하려고 하여야 합니다. 이 때 말을
통제하려는 시도는 빨리하면 할수록 좋습니다. 말이 경마하는 것처럼 몸을 펴서 달리기
시작하면서 galloping하기 시작하면 정지시키기 매우 어려워 집니다. 엄청나게 큰 돌이
언덕 아래로 구르기 시작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본격적으로 구르기 전에 막아야 합니다.
말이 무작정 빠르게 뛰는 이유는 여러가지 있을 수 있지만, 넓은 승마장에서 바람이 세차게
불고(바람이 세차게 불면 말은 심리상태가 불안하여 막 달릴 수 있습니다), 뭔가 말의 기분이
들뜰 수 있습니다. 이 때 말이 갑자기 어느 정도의 거리가 확보되면 갑자기 질주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선, 승마자가 채찍을 쥐고 있다면, 즉시 채찍을 땅에 버립니다. 채찍을 버릴 때 손을 들어
버리거나 고삐를 놓고 채찍을 버리지 말고 고삐를 잡고 움직이지 않은 상태로 채찍이
땅에 떨어지게 합니다. 그 다음엔 체중을 이용하여 말의 입을 잡아당김으로써 말이 회전하게
하여 말이 속도롤 줄이도록 합니다. 이런식으로 고삐를 쓰는 것을 pulley rein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어떤식으로 하는지 아래 그림과 함께 알아봅니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 pulley
rein을 쓰는 것은 충분한 훈련이 필요한 쉽지 않은 일입니다.
Pelley Rein 부조 쓰기
우선 승마자가 오른 손 잡이라고 생각하고, 말을 오른 쪽으로 회전시킨다고 가정합니다.
그림 a.
1. 우선 고삐를 모두 오른 손에 모아 쥡니다. 그 다음 왼손은 고삐를 모두 모아쥔 후 오른 손
아래로 미끄러뜨려서 갈기 윗쪽으로 3분의 2 쯤 되는 곳에 위치시킵니다. (그림 a.)
2. 그 다음 승마자는 자세를 full seat에서 half seat (엉덩이를 안장에서 떼고, 몸의 상체를
앞으로 기울이는 자세. 전경_前傾자세)으로 바꿉니다.
그림 b.
3. 승마자는 오른 손으로 가능한한 재갈에 가깝도록 오른 쪽 고삐를 쥡니다. 이 때 몸이
균형을 잃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왼손을 양 고삐 모두를 계속 모아 쥐고 있습니다.
(그림 b)
그림 c.
4. 다음에는 고삐를 모아쥔 왼손을 말의 목 오른 쪽으로 조금 내려 위치시킨뒤 승마자는
왼팔에 몸의 무게를 실어 말의 목을 누릅니다. 그 다음엔 오른 쪽 손을 매우 힘껏 한꺼번에
뒤로 당깁니다. 이 때 충분한 힘을 실어 당기기 위해서 승마자는 몸의 상체를 비틀도록
합니다.
이와 동시에 말이 급정거할 경우 승마자의 몸이 앞으로 급히 기울지 않도록 승마자는
몸의 체중을 뒤쪽으로 둡니다.
이와 같은 pulley rein 쓰기는 말에게 매우 큰 충격을 주므로 연습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그러나 위 그림의 경우에서 오른 쪽 고삐를 잡은 손을 힘껏 한꺼번에 당기지만 않으면
큰 무리는없습니다.
Bending the Horse (말의 몸을 구부리기)
말이 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몸을 구부려야 합니다. 그렇기 않으면 말이나 사람 모두 균형을
잃기 쉽습니다.
사람이 왼손 잡이, 오른 손 잡이가 있는 것 처럼 말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래서 왼 쪽이나
오른 쪽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몸이 적절히 유연하게 구부러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연습을 통해서 고치는 수 밖에 없습니다.
말의 몸을 구부리기 위해서 (왼쪽, 오른 쪽으로의 회전 등을 위해서), 승마자는 안쪽(오른쪽
회전이라면 말의 오른 쪽)의 다리를 말의 복대에 위치시킵니다. 이 때 복대는 물리적으로
말의 복대에 승마자의 안쪽 다리를 위치시키는 것이 아니라 승마자가 균형을 잡고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안쪽 다리가 자연스레 위치하게 되는 곳을 말합니다.
말은 자신의 몸에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을 회피하려고 하므로, 승마자가 자신의 안쪽 종아리로
말에게 압력을 가하면, 말은 이것을 회피하려고 자신의 몸을 승마자의 종아리에서 멀게
하려고 하게되어 말의 몸은 굽게 됩니다. 이와 동시에 말의 시선도 안쪽을 향하여야 하는데
이때 말의 시선은, 승마자가 보기에 말의 안쪽 눈이 살짝 보일 정도면 됩니다.
승마자는 또한 자신의 바깥 쪽 발을 복대 뒤쪽으로 이동시켜 놓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승마자가 안쪽 종아리(아래 그림에서 오론쪽 종아리)로 말의 몸에 압박을 가하면 말은 승마자가
자신을 미는 방향으로 횡보를 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승마자는 바깥쪽 뒷다리를 복대 뒷편
10-15cm 쯤에 위치시켜 이를 막음으로써 말의 뒷다리가 바깥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게
됩니다. 즉, 승마자면 바깥 쪽 종아리를 복대 뒷편에 위치시키면 말은 자신의 몸을 구부리라는
뜻으로 받아들입니다.
또한 동시에 회전하는 방향의 안쪽 고삐는 열어주고 이와 동등하게 바깥 쪽 고삐는 닫아줍니다.
그리고 승마자가 안쪽 종아리로 말의 몸에 압력을 가할 때, 압력의 방향은 승마자의 바깥 쪽
고삐를 쥔 손쪽으로 향하게 합니다.
그럼 이제까지의 설명을 정리하는 의미에서 말의 몸통을 구부리는 부조를 순서대로 아래와
같이 서술해 보겠습니다.
말의 몸통을 구부리게 하는 부조
1. 승마자의 안쪽 다리의 종아리를 복대에 위치시킵니다. (그후 종아리로 말의 몸을 압박합니다.)
2. 승마자의 바깥쪽 다리의 종아리는 복대 뒤에 위치시킵니다. (말의 몸을 압박할 필요없습니다.)
3. 승마자는 자신의 안쪽(위 그림에서 오른쪽) 좌골에 체중을 아주 미약하게 살짝 이동시킨다는
느낌이 오도록 앉습니다. 이때 엉덩이를 움직이거나 상체를 안쪽으로 기울이거나 하지 않습
니다.
4. 승마자는 이동하는 방향으로 시선을 두고 안쪽 어깨도 말의 몸이 구부러지는 정도로
돌립니다. (시선을 자연스레 이동하는 방향에 두면 저절로 그렇게 됩니다.)
5. 안쪽 손으로 고삐를 열어주고, 바깥 쪽 고삐로 닫아 줍니다.
※ 승마자의 안쪽 종아리로 말의 몸에 압력을 가할 때 그 방향은 승마자의 바깥 손쪽이 되도록
합니다.
승마자가 손을 더욱 더 잘 활용하기
승마자는 손을 잘 활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 손으로 말을 통제할 수 있는 비율은 3분의 1
정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승마자는 자신의 손이 크게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여 하고 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대개 말을 탈 때 손이 크게 움직이는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첫 째는 기좌가
불안정하여 승마자의 엉덩이가 안장에서 엉덩방아를 찧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승마자가
어깨를 긴장시키는 경우입니다. 두 번째 경우라면 어깨를 편후 편안히 아래로 내림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손으로 고삐를 잡을 때에는 주먹을 꽉 쥐고 잡아서는 안됩니다. 주먹을 꽉 쥐면 팔에 힘이
들어가고, 그러면 어깨와 등도 같이 긴장하게 되어 유연성을 잃게 되기 때문에 주먹이 위
아래로 크게 움직입니다. 따라서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가볍게 고삐를 쥐고,
나머지 손가락에 미약한 힘을 주어 고삐를 잡아야 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집게 손가락
아래에 있는 손가락 3개에 순차적으로 조금씩 힘을 줌으로써 고삐 부조의 강도를 순차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손으로 고삐 부조를 순차적으로 강화하는 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고삐 부조도 다른 부조와 마찬가지로 강도가 약한 단계부터 강한 단계로 순차적으로
써야 합니다. 아래 부조의 단계는 약한 단계에서 강한 단계로 강도가 강해 지는 순서에
따라 나열 된 것입니다.
1. 고삐를 잡은 손의 엄지 손가락을 집게 손가락에 지그시 누릅니다.
2. 그래도 반응이 없으면, 집게 손가락 아래의 손가락들을 살며시 손바닥 쪽으로 당겨서
엄지 손가락외 모든 손가락이 가지런 하도록 합니다.
3. 그래도 반응이 없으면, 가볍게 주먹을 쥡니다.
4. 그래도 반응이 없으면, 주먹을 살짝 안쪽으로 당깁니다.
5. 그래도 반응이 없으면, 주먹을 조금 더 몸쪽으로 이동시킵니다.
6. 그래도 반응이 없으면, 팔 전체를 이용하여 손을 몸 쪽으로 많이 이동시킵니다.
이때 팔꿈치는 몸 뒤쪽으로까지 갈 수 있습니다.
손으로 섬세하게 말을 통제하기
승마자가 고삐 부조를 사용할 때 자신의 손을 강하게 사용하면, 그 후에는 말을 섬세하게
통제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손은 가장 약한 힘을 사용하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강하게
함으로써 아주 섬세하게 말을 통제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면, 속보를 하는 상태에서 승마자는 엄지와 집게 손가락에 살짝 힘을 주어 고삐를
좀 더 강하게 쥐어 봅니다. 그러면 말이 속보의 속도를 떨어뜨려 평보로 이행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다시 속보의 속도를 빠르게 한 후 손가락 전체로 고삐를 살짝 쥔다면 말은
정지하게 될 것입니다. 결국, 손에 힘의 강도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승마자는 말을
매우 섬세하게 다룰 수 있습니다.
승마자의 손의 높이
승마자의 손의 높이도 중요합니다. 승마자의 손이 낮으면 낮을 수록 혹은 승마자의 손이
말의 기갑골(등성마루, withers)에 가까우면 가까울 수록 말의 보폭은 길어 집니다.
대개 승마자의 손의 위치가 높을 수록 말의 보폭은 짧아 집니다.
속보를 하면서 승마자의 손의 높이에 따른 말의 보폭의 차이를 느껴 보시기 바랍니다.
속보시에 손을 아래로 하고 손을 말의 목의 움직임에 자연스레 따라가게 (고삐를 수동적으로
passive reins로) 하면서 말의 입에 양보하면 말의 보폭은 조금 길어 집니다.
그러나 손을 조금 위로 위치시키고 손을 말의 목의 움직임에 자연스레 따라가는 정도를
줄이고 제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는 듯한 기분으로 고삐를 잡고 있으면 말의 보폭은
줄어 들며 말이 종종 걸음을 걷는 듯하게 걸음 걸이가 바뀌게 됩니다.
승마자가 다리를 더욱 더 잘 활용하기
"승마자의 다리"라고 할 때는 이미 말씀드린 것 처럼 종아리 제일 윗 부분부터 뒷발꿈치까지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일부 매우 민감한 말들은 승마자의 허벅지를 다리의 일부분으로 인식하
기도 합니다.
승마자가 다리를 쓰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째, 다리로 말의 몸통을 탁 탁 치는
것이며, 둘 째 다리로 말의 몸통을 압박하는 것입니다.
말의 몸통을 탁 탁 치는 것은 말의 걸음걸이마다 계속해서 할 수 있습니다. 말의 몸통을 가볍게
탁 탁 치게 되면 말은 다리를 더욱 높이 들고 보폭은 더욱 좁아지게 됩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말의 몸통을 지그시 압박하는 부조는 말이 보폭을 넓게하여 전진하도록 해 줍니다.
말의 몸통을 압박한다고 해서 승마자의 다리에 힘을 많이 주어 말의 몸통을 꽉 껴안는 것은
아닙니다. 말의 몸통을 압박한다는 것의 의미는 승마자가 다리에 지그시 힘을 주어 말의
몸통을 압박한 후 바로 힘을 빼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리의 위치
다리의 어느 부분을 어느 위치에서 사용하여 부조를 주느냐에 따라 효과가 달라집니다.
승마자의 다리에서 아랫 부분으로 갈 수록 말에게 주는 자극의 강도는 세어 집니다. 승마자가
자신의 발의 뒷꿈치로 말을 압박하면 종아리 윗 부분으로 압박하는 것 보다는 더 큰 반응을
얻을 수 있습니다.
승마자의 기본적인 다리 위치는 두 가지입니다. 첫 번 째는 "복대에(at the girth)", 두 번째는
"복대 뒤에(behindthe girth)"입니다.
위에서 "복대에"라는 뜻은 물리적으로 반드시 물리적으로 승마자의 발이 복대에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승마자의 귀, 어깨, 힙, 그리고 발 뒷꿈치를 잇는 가상의 선이
직선 상태가 되는 발의 위치를 의미합니다. 그러한 상태는 아래의 왼쪽 그림입니다.
"복대 뒤에"란 뜻은 "복대에" 위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승마자의 발이 복대 뒷편 5-15cm 쯤에
오도록 위치시키는 것입니다. 윗 그림에서 오른 쪽입니다. 어떤 말이냐에 따라 다양한
경우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승마자가 다리를 뒤로 이동시키면 시킬 수록 부조의 강도는
더 강해 집니다. 말에게 속보를 요구할 때 다리를 복대에 위치시켜 압박하는 경우 보다는
복대 뒷쪽에 위치시켜 압박하면 속보의 속도는 더 빨라지게 됩니다.
기좌 부조(騎座 부조, Seat Aids)
기좌는 아래와 같이 3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습니다.
1. 매우 가벼운 기좌 (Very light seat): 승마자는 자신의 허리 아랫부분을 약간 내밀어 휘게
하고 hip을 앞으로 내밉니다.
2. 보통 기좌 (Normal seat): 위 1에서 약간 앞으로 내밀었던 hip을 바로 세운 자세입니다.
3. 추진 기좌(Driving seat): 골반을 뒤로 눕혀 앞으로 굴리는 (그네 탈 때 처럼) 것으로,
바지의 엉덩이 뒷주머니 위에 앉는다는 느낌으로 앉는 것입니다.
이렇게 기좌를 가지고 말을 앞으로 추진할 수 있습니다.
매우 가벼운 기좌를 택하면 말의 보폭은 짧아지고 종종걸음 형태로 걷게 됩니다. 추진 기좌를
취하면 말은 보폭이 넓어지며 상하 운동의 폭을 줄여 걷게 됩니다.
또한, 승마자가 어느 쪽 좌골(坐骨, seat bone)에 중심을 더 두어 앉느냐에 따라 변화가 일어
납니다. 예외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나 말은 압력과 무게를 회피하여 움직이는 본성이 있습
니다.
따라서 승마자가 자신의 왼쪽 좌골에 힘을 실어 앉은 상태에서 추진기좌를 써서 말을 추진
시켜면, 말은 보폭을 크게 하고 몸의 상하운동을 줄이면서 오른 쪽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이 때, 승마자의 오른 쪽 다리는 복대에 위치하고 등자를 약간 힘주어 밟으며, 왼쪽 다리는
약간 복대 뒤쪽으로 위치시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승마자가 자신의 오른 쪽 좌골에 힘을 실어 앉은 상태에서 매우 가벼운
기좌로 말을 타면, 말은 보폭을 줄여 통통 튀듯이 왼쪽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승마자의 무게
중심을 미세하게 이동시키는 기좌부조에 대하여 말들은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 것은
훈련받지 않은 말들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면, 왜 말들이 이렇게 반응할까요? 말들이 500kg 쯤 나가고 승마자는 50kg 쯤 나간다고
가정합니다. 이 때 말과 사람의 체중의 비율은 10:1입니다. 그럼 승마자가 자신의 몸무게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5kg짜리 물체를 왼쪽 어깨에 걸머지고 뛴다고 생각해 보십시오.
무거운 무게가 누르고 있는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편합니다. 말도 마찬가지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