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정신답사단 10기! 이틀차입니다./ 7월 18일
---------------------------------------------------------------------------
아침 여덟시 삼십분(현지시각)에 안중근의사기념관에 도착!!
ㅋㅋㅋㅋ기념관이 9시에 개방하는건 함정?;;
아무튼 하얼빈역의 모습부터 !!

노랑?금색?의 버스들..! 요 안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대륙의 스케일로 차 있었다... ㄷㄷㄷㄷ
하얼빈역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만큼 사람은 많았으나
그만큼의 서비스가 발달된것같지는 않았다. 하얼빈역광장에 꽉 들어찬 사람들의 행방을 보면....
ㅋ버스 예매를 할지 안할지 확실하지도 않은 사람들이 광장에 30퍼센트정도 있는 것 같았고 줄은 엉망진창이었다 ㅠㅠ

한국의 서울역과 비슷한 분위기가 연출되기도... ㅎㅎㅎ;;;

하얼빈역의 모습!! 이건 사람이 좀 빠졌을때의 모습이다...
하얼빈역 왼편에 자리한 안중근의사기념관!!(아직 닫혀있는 문!)

안쪽은 동상과의 기념촬영만 가능하고 이외의 사진촬영은 금지되어있었다.
사람들이 이동하는 루트를 따라서 시대별로 안중근의 역사가 기록되어있었다. 알고있는 내용이지만 다시 한 번 읽으면서 깊게 되뇌어보고
안중근의사님의 깊은 뜻을 다시금 느껴볼 수 있었다.
그리고 문과 가장 먼 쪽은 통유리로 되어있었고 안중근의사님께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장소가 표시되어있었다.
뭔가... 소름이 돋았다... 역시 직접 와 보고 소름돋아보는게 답사의 맛><
그 옆에 큰 그림으로 이토히로부미를 사살하던 안중근의 모습이 그려져있다.
네모난 모자를 쓴 사람들이 러시아군이고 동그란 모자를 쓴 사람들이 일본 경찰들이라고 설명해주셨다.
그림 뿐만 아니라 안중근의사님께서 생전에 쓰셨던 붓글씨도 재현되어있었는데,
정말 붓글씨에서 힘있고 결단력있는 기운이 느껴졌다.
알게 된 내용으로 의사님은 총알 10탄에 十자 모양을 세기셨고
재판도 1심, 2심, 3심을 모두 집행하지 않았으며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변호인 요청도 거절되었다는 사실이다.
(하얼빈역에서 나와 이동 중 그 분게서 거사 전 머무르셨던 호텔도 볼 수 있었다. )
그리고 이 기념관에도 아직 알려지지 않은 내용을 전문가분(조세현, 의병정신선양회 부회장)께서 많이 알려주셨다..!
안중근의사의 가계도를 보면 아들과 딸이 그를 욕하고 테러리스트라 말학도 하였다는, 비운의 가족이었다는 말도..!
자세한 내용은 <100년의 편지 - 안중근 의사가 천국에서 춤을 추고 계실까>에서 얻어볼 수 있었다.
----------------------------------------------------------------------------------------
동북열사기념관에 도착!!!


김일성도 항일운동자들 사진 속에서 만날 수 있었다.

벽보! 벽에 중국양민족... 어쩌구...를 새기고 있는 모습이다.
음 중국과 한국이 일본에 대응한다는 문구를 벽에 새김으로써 사람들의 의식을 고취시키고 일본에게 저항력을 보여주고자 하였다한다.

동북열사기념관을 찾은 중국의 어린이들!!!
어릴때의 역사를 잘 배우는 것의 중요성!! 한국의 아이들도 이러한 기회가 많으면 좋을텐데ㅠㅠ
국경너머라는게 아직 큰 제약이 되는 것 같다.
그리고 이렇게 어려운 기회를 잡을 수 있었어서 뿌듯하고 보람되었다!
남들이 쉽게 볼 수 없는 것을 볼 때
동북열사기념관은 1933년 9월에 하얼빈 경찰청으로 쓰여 졌으며 일본이 동북3성을 침략했을때 중국인들을 핍박하던 장소였다고 한다.
이 곳에 우리 한국독립정신답사단이 온 이유는 이 곳에 쓰여진 항일 열사 중 한국인들의 이름을 꽤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동북지역은 한국인들과 중국인ㄷ르의 힘을 합쳐 항일활동을 하던 곳이었다.
------------------------------------------------------------------------------------






--------------------------------------------------------------------------------------------
이 날은 마지막으로 김좌진 장군님 순국장소를 방문하였습니다.

한옥풍이 물씬 정문부터 풍기던..!
기대기대><

김좌진장군님의 동상!
간단한 묵념 후 교수님의 설명을 들었다.
백야 김좌진 장군은 이곳에 1928년 9월부터 살면서 당시 형세와 대일항전을 자주 의논하며 거주하였다.
그리고 1930년 1월 24일에 순국하시고 말았다.

김좌진장군님에 대해 한글로 설명도 잘 되어있었다!
이 곳에 방문한 단체나 유명인의 사진들도 걸려있었는데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연예인 송일국의 사진도 있었다~

김좌진장군자택 안도 개방해 두었다.
금성정미소라는 이름으로 이 곳에 정미소를 만들어서 항일운동을 계획하시던..!
정미소의 흔적을 볼 수 있었다.
정미소의 기구들이 조금 낯설었는데 설명이 부족했던건 아쉽!
그리고 장군님께서 한국인에게 죽음을 당하신 안타깝고 비극 중 비극이라 할 수 있다..ㅜ

팔로회의실은 금성정미소 설치를 뒤이서 지어진 것으로
신진우와 그 뒤를 이은 '한족총연합회'에서 백아 김좌진 장군을 보필해오던 8명 원로들이 계셨고
그들이 이 회의실에서 김좌진장군님을 모시고 자주 전략전술을 의논하였다고 한다.
위의 사진은 그 회의실을 재현해 둔 것이다..!
이 곳에서 그들은 어떤 이야기를 어떤 톤으로 이야기하고 있었을까
(방석도 여덟개! 센스 굳~!)
둘째날. 감기가 걸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컨디션이 좋지 않아서 설명을 자세히 듣지 못한 것이 아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