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사)우리 역사학당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문화재사랑 여행 스크랩 5월 5일 어린이날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어떠세요?
天風道人 추천 1 조회 184 14.08.11 18:24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안녕하세요. 문화재청 블로그 기자 정민우입니다.

5월은 다양한 행사가 있는 달입니다^^.

일명 가정의 달이라고 불리는데요.

혹시 5월 5일 어린이날 아이들 데리고 놀러 갈 곳 고민이신가요?

놀이공원에 가자니 아이들 공부도 시키고 싶고, 박물관에 가자니 어린이날인데 미안해지고…….

만약 아직 어디 갈지 정하지 못하고 고민하고 계신다면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는 어떨까요^^? 역사에 대해서 배우고 즐기며 체험할 수 있는 그곳을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홈페이지

 

 

 

 5월 4일부터 5월 8일까지 ‘제20회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연천 전곡리 유적’에서 이루어집니다.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행사장 지도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홈페이지

 

 

 

연천 전곡리 축제는 1993년 ‘짐승 인간들의 현대나들이’라는 주제로 시작되었습니다. 축제가 진행된 지 20년 올해는 ‘전곡리안의 숨소리’라는 주제로 축제가 진행됩니다. 

 

 

▲1993년 제1회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전곡선사박물관 홈페이지

 

 

올해로 20회를 맞이하고 있는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는 2005년부터 7년간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유망, 우수 축제로 선정이 되었습니다.

매년 다양한 체험이 이루어지고 있는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에서 올해는 또 어떤 다양한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체험될지 벌써 기대가 됩니다. '제19회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에서는 구석기 퍼포먼스와 구석기 바비큐체험, 국제교류전 등의 체험 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곳곳에 돌아다니는 ‘전곡리안’들과 함께 사진도 찍고 구석기인이 되어 체험을 해보며 부모님과 아이들이 하나 될 수 있었던 ‘제19회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올해의 축제에서는 어떤 체험행사가 있을지 벌써 기대가 됩니다.

 

 

▲ 제19회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구석기 퍼포먼스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홈페이지

 

▲ 제19회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구석기 바비큐체험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홈페이지

 

 

▲ 제19회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국제교류전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홈페이지

 

▲ 제19회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석기 끌기 체험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블로그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에 가기 전 한 가지 알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과연 ‘연천 전곡리 유적’은 언제, 어떻게 발굴이 되었을까요?

 

 

▲연천 전곡리 유적 발굴 당시 사진 전곡선사박물관 홈페이지

 

 

 

‘연천 전곡리 유적’은 1978년 미군 병사 ‘그렉 보웬(Greg Bowen)’이 한탄강에서 나들이하던 중 우연히 주먹도끼를 발견하게 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당시 그렉 보웬(Greg Bowen)은 캘리포니아의 한 대학에서 고고학을 전공하다가 미군 병사로 자원하여 1974년부터 동두천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었습니다. 그때 발견한 구석기를 서울대학교 故 김원룡 교수팀에게 넘김으로써 발굴이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 故 그렉 보웬(Greg Bowen) 2005년 방한 사진 경향신문

 

 

이렇게 알려진 ‘연천 전곡리 유적’은 1978년 처음 발견, 1979년부터 현재까지 총 20여 차례의 발굴조사를 하였습니다.

 

 

▲연천 전곡리 유적 발굴 당시 사진- 층위 조사

 

 

현재까지 발굴된 유물로는 아슐리안 석기 50여 점을 포함하여 대략 8,000점 정도가 발굴되었으며, 1979년 유적의 중요성에 따라 사적 제268호로 지정되어 관리를 받고 있습니다.

 

 

 

 

▲연천 전곡리 유적 발굴 출토 주먹도끼 ⓒ전곡선사박물관 홈페이지

 

 

 ‘연천 전곡리 유적’의 발굴이 유명해지게 된 계기는 따로 있었습니다.

197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동북아시아지역에서는 아슐리안 석기(아슐리안 석기는 프랑스의 쌩 따슐(St. Acheul)유적에서 주먹도끼들이 처음으로 확인된 것에서 유래한 명칭) 형태의 주먹도끼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연천 전곡리 유적’에서 동북아시아지역 최초로 유럽과 아프리카 지방에서 발견되는 아슐리안 석기 형태를 갖춘 주먹도끼와 박편도끼가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모비우스 학설 EBS 다큐 프라임-한반도 최초의 인류 전곡리 사람들

 

 

‘연천 전곡리 유적’에서 아슐리안 석기 형태의 주먹도끼가 출토되면서 당시 세계구석기문화로 설명되던 모비우스((H.Movius) 교수의 구석기 이원론이 깨지는 계기가 됩니다. 구석기 이원론은 전기구석기문화가 아슐리안형 주먹도끼의 존재 여부에 따라 유럽·아프리카와 동아시아지역으로 양분된다는 학설로 동아시아지역에서는 주먹도끼가 발견되지 않기에 주먹도끼보다 떨어진 형태의 찍개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학설입니다. ‘연천 전곡리 유적’의 발굴은 이 학설을 깨트리게 됩니다.

 

 

▲연천 전곡리 유적 전경

 

 

‘연천 전곡리 유적’에 가신다면 빼놓을 수 없는 곳이 ‘전곡선사박물관’입니다. ‘전곡선사박물관’은 2004년 문화재청에서 전곡리 선사유적지 종합정비 기본계획 승인 후 이듬해인 2005년 도립박물관 건립 방침 결정을 통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국제현상공모를 통한 설계 과정과 건축 시공, 전시 연출을 통해 7년 만인 2011년 4월 25일 개막식과 함께 문을 열게 되었습니다. 박물관 내부에서는 1978년에 발견된 주먹도끼 이외에도 그동안 발견된 유물들과 다양한 모형들을 통해서 아이들이 구석기시대를 좀 더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전곡선사박물관 내부 스포츠조선

 

 

그렇다면 이렇게 다양하고 즐거운 축제를 즐길 수 있는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는 어떻게 갈 수 있을까요?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찾아가는 길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홈페이지

 

 

축제기간 동안은 입장료 또한 무료로 운영된다고 하니 아이들 데리고 갈 만한 축제 맞죠?

우리나라 구석기유적의 보고, 연천 전곡리 유적에서 추억과 역사 공부 일거양득의 어린이날을 보내는 건 어떨까 싶습니다.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홈페이지 http://festival.goosukgi.org/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블로그 http://blog.naver.com/iyc21net

전곡선사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jgpm.or.kr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