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 자아존중감 향상 교육
(초고령사회 위기일까 기회일까)
어르신 자아존중감 향상 교육 내용
□ 1단계: 변화를 위한 준비과정
1단계는 변화를 위한 준비 단계로서 생산적 주체로서
변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다.
특히 노년기를 바라보는 사회적 시각과 노년 사회에 대하여
별도의 체계를 준비하지 못한 상황에서 노인 라는
관성적 체계 안에 자기자신을 가둬 두었던 사고를
활동적, 생산적, 성공적 주체로서 문을 여는 단계이다.
① 마음을 여는 단계 (감사강의)
경쟁사회, 그리고 신뢰가 사라진 사회 속에서
꼭 닫아왔던 마음의 문을 여는 단계이며,
‘이 나에 뭘 하겠어’라는 관념의 문을 여는 강의로 시작한다.
감사강의는 문을 여는 수단 이외 삶을 긍정적으로
살아가도록 하는 기본이며 공동체성을 이끌어 갈
교육의 핵심이기도 하다.
② 나에게 집중하는 시간(내가 잘못한 게 아니야)
현재의 모습이 내 삶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노인이 된 지금의 모습은 나의 잘못이 아니라
사회 시스템의 문제임을 인지한다.
사회시스템에 맞춰 열심히 살아온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보고,
사회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현재 나의 상황에 대해
분석해본다.
③ 내 감정을 이해하는 가운데 타인의 감정을 이해한다
(너와 함께 하고 싶어)
그동안 경쟁사회 속에서 살며 느꼈던 시기와 질투심리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며, 본 심리는 잘못된 것이 아닌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감정임을 인지하고, 나의 시기와 질투의
감정을 통해 타인을 이해하는 시간이 된다. 타인을
이해한다는 것은 공동체에서 소통을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④ 우리에 대한 소중함 알기(나의 지니는 어디에!!)
나를 알고, 너를 알고 우리라는 공동체에 대한 소중함을
깨닫는 시간으로 나에게 있어 공동체가 왜 필요하고
중요 한지를 깨닫는 시간이다.
제3의 인생으로서 노년기를 살아가는 데 있어
나의 꿈과 희망을 지원해 주는 요술램프의 지니가 바로
내 옆에서 함께 하는 공동체에 있음을 인지하게 된다.
⑤ 내가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 하고 싶은 것들에
대하여 알아보기 (소원을 말해봐)
자신의 needs에 집중하는 단계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을 잘하고,
무엇을 하고 싶은 지에 대한 대답을 하지 못한다.
특히 노인세대는 더 심하다.
나의 needs를 찾는 과정은 그동안 몰랐던
나의 다른 면모를 발견하게 되고, 잊고 있었던 꿈을 찾게
되면서 노년기의 삶을 희망적으로 꾸며보는 시간이 된다.
이 시간이야말로 노년기의 새로운 삶을 위한 기초를 다진다.
#노인에대한사회인식변화 #초고령사회 #인구고령화 #초고령사회위기일까기회일까 #소생커뮤니티 #노년사회화 #노년사회화시스템 #어르신자아존중감교육 #노인교육